$\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PLISSIT 모형 부인암 여성 성기능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iveness of PLISSIT Model Sexual Program on Female Sexual Function for Women with Gynecologic Cancer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1 no.4, 2011년, pp.471 - 480  

전나미 (성신여자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ermission, Limited Information, Specific Suggestions, Intensive Therapy (PLISSIT) model sexual program on female sexual function for women with gynecologic cancer. Methods: The integrative 6-hr (two hours per session) prog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PLISSIT 모형에 근거하여 부인암 여성의 신체적, 심리사회적 특성을 통합적으로 반영한 성기능 향상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PLISSIT 모형은 성 전문가가 아니어도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모형으로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가 부인암 여성을 대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본 연구는 부인암 여성을 대상으로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성기능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적용하였다는점에서임상적의의가크다.
  • 0K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분석하였다.대상자의특성및연구변수에대한서술적통계를구하였다. 종속변수의 등분산은 Levene의 등분산 검정을 하였고, 실험군 대조군간의 동질성 검정은 χ2 , 또는 t-test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LISSIT 모형을 기반으로 하여 부인암 여성의 신체적, 심리사회적 특성을 통합적으로 반영한 성기능 향상 프로그램을개발하고그효과를검증하고자한다.
  • PLISSIT 모형은 성 전문가가 아니어도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모형으로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가 부인암 여성을 대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본 연구는 부인암 여성을 대상으로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성기능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적용하였다는점에서임상적의의가크다.
  • 본 연구에서는 PLISSIT 모형에 근거하여 부인암 여성의 신체적, 심리사회적 특성을 통합적으로 반영한 성기능 향상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PLISSIT 모형은 성 전문가가 아니어도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모형으로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가 부인암 여성을 대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부인암 여성의 성기능 장애의특성및영향요인을바탕으로이들의신체적,심리사회적특성을 통합적으로 반영한 성기능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함으로구체적인목적은다음과같다.
  • 또한 프로그램에 참석한 여성은 PLISSIT 단계에 따라 점차적으로 성기능이 향상 되어 부인암 여성의 성기능 향상 프로그램이 효과적인 중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장에서는 PLISSIT 모형 부인암 여성 성기능 향상 프로그램과프로그램의적용효과로구분하여논의하고자한다.
  • 본연구는부인암여성의성기능향상프로그램의효과를규명하기위한반복측정이있는비동등성대조군전후실험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with repeated measures)의 유사실험연구이다.연구설계에관한모식도는Figure 1과같다.
  • 프로그램은전반적인여성성기능및성욕구,성흥분,질분비,절정감,성만족도,성교통증의각각의여성성기능하부영역별기능을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을 두고 구성하였다. 성기능은 영역별로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상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Wiegel, Meston, & Rosen, 2005)본연구에서는여성성기능하부영역별특성과이들영역에 조금씩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을 고려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nnon, J. S. (1976). The PLISSIT model: A proposed scheme for the behavioral treatment of sexual problems. Journal of Sex Education and Therapy, 2, 1-15. 

  2. Ayaz, S., & Kubilay, G. (2008). Effectiveness of the PLISSIT model for solving the sexual problems of patients with stoma.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8, 89-98. doi:10.1111/j.1365-2702.2008.02282.x 

  3. Bancroft, J., Loftus, J., & Long, J. S. (2003). Distress about sex: A national survey of women in heterosexual relationship. Archives of Sexual Behavior, 32, 193-208. doi:10.1023/A:1023420431760 

  4. Brotto, L. A., Heiman, J. R., Goff, B., Greer, B., Lentz, G. M., Swisher, E., et al. (2008). A psychoeducational intervention for sexual dysfunction in women with gynecologic cancer. Archives of Sexual Behavior, 37, 317-329. doi:10.1007/s10508-007-9196-x 

  5. Chun, N. (2008).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sexual function in women with gynecologic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 639-648. doi:10.4040/jkan.2008.38.5.639 

  6. Chun, N. (2010). Predictors of sexual desire, arousal, lubrication, orgasm, satisfaction, and pain in women with gynecologic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 24-32. doi:10.4040/jkan.2010.40.1.24 

  7. Chun, N., Kwon, J. Y., Noh, G. O., & Kim, S. H. (2006). Symptom clusters in women with gynecologic cancer.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4, 61-70. 

  8.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 

  9. Jensen, P. T., Groenvold, M., Klee, M. C., Thranov, I., Petersen, M. A., & Machin, D. (2003). Longitudinal study of sexual function and vaginal changes after radiotherapy for cervical cancer. International Journal of Radiation Oncology, Biology, Physics, 56, 937-949. doi:10.1016/S0360-3016(03)00362-6 

  10. Jun, E. Y., Kim, S., Chang, S. B., Oh, K., Kang, H. S., & Kang, S. S. (2011). The effect of a sexual life reframing program on marital intimacy, body image, and sexual function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Cancer Nursing, 34, 142-149. doi:10.1097/NCC.0b013e3181f1ab7a 

  11. Katz, A. (2005). Do ask, do tell, why do so many nurses avoid the topic of sexuality? American Journal of Nursing, 105, 66-68. 

  12. Krychman, M. L. (2006). Sexual rehabilitation medicine in a female oncology setting. Gynecologic Oncology, 101, 380-384. doi:10.1016/j.ygyno. 2006.03.001 

  1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December). Annual report of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 2008, the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National Cancer Center. Seoul: Author. 

  14. Nichols, F. H., & Humenick, S. S. (2000). Childbirth Education (2nd ed.). Philadelphia, PA: W. B. Saunders. 

  15. Rosen, R., Brown, C., Heiman, J., Leiblum, S., Meston, C., Shabsigh, R., et al. (2000). The Female Sexual Function Index (FSFI): A multidimensional self-report instrument for the assessment of female sexual function. Journal of Sex & Marital Therapy, 26, 191-208. doi:10.1080/009262300278597 

  16. Speer, J. J., Hillenberg, B., Sugrue, D. P., Blacker, C., Kresge, C. L., Decker, V. B., et al. (2005). Study of sexual functioning determinants in breast cancer survivors. The Breast Journal, 11, 440-447. doi:10.1111/j.1075-122X.2005.00131.x 

  17. Stead, M. L. (2004). Sexual function after treatment for gynecological malignancy. Current Opinion in Oncology, 16, 492-495. 

  18. Stead, M. L., Brown, J. M., Fallowfield, L., & Selby, P. (2003).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healthcare professionals and women with ovarian cancer about sexual issues. British Journal of Cancer, 88, 666-671. doi: 10.1038/sj.bjc.6600799 

  19. Stewart, D. E., Wong, F., Duff, S., Melancon, C. H., & Cheung, A. M. (2001). "What doesn't kill you makes you stronger": An ovarian cancer survivor survey. Gynecologic Oncology, 83, 537-542. doi:10.1006/gyno.2001.6437 

  20. Takahashi, M., & Kai, I. (2005). Sexuality after breast cancer treatment: Changes and coping strategies among Japanese survivors. Social Science & Medicine, 61, 1278-1290. doi:10.1016/j.socscimed.2005.01.013 

  21. Weijmar Schultz, W. C., & Van De Wiel, H. B. (2003). Sexuality, intimacy, and gynecological cancer. Journal of Sex & Marital erapy, 29, 121-128. 

  22. Wiegel, M., Meston, C., & Rosen, R. (2005). The female sexual function index (FSFI): Cross-validation and development of clinical cutoff scores. Journal of Sex & Marital Therapy, 31, 1-20. doi:10.1080/0092623059-0475206 

  23. Yu, H. S. (2003). Predictors of female sexual dysfun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