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인암 여성과 배우자를 위한 PLISSIT 모델 성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 of PLISSIT Model Sexual Health Enhancement Program for Women with Gynecologic Cancer and Their Husband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3 no.5, 2013년, pp.681 - 689  

노주희 (울산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the Permission, Limited Information, Specific Suggestions, Intensive Therapy (PLISSIT) model sexual health enhancement program on, and development in, sexual function, sexual distress, marital intimacy, and subjective happiness of women w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상호작용(interaction)은 목표설정을 위한 계획단계로 실제 상호 목표를 설정(mutual goal setting)하고 목표달성(goal attained)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모색(explore means to achieve the goal)하고 합의(agree on means to achieve the goal)한다. 목표는 성기능 향상, 성 디스트레스 감소, 부부친밀도 향상, 주관적 행복 증진이며, 목표 달성을 위한 방법은 환자 개별교육, 부부교육, 집단교육을 하는 것에 합의하는 것이다. 교류는 목표를 수행하는 단계로 간호사와 부인암 부부간에 개별 교류, 부부교류, 집단교류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 본 연구는 부인암 여성과 배우자의 성 건강증진을 위해 King의 목표달성이론에 근거하여 PLISSIT 모델을 이용한 포괄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성 건강증진 프로그램은 대상자의 성 문제 확인과 해결을 위한 목표설정, 정확한 성 정보, 골반저근 운동과 신체활동, 초점자극훈련과 의사소통 향상법을 내용으로 신체적, 심리적, 관계적 요소를 통합하여 개발하였다.
  • 본 연구는 성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부인암 부부의 성기능, 성 디스트레스, 부부친밀도,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부인암 여성 부부를 위한 성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후 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 모델은 다양한 상황의 성 사정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Katz, 2009), 부인암 여성의 성기능 개선에도 활용되었다(Chun, 2011).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부인암 부부를 대상으로 PLISSIT 모델을 적용한 포괄적인 성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3. 성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실험 후 부부친밀도 점수가 증가할 것이다.
  • 가설 2. 성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실험 후 성 디스트레스 점수가 감소할 것이다.
  • 가설 1. 성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실험 후 성기능 점수가증가할 것이다.
  • 가설 4. 성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실험 후 주관적 행복 점수가 증가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인암은 어떤 성문제를 야기하는가? 이러한 특성으로 부인암 여성은 생식기에 발생하는 악성 질환의 진단과 치료로 인해 다양한 성문제를 경험한다. 질의 길이가 짧아지고 위축되어 탄력성이 떨어지거나, 성교 시에 통증이 발생하는 등의 성기능 문제를 겪고 있다(Jensen et al., 2003). 그리고 성 욕구와 절정감이 감소되고, 생식기 절제술로 인해 가임능력을 상실하거나 수술 상처, 부종 및 탈모 등으로 인해 성 매력이 사라졌다고 느끼는 성 디스트레스를 겪는다(Katz, Scott, Halford,& Ward, 2004). 이러한 문제로 인해 부인암 여성은 치료 후 월 1회 이하로 성 활동을 하는 경우가 60.
성 건강이란 무엇인가? ‘성 건강’은 세계보건기구에서 삶의 질을 평가하는 요소 중 하나로 성과 관련하여 질병이나 기능장애 없이 신체적, 심리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건강한 것을 말한다.성에 있어서 여성은 신체적인 성기능 뿐 아니라 심리적, 관계적 요소 모두를 중요시하는 특성이 있다(Katz, 2007; Park, Cho, & Kim, 2007).
부인암 여성이 성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할 경우 어떤 변화가 관찰되는가? 성 건강증진 프로그램은 대상자의 성 문제 확인과 해결을 위한 목표설정, 정확한 성 정보, 골반저근 운동과 신체활동, 초점자극훈련과 의사소통 향상법을 내용으로 신체적, 심리적, 관계적 요소를 통합하여 개발하였다. 성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부인암 여성은 성기능과 부부친밀도가 유의하게 상승하였고, 성 디스트레스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성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배우자는 주관적 행복이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nderson, B., Anderson, J. E., & Yi, M. Y. (2001). Stretching. Seoul: Nexusbook. 

  2. Annon, J. S. (1977). Behavioural treatment of sexual problems: Brief therapy. Hagerstown, MD: Joanna Cotler Books. 

  3. Brotto, L. A., Heiman, J. R., Goff, B., Greer, B., Lentz, G. M., Swisher, E., et al. (2008). A psychoeducational intervention for sexual dysfunction in women with gynecologic cancer. Archives of Sexual Behavior, 37(2), 317-329. http://dx.doi.org/10.1007/s10508-007-9196-x 

  4. Chun, N. (2008).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sexual function in women with gynecologic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5), 639-648. http://dx.doi.org/10.4040/jkan.2008.38.5.639 

  5. Chun, N. (2011). Effectiveness of PLISSIT model sexual program on female sexual function for women with gynecologic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4), 471-480. http://dx.doi.org/10.4040/jkan.2011.41.4.471 

  6.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7. Derogatis, L. R., Rosen, R., Leiblum, S., Burnett, A., & Heiman, J. (2002). The female sexual distress scale (FSDS): Initial validation of a standardized scale for assessment of sexually related personal distress in women. Journal of Sex and Marital Therapy, 28(4), 317-330. 

  8. Faul, F., Erdfelder, E., Lang, A. G., & Buchner, A. (2007).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2), 175-191. 

  9. Han, C., Kim, H. C., Kang, S. H., Moon, D. G., Kim, J. J., & Choi, J. Y. (2004).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the female sexual distress scale (FSDS). Korean Journal of Andrology, 22(2), 68-74. 

  10. Jensen, P. T., Groenvold, M., Klee, M. C., Thranov, I., Petersen, M. A., & Machin, D. (2003). Longitudinal study of sexual function and vaginal changes after radiotherapy for cervical cancer. International Journal of Radiation Oncology, Biology, Physics, 56(4), 937-949. 

  11. Juraskova, I., Butow, P., Robertson, R., Sharpe, L., McLeod, C., & Hacker, N. (2003). Post-treatment sexual adjustment following cervical and endometrial cancer: A qualitative insight. Psycho-Oncology, 12(3), 267-279. http://dx.doi.org/10.1002/pon.639 

  12. Kalaitzi, C., Papadopoulos, V. P., Michas, K., Vlasis, K., Skandalakis, P., & Filippou, D. (2007). Combined brief psychosexual intervention after mastectomy: Effects on sexuality, body imag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Surgical Oncology, 96(3), 235-240. http://dx.doi.org/10.1002/jso.20811 

  13. Katz, A. (2007). Breaking the silence on cancer and sexuality: A handbook for healthcare providers. Pittsburgh, PA: Oncology Nursing Society. 

  14. Katz, A. (2009). Woman cancer sex. Pittsburgh, PA: Hygeia Media. 

  15. King, I. M. (1981). A theory for nursing: Systems, concepts, process. New York, NY: Wiley. 

  16. Laumann, E. O., Paik, A., Glasser, D. B., Kang, J. H., Wang, T., Levinson, B., et al. (2006). A cross-national study of subjective sexual well-being among older women and men: Findings from the global study of sexual attitudes and behaviors. Archives of Sexual Behavior, 35(2), 145-161. http://dx.doi.org/10.1007/s10508-005-9005-3 

  17. Lee, K. H. (1995). A measure of marital intimacy.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3(4), 235-249. 

  18. Lim, J. S. (2004). The relationships of a self-enhancement bias, life events and subjective well-being in old-adul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9. Lyubomirsky, S., & Lepper, H. S. (1999). A measure of subjective happiness: Preliminary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ation. Social Indicators Research, 46(2), 137-155. 

  20. Manne, S., Sherman, M., Ross, S., Ostroff, J., Heyman, R. E., & Fox, K. (2004). Couples' support-related communication, psychological distress,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among women with early stage breast cancer.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2(4), 660-670. http://dx.doi.org/10.1037/0022-006x.72.4.660 

  21. Masters, W. H., & Johnson, V. E. (1970). Human sexual inadequacy. Boston, MA: Little, Brown. 

  22. Nho, J. H., & Park, Y. S. (2012). Descriptive study on sexuality for women with gynecological cancer.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8(1), 17-27. http://dx.doi.org/10.4069/kjwhn.2012.18.1.17 

  23. Park, J. S., & Lee, Y. E. (2011). Effects of integrated menopause management program for middle aged woma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7(1), 10-20. http://dx.doi.org/10.4069/kjwhn.2011.17.1.10 

  24. Park, Y. S., Cho, I. S., & Kim, Y. M. (2007). A survey of urban middle-aged women's sexual function and sexual distres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3(4), 254-261. 

  25. Rivalta, M., Sighinolfi, M. C., De Stefani, S., Micali, S., Mofferdin, A., Grande, M., et al. (2009). Biofeedback, electrical stimulation, pelvic floor muscle exercises, and vaginal cones: A combined rehabilitative approach for sexual dysfunction associated with urinary incontinence. The Journal of Sexual Medicine, 6(6), 1674-1677. http://dx.doi.org/10.1111/j.1743-6109.2009.01238.x 

  26. Rosen, R., Brown, C., Heiman, J., Leiblum, S., Meston, C., Shabsigh, R., et al. (2000). The female sexual function index (FSFI): A multidimensional self-report instrument for the assessment of female sexual function. Journal of Sex and Marital Therapy, 26(2), 191-208. http://dx.doi.org/10.1080/009262300278597 

  27. Scott, J. L., Halford, W. K., & Ward, B. G. (2004). United we stand? The effects of a couple-coping intervention on adjustment to early stage breast or gynecological cancer.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2(6), 1122-1135. http://dx.doi.org/10.1037/0022-006x.72.6.112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