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여성 노인입원 환자의 연령에 따른 수면장애 요인과 수면 양상
Factors of Sleep Disturbance and Sleep Patterns According to Age in Older Hospitalized Women Patients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18 no.2, 2011년, pp.186 - 194  

이혜순 (동서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of sleep disturbance and sleep patterns of elderly hospitalized women patients between young-old (65-74 years), old (76-84 years) and old-old (85 years and above). Methods: The questionnaire included the environmental disturbance factors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연령에 따라 65세에서 75세 미만은 전기고령(Youngest-old)노인, 75세에서 85세 미만은 중기고령 노인(Middle-old), 85세 이상은 후기고령(Oldest-old)노인으로 구분(Jeon & Choi, 2010)하여 여성 노인입원 환자의 수면장애 요인과 수면양상을 파악하고 수면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여성 노인입원 환자의 연령대별 수면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중재전략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여성 노인입원 환자의 연령대별 수면장애 요인과 수면양상을 파악하고, 수면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 1963) 등으로 판별해 놓는 결과를 바탕으로 선정기준에 적합한 대상자를 소개받은 후 본 연구자와 연구보조원 2인이 조사를 시행하였다. 노인병원 임상경험이 있는 대학원생인 연구보조원의 교육을 위해 설문지 각 문항들의 질문방법에 대해 연구자가 설명하였으며, 연구자가 먼저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는 시범을 보이고 연구보조원이 이를 관찰하는 방식으로 교육을 시행함으로서 자료수집자간에 동일한 자료수집 결과를 확보하기 위해 일관성을 유지함으로써 신뢰도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여성 노인입원 환자의 수면양상을 조사하고, 수면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령대별로 규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배우자가 없는 경우가 후기고령 노인이 전기고령 노인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노인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배우자와의 사별비율이 높아서 나타난 결과로 생각된다.
  • 이러한 일련의 선행 연구결과와 본 연구결과는 노인의 생리적 특성상 수면 양상은 변화 할 수밖에 없으므로 이들의 수면 증진행위를 고려한 접근으로 수면만족도를 유도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수면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 본 연구의 결과는 입원한 여성노인의 수면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 본 연구는 여성 노인입원 환자 289명을 대상으로 연령대별 수면장애 요인과 수면양상을 파악하고, 수면양상에 미치는 주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여성 노인입원 환자의 연령대별 수면장애 요인과 수면양상을 파악하고, 수면양상에 미치는 영향변인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여성 노인입원 환자의 수면 향상을 위해 연령대별 차별화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성 노인입원 환자 289명을 대상으로 연령대별 수면장애 요인과 수면양상을 파악하고, 수면양상에 미치는 주요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 결과 수면장애요인으로 환경적 장애요인, 신체적 장애요인에서 질병증상은 후기고령노인이 전기고령 노인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적 장애요인에서 통증 수준과 정서적 장애요인에서 우울은 중, 후기고령 노인이 전기고령 노인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후기고령 노인에서 중증 우울이 전기고령 노인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 중, 후기고령 노인의 수면양상은 환경적 요인, 통증, 질병증상 및 우울간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 중기고령 노인 환자의 수면양상에 유의한 영향요인은 환경적 요인이며, 후기고령 노인 환자의 수면양상에 유의한 영향요인은 통증, 환경적 장애요인 및 우울이었고 40.7%의 설명력을 나타내었다.
수면은 신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수면은 신체 기능을 회복하는 중요한 휴식방법으로 충분한 수면은 건강과 안위를 증가시키나 수면이 부족하게 되면 신체적ㆍ정서적 항상성 유지에 영향을 미치고 결과적으로 건강 증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Kamel & Gammack, 2006). 노화는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 요인으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깊은 수면(Slow wave sleep)의 감소로 수면의 효율성 감소(Bombois, Derambure, Pasquier, & Monaca, 2010), 수면양상의 변화(Arbus & Cochen, 2010), 환경적, 신체적, 정서적 요인의 영향으로 주간에 과도한 졸림과 불면증과 같은 수면장애를 유발하며(vaz Fragoso & Gill, 2007), 노인환자의 40%에서 수면장애가 발생한다(Bombois et al.
노화는 어떠한 요인인가? 수면은 신체 기능을 회복하는 중요한 휴식방법으로 충분한 수면은 건강과 안위를 증가시키나 수면이 부족하게 되면 신체적ㆍ정서적 항상성 유지에 영향을 미치고 결과적으로 건강 증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Kamel & Gammack, 2006). 노화는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 요인으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깊은 수면(Slow wave sleep)의 감소로 수면의 효율성 감소(Bombois, Derambure, Pasquier, & Monaca, 2010), 수면양상의 변화(Arbus & Cochen, 2010), 환경적, 신체적, 정서적 요인의 영향으로 주간에 과도한 졸림과 불면증과 같은 수면장애를 유발하며(vaz Fragoso & Gill, 2007), 노인환자의 40%에서 수면장애가 발생한다(Bombois et al.,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n, J. Y., & Tak, Y. R. (2009). Depressive symptoms and related risk factors in old and oldest-old elderly people with arthrit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 72-83. 

  2. Arbus, C., & Cochen, V. (2010). Sleep changes with aging. Psychologie & neuropsychiatrie du vieillissement, 8, 7-14. 

  3. Bombois, S., Derambure, P., Pasquier, F., & Monaca, C. (2010). Sleep disorders in aging and dementia. The Journal of Nutrition, Health & Aging, 14, 212-217. 

  4. Choi, Y. H. (2007). A study on depression, sleep and fatigue in younger and older el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8, 223-231. 

  5.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 (2nd ed.). Hillsdale, New Jersey: Lawrence Eribaum Associates. 

  6. Hayter, J. (1983). Sleep behaviors of older person. Nursing Research, 32, 242-246. 

  7. Huskission, E. C. (1974). Measurement of pain. Lancet, 302, 1127-1131. 

  8. Jeon, E. Y., & Choi, Y. H. (2010). Factors affecting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age in vulnerable aged 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 400-410. 

  9. Jo, O. S. (2010). A study on sleep quality and geriatric depression in the elderly between hospital and senior welfare cent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nchunhyang University, Asan. 

  10. Kamel, N. S., & Gammack, J. K. (2006). Insomnia in the elderly: Cause, approach, and treatment.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119, 463-469. 

  11. Katz, S., Ford, A. B., Moskowitz, R. W., Jackson, B. A., & Jaffe, M. W. (1963). Studies of illness in the aged. The index of ADL: A standardized measure of biological and psychosocial function.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185, 914-919. 

  12. Kee, B. S. (1996).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n ver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5, 298-307. 

  13. Kim, K. B., Yun, J. S., & Sok, S. R. (2008). Comparative study on the sleep patterns, satisfaction of sleep, and sleep enhancement behaviors between hospitalized and non-hospitalized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 685-693. 

  14. Kim, S. M., Oh, J. J., & Song, M. S. (1997). Sleep pattern and related factors among community dwelling elderly. The Seoul Journal of Nursing, 11, 24-38. 

  15. Ko, M. S. (2002). A study of sleep pattern, factors of sleep disturbance and sleep enhancement behaviors in hospitalized elderly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16. McDougall, F. A., Matthews, F. E., Kvaal, K., Dewey, M. E., & Brayne, C. (2007). Prevalence and symptomatology of depression in older people living in institutions in England and Wales. Age and Aging, 36, 562-568. 

  17. Nagel, C. L., Markie, M. B., Richards, K. C., & Taylor, J. L. (2003). Sleep promotion in hospitalized elders. Medical surgical Nursing, 12, 279-289. 

  18.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09). 2008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19. Oh, J. J., Song, M. S., & Kim, S. M. (199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sleep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 563-571. 

  20. Paik, Y. N. (2000). Sleep disturbing factors and the relative significance in sleep of hospitalized elderly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1. Park, J. H., & Kwon, Y. C. (1989).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Part 1: Development of the test for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8, 125-135 

  22. Redeker, N. S. (2000). Sleep in acute care settings: An integrative review.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32, 31-38. 

  23. Sheikh, J. I., & Yesavage, J. A. (1986).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Recent evidence and development of a shorter version. In T. L. Brink, clinical gerontology: A guide to assessment and intervention (pp. 165-173). New York: The Harwoth Press. 

  24. Shim, H. J. (2007). Factors affecting sleeping patterns among hospitalized elderly patients. Unpublished master'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25. Sim, M. K., & Park, J. M. (2002). A comparative study of social support,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urban and rural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3, 689-698. 

  26. Statistics Korea. (2009). Population Projections in 2006. Retrieved February 28, 2010,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27. vaz Fragoso, C. A., & Gill, T. M. (2007). Sleep complaints in community-living older persons: A multifactorial geriatric syndrome.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5, 1853-1866. 

  28. Wang, J. M., & Kim, D. J. (1995). Assesment of the spinal pain using visual analogue scal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2, 177-184. 

  29. Weyerer, S., Eifflaender-Gorfer, S., Kohler, L., Jeesen, F., Maier, W., Fuchs, A., et al. (2008).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depression in non-demented primary care attenders aged 75 years and older.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11, 153-163. 

  30. Won, J. S., & Kim, K. H. (2008). Evaluation of cognitive functions,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receiving visiting nursing servic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 1-10.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