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의 주간호제공자를 위한 비디오재활교육의 효과
Effects of Video-guided Education for Primary Family-caregivers of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18 no.2, 2011년, pp.237 - 246  

조복희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전남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Family-caregivers of stroke patients usually go through hardship and life style changes during the protracted course of a family member's rehabilitation. There is need for programs to educate family-caregivers to better manage the medical crisis. In this study an evaluation was done of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평균 수명의 연장과 인구의 노령화에 따라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의학 기술의 발달과 조기치료에 따른 생존율이 더불어 증가하면서 건강관리체제에 있어서 해결해야 할 잠재적 부담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가족의 재활교육을 위해 비디오테이프 자료를 개발하여 환자를 돌보는 주간호제공자에게 교육을 제공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부담감과 안녕감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뇌경색으로 입원치료를 받는 대상자를 돌보는 가족에게 개별적으로 제공한 뇌졸중 재활프로그램이 환자가족의 부담감과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설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에 의한 유사 실험 연구이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배분은 대조군과 실험군 사이의 중재에 대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간 지연 방법(Time delay method)을 이용하였다.
  • 본 연구는 비디오테이프를 이용한 재활교육이 급성기 뇌졸중 환자가족의 부감감과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시도한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은 3차 의료기관 신경과에 입원한 급성기 뇌졸중 환자를 돌보고 있는 주간호제공자로 실험군 29명, 대조군 29명의 총 58명이었다.
  • 본 연구에서는 위에 제시한 선행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하여 뇌졸중 환자와 환자가족들의 장기적 재활관리에 도움을 주기 위한 비디오테이프를 제작하였다. 뇌졸중 이해를 위한 비디오테이프 교육과 함께 뇌졸중 재활의 핵심 주제인 일상생활동작 훈련을 위해 그림으로 구체적인 동작훈련법을 나타낸 소책자를 이용하여 시범을 보여주고, 환자가족으로 하여금 재시범하도록 하여 훈련법을 습득할 수 있게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자는 교육비디오가 1960년대부터 중재법으로 도입한 이래 계속 그 사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지식의 증가 특히 단기지식 습득에 대한 교육비디오의 효율성이 널리 입증되고 있어(Tappen, Whitehead, Folden, & Hall, 2003), 뇌졸중 재활에 관한 비디오 자료를 개발하여 뇌졸중 환자를 돌보는 주간호제공자에게 뇌졸중 재활을 위한 교육을 실시하고, 중재 후 연구대상자들이 겪고 있는 부담감과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가설 설정

  • • 제 1가설: 비디오재활교육을 제공한 실험군의 부담감이 비디오재활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의 부담감보다 감소할 것이다.
  • • 제 2가설: 뇌졸중 환자를 돌보는 주간호제공자의 부담감이 감소하면 안녕감이 증가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 환자를 장기간 간호해야 하는 가족들이 겪는 문제는? 우리나라에서는 가족원이 아프게 되면 대부분 일차적으로 가족구성원 가운데 누군가가 돌봄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은데, Lee와 Sohng (1996)은 다른 질병에 비해 돌봄 요구가 높은 뇌졸중의 경우에 의존적인 뇌졸중 환자를 장기간 간호해야 하는 가족들이 신체적 불편감, 정신적 위기감, 절망감, 죄책감 등을 느끼며 가족의 기능저하와 함께 큰 부담감을 갖는다고 하였다. Park (1999)은 가족간호자의 부담감을 돌봄 상황에 처한 가족간호자의 스트레스 지각으로 인한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시간의존적, 발달과업적, 재정적 반응으로 정의하고, 안녕감은 가족간호자의 주관적인 삶의 만족도로 정의하여 환자를 돌보는 것이 가족간호자의 삶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한 요인이라고 하였다.
뇌졸중의 특징은? 뇌졸중은 뇌혈관성 질환 중 가장 흔한 질환으로 최근 의학기술의 발달과 건강인식의 변화로 뇌졸중 생존율이 증가되고 있으나, 재발이 잦으며 생존할 경우라도 편마비 등 심각한 기능장애와 후유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 개인적, 사회적 손실이 크다. 2007년 우리나라에서의 원인별 사망률을 살펴보면 뇌졸중은 암에 이어 2번째로 인구 10만 명당 59.
뇌혈관성 질환 중 뇌졸증의 사망률 추세는? 뇌졸중은 뇌혈관성 질환 중 가장 흔한 질환으로 최근 의학기술의 발달과 건강인식의 변화로 뇌졸중 생존율이 증가되고 있으나, 재발이 잦으며 생존할 경우라도 편마비 등 심각한 기능장애와 후유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 개인적, 사회적 손실이 크다. 2007년 우리나라에서의 원인별 사망률을 살펴보면 뇌졸중은 암에 이어 2번째로 인구 10만 명당 59.6명이며 단일질환으로는 첫 번째이고, 사망통계 결과는 1997년 인구 10만 명당 73.1명이던 것이 2006년에는 61.3명, 2007년에는 59,6명으로 조금씩 감소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감소추세는 발생률의 감소보다는 치명률의 감소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ak, Y. J., Jeong, M. Y., & Ann, E. H. (2001).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ense of well-being of stroke survivor family care tak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1, 315-327. 

  2. Cho, B. H., Kim, M. H., Seo, N. S., & So, H. S. (1999). A study on the degree of self-care activities, family burden, and the educational needs of primary caregiver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2, 243-256. 

  3. Cho, K. J., & Jun, E. M. (2007). Effects of an information protocol on anxiety and nursing satisfaction for family caregivers of cerebrovascular accident patients in the ICU.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4, 53-61. 

  4. Clark, M. S., & Smith, D. S. (1998). Knowledge of stroke in rehabilitation and community samples. Disability Rehabilitation, 20, 90-96. 

  5. Dupuy, H. J. (1978). Self-representation of general psychological well-being of American adults. Paper presented at meeting of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Los Angeles, LA. 

  6. Faul, F., Erdfelder, E., Lang, A. G., & Buchner, A. (2007).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 175-191. 

  7. Ham, M. Y., Choi, K. S., & Ryu, E. J. (2000). Analysis of nursing studies about stroke research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3, 154-168. 

  8. Hong, Y. S., Suh, M. J., Kim, K. S., Kim, I. J., Cho, N. O., Choi, H. J. et al. (2000). Relations between perceived burden and social support of stroke patient's family caregiv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0, 595-605. 

  9. Jang, I. S. (1995). A study of the family caregiver's burden for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in a rural a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Seoul. 

  10. Kang, H. S., Kim, W. O., Kim, J. W., Wang, M. J., & Cho, J. H. (2004). Effect of east-west self-help group program for rehabilitation of post stroke cl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 1351-1361. 

  11. Kang, S. J., & Choi-Kwan, S. (2000). A longitudinal study on the burdens of caregivers in families with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2, 209-221. 

  12. Kang, S. J., Lee, H. J., & Choi-Kwon, S. (2002). Caregivers' burden in patients with acute stroke.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5, 27-37. 

  13. Kim, J. H., & Kim, O. S. (2005). Influencing factors that affect the psychological well-being in family caregivers of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 399-406. 

  14. Kim, J. H., Lim, N. Y., So, H. Y., Kang, K. S., Min, H. S., Park, G. H. et al. (2007). An analysis on the research papers about exercise interventions to the stroke survivor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10, 116-124. 

  15. Kim, J. S., & Choi-Kwan, S. (1998). Cerebral apoplexy. Seoul: Jeongdam. 

  16. Kim, S. S. (1992). Experience of family caregivers caring for the patients with strok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7.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8).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Seoul: National Statistical Office. 

  18. Lee, K. Y., & Sohng, K. Y. (1996). A study on the degree of burden and depression in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stroke. The Journal of Academy of Nursing, 26, 853-867. 

  19. Lee, S. J. (1993). A study on the degree of burden of family caregivers in the elderly in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Gwangju. 

  20. Novak, M. N., & Guest, C. (1989). Application of a multidimentional caregiver burden inventory. The Gerontologist, 29, 798-803. 

  21. Park, S. Y. (2007). The effects of exercise on functional status,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social re-adjustment in stroke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10, 12-20. 

  22. Park, Y. H. (1999). The effects of support group intervention for spouses of stroke patients on caregiver burden and well-be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3. Saha, S., Vanclay, F., & Cooper, B. (1989).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the Barthel Index for stroke rehabilitation,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42, 703-709. 

  24. Tappen, R. M., Whitehead, D. , Folden, S. L., & Hall, R. (2003). Effect of a video intervention on functional recovery following hip replacement and hip fracture repair. Rehabilitation Nursing, 28, 148-153. 

  25. Yoo, E. K., Jeon, S., & Yang, J. E. (2007). The effects of a support group intervention on the burden of primary family caregivers of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693-702. 

  26. Yoo, E. K., Jeon, S., & Yang, J. E. (2007). The effects of a support group intervention on the burden of primary family caregivers of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693-702. 

  27. Zarit, S. H., Reever, K., & Bach-Peterson, J. (1980). Relatives of the impaired elderly: Correlates of feelings of burden. The Gerontologist, 20, 649-65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