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 사회에 죽음이해가 크게 부족하다
Our Society Lacks Greatly in Understanding Death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4 no.3, 2011년, pp.131 - 137  

오진탁 (한림대학교 생사학 연구소)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환자가족의 연명치료 중단요구를 인정한 서울 지방법원(2008년 11월 28일), 고등법원(2009년 2월 10일), 대법원의 판결(2009년 5월 21일)로 인해 안락사와 존엄사 논란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지만, 유감스럽게도 존엄사, 소극적 안락사 찬반여부에만 초점을 맞추고 법률적, 의학적 논의만 진행했을 뿐이다. 우리 사회는 죽음문화의 부재와 조급증으로 인해 진지한 토론과 과정을 무시한 채 존엄사 문제에 대해 하루라도 빨리 결론을 내리고자 한다. 대법원 판결 이후 주요 언론에서는 존엄사 법제화를 서두르라는 사설을 게재했지만, 죽음이해와 임종방식 개선을 위한 사회적 노력 없이, 죽음문제를 법으로 해결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는 발상 자체가 이해가 되지 않는다.

가설 설정

  • 3. 우리 사회에 죽음 정의가 없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우리나라 자살률은 OECE 가입국 중 몇 위 인가? 현재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OECD 가입국 중 1위로, 전통적으로 ‘자살대국’이라 알려진 일본을 훌쩍 넘어섰다. 2009년 우리나라의 사망자수는 24만 7천명으로 인구 10만 명 당 497.
2009년 우리나라에서 사망원인으로 1위를 차지하고 있는것은 무엇인가? 3명이 사망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사망원인으로는 이 140.5명으로 20년 이상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뇌혈관질환, 심장질환, 자살, 당뇨병 순으로 많았다.
우리나라의 자살률에 대한 문제의 핵심은 무엇인가? 자살률이 OECD 가입국 중 1위라는 사실만 강조되고 있지만, 문제의 핵심은 자살률 증가가 아니라 자살예비군의 급증이다. 2009년 자살자는 15,413명인데, 자살예비군은 얼마나 되는지 한번 추정해 보자.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ung JH. The manual for the well-dying. Seoul:Kakdang Welfare Foundation;2007. p. 41-2. 

  2. Kim TI. Korean students have lowest level of happiness: survey. YonhapNews 2010 May 4. 

  3. Kim YT. The paradox of Korea: income growth of the world's best, lowest life satisfaction of the OECD. The Chosunilbo 2011 Jan 1. 

  4. Lee SJ. 2030 generation 42.5% "I have thought about suicid as stress". AsiaEconomy 2011 May 30. 

  5. Singer P. Rethinking life & death: the collapse of our traditional ethics. Chang DI, translator. Seoul:Philosophy and Reality;2003. p. 38. 

  6. Singer P. Rethinking life & death: the collapse of our traditional ethics. Chang DI, translator. Seoul:Philosophy and Reality;2003. p. 45. 

  7. Oh JT. The understanding of death by thanatology. Chol Hak Yon Gu 2006;75:153-78. 

  8. Shin HB. Mother Teresa. Seoul:Dourei Publications;1997. p. 96. 

  9. Seol EJ. Beautiful life, holy death. Seoul:Qumran Publishing Co. Ltd;2005. p. 13. 

  10. Baek SH. To ask Cardinal Nicolas Cheong Jin-suk 'death' and 'resurrection'. Korea JoongAng Daily. 2010 Apr 1. 

  11. Sogyal R, Gaffney P, Harvey A. The Tibetan book of living and dying New York, N.Y.:HarperCollins Publishers;1993. p. ix. 

  12. Padma S. The Tibetan book of the death. Ryu SW, translator. Seoul:Chongsin Segyesa;1995. p. 245-7. 

  13. Chungwha. The teaching for the transformation of the dead. Seoul:Kwangryun Press;2009. p. 138. (Chungwha sunsa bobozip vol.6). 

  14. Chungwha. The teaching for the transformation of the dead. Seoul:Kwangryun Press;2009. p. 8-13, 32. (Chungwha sunsa bobozip vol.6). 

  15. Kubler-Ross E. The wheel of life: a memoir of living and dying. Kang DE, translator. Seoul:GoldenOwl Inc.:BM Books;2008. p. 228. 

  16. Kubler-Ross E. On life after death. Choi JS, translator. Seoul:Korea dialogue academy;1996. p. 54-5. 

  17. Oh JT. Last present. Seoul:Sejong Books;2007. 

  18. Cole R. Mission of love: a spiritual guide to living and dying peacefully. Chu HK, translator. Seoul:Panmidong:Minumin;2011. p. 12-3. 

  19. Cole R. Mission of love: a spiritual guide to living and dying peacefully. Chu HK, translator. Seoul:Panmidong:Minumin;2011. p. 74-5, 96. 

  20. Chopra D. Life after death: the burden of proof. Chung KR, translator. Seoul:Haingbokwoomul;2006. p. 17. 

  21. Doore G. What survives?: contemporary explorations of life after death. Los Angeles:J.P. Tarcher;New York:Distributed by St. Martin's Press;1990. p. 203. (New consciousness reader). 

  22. Kubler-Ross E. On life after death. Choi JS, translator. Seoul:Korea dialogue academy;1996. p. 39. 

  23. Kubler-Ross E. The wheel of life: a memoir of living and dying. Kang DE, translator. Seoul:GoldenOwl Inc.:BM Books;2008. p. 225-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