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죽음교육 프로그램이 성인의 자아존중감, 영적안녕, 통증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Death Education Program on Self-Esteem, Spiritual Well-Being, and Pain of Adul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9, 2016년, pp.156 - 162  

김복연 (청주성모병원 간호부) ,  오청욱 (한국교통대학교 간호학과) ,  강혜경 (남부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죽음교육 프로그램이 성인의 자아 존중감, 영적 안녕, 통증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에 있다. 연구의 설계는 비 동등 대조군 실험 연구이며, 충청북도 청주시의 C병원에서 2016년 01월 04일부터 13일까지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참가에 동의한 48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에 각각 22, 26 명의 참가자를 무작위로 나누어 배정하였다. 실험군의 참가자들(n=22)은 매 회 2 시간, 주 3회, 2 주간에 걸쳐 죽음교육을 받았다. 실험 처치 효과는 2 주간의 중재 전, 후에 자아 존중감, 영적 안녕, 통증에 대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자료들은 t-test, chi-square test, Fisher Exact-test and paired t-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2 주간의 중재 후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은 자아 존중감 (P<.002), 영적 안녕 (P<.015)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통증 (P<.014)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죽음교육 프로그램은 성인에게 효과적인 간호 중재로 보인다. 그러므로, 죽음교육 프로그램을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고려해 볼 수 있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death education program on self-esteem, spiritual well-being, and pain in adults. This investigations employ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and was performed in C hospital located in Chungju, Chungcheongbukdo provin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선행 연구에서 죽음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다양한 변인을 통한 검증과 포괄적인 프로그램적용을 제언하였으나[10], 계층별로 나누어 실시한 연구가 대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전 생애를 대상으로 한 포괄적인 죽음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선행연구결과가 미비한 자아 존중감, 영적 안녕을 포함해 통증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언론매체를 통해 죽음의 대량화를 자주 목격함에 따라 현대인은 무엇을 경험하는가? 임종시 장례식장을 이용함에 따라 죽음을 배울 기회가 감소하고, 과학의 발달로 죽음을 선택하고 연장할 수 있게 되었으며, 언론매체를 통해 죽음의 대량화를 자주 목격함에 따라 생명의 존엄을 경시하게 되고 죽음에 무감각해지고 있다[5]. 이로 인해, 현대인들은 본인과 가까운 사람의 죽음 앞에서는 가히 문화적 충격이라 할 정도의 경험을 하게 된다[1]. 그러므로, 죽음이 삶과 같이 필연적인 삶의 여정이므로, 죽음과 삶을 인생의 동일선상으로 받아들이고 죽음을 준비하고,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도와 줄 필요가 있다.
근본적인 불안은 무엇인가? 죽음을 단순히 두려움과 기피의 대상으로 인식하는 것은 ‘삶의 과정으로서의 죽음’으로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1]. 인간의 존재(Being)는 원초적으로 근본적인 불안을 가지고 있으며, 그 근본적인 불안이란, 유한한 존재가 비존재(Non-Being)의 위협으로 인해 느끼는 불안, 바로 죽음에 대한 불안이다[3]. 죽음을 두려워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자신이 누구인지 모르고 죽음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이다[4].
죽음을 두려워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인간의 존재(Being)는 원초적으로 근본적인 불안을 가지고 있으며, 그 근본적인 불안이란, 유한한 존재가 비존재(Non-Being)의 위협으로 인해 느끼는 불안, 바로 죽음에 대한 불안이다[3]. 죽음을 두려워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자신이 누구인지 모르고 죽음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이다[4]. 게다가, 현대인들은 죽음을 비현실적인 것으로 간주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Y. J. Lee, G. H. Jo, H. J. Lee, Understanding Thanatology, Seoul, Hakjisa, 2006. 

  2. J. H. Kim, Y. U. Kang, K. Ryu, J. I. Rie, "Predictors of Ego-Integrity in the Concept of Successful Aging among the Elders",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vol. 23, no. 4, pp. 115-130, 2009. 

  3. M. J. Han, J. Y. Choi, "Study about the Relation of the Purpose in Life and the Death Anxiety",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vol. 11, no. 2, pp. 167-181, 1999. 

  4. Ho. Ryu, "Death anxiety among the middle aged and the elderly", Unpublished Master' thesis, Seoul, Sungshin Women's University, 2004. 

  5. J. T. Oh, The last present. Seoul, Sejongbooks, 2007. 

  6. E. M. Hyun, "Effect of Death Education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7, pp. 4220-4228, 2014.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4.15.7.4220 

  7. K. A. Kang, "Development and effects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for middle-aged adults", Korean Journal of Hospice Palliative Care, vol. 14, no. 4, pp. 204-211, 2011. 

  8. J. T. Oh, C. G. Kim, "Effects of Death Education on Attitude toward Death and Depression in Older Adult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29, no. 1, pp. 51-69, 2009. 

  9. S. H. Kim, S. W. Byun, "Analysis of the trends of research education on death",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12, pp. 469-475, 2014. DOI: http://dx.doi.org/10.14400/JDC.2014.12.12.469 

  10. V. G. Cicireli, A. P. MacLean., L. S. Cox., "Hastening death: A comparison of two end-of life decisions", Death Studies, vol. 24, pp. 401-419, 2000. DOI: http://dx.doi.org/10.1080/07481180050045656 

  11. Y. B. Kwak, S. H. Ko, H. K. Kim, "The effects of alcohol use, depression, and self-esteem on suicidal ideation of middle aged",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Management, vol. 11, no. 9, pp. 221-228, 2013. 

  12. M. O. Yoon, "The effects of a death preparing education program on death anxiety, spiritual well-being, and meaning of life in adults", Jornal of Korean Academy Comunity Health Nursing, vol. 20, no. 4, pp. 513-521, 2009. 

  13. J. E. Thomson, "The place of spiritual well-being in hospice patients' overall quality of life", Hospice Journal, vol. 5, no. 2, pp. 13-27, 2000. DOI: http://dx.doi.org/10.1300/j011v15n02_02 

  14. C. P. Hermann, "Spiritual needs of dying patients: a qualitative life", Oncology Nursing Forum, vol. 28, no. 1, pp. 67-72, 2001. 

  15. F. Efficace, R. Marrone, "Spiritual issues and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 cancer care", Death Study, vol. 26, no. 9, pp. 743-756, 2002. DOI: http://dx.doi.org/10.1080/07481180290106526 

  16. JJ. Mytko, SJ. Knight. Body, Mind, and Spirit: Towards the intergration of religiosity and spirituality in cancer quality of life research. Psychology, vol. 8, no. 5, pp. 439-450, 1999. DOI:http://dx.doi.org/10.1002/(sici)1099-1611(199909/10)8:5 3.3.co;2-c 

  17. H. U. Youm, S, D, Cheung, W. S. Seo, Bon-Hoon Koo, Dai-Seg Bai, "The relationship of spiritual well-being and anxiety,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active old age",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 22, no. 1, pp. 27-42, 2005. DOI: http://dx.doi.org/10.12701/yujm.2005.22.1.27 

  18. M. A. Burkhardt, & M. G. Nagai-Jacobson, Spirituality: Living in our connectedness. Albany, NY: Delmar Thomson, 2002. 

  19. J. Georgesen, & J. Dungan., "Managing spiritual distress in patients with advenced cancer pain", Cancer Nursing, vol. 19, pp. 376-383, 1996. DOI: http://dx.doi.org/10.1097/00002820-199610000-00007 

  20. J. R.Kim, "The Death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Effects of Middle Aged women's Attitude towards Death and the Meaning of Life",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Pusan Catholic University, 2013 

  21. K. S. Yang, "A study on the program development of death education: centering on institute of continuing education", Unpublished Master'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9. 

  22. M. Rosenberg, "Rosenberg Self-Esteem Scal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65. DOI: http://dx.doi.org/10.1037/t01038-000. 

  23. K. R. Jeon, & M. H. Lee, "A study on the need, self-esteem, and aesthetic surgery attitude of fema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ol. 52, no. 6, pp. 71-83, 2002. 

  24. J. H. Kang, "A Investigate Study on Spiritual Wellbeing of Cancer Patients", Unpublished Master' thesis, Pusan, Pusan University, 1996. 

  25. H. Seidel, J. Ball, J. Dains, J. Flyn, Mosby's Guide to Physical Examination, 7th edition, Seoul, Elsevire Korea Publisher, 2012. 

  26. M. E. Cline, J. Herman, E. Shaw, & R. D. Morter, "Standardization of visual analogue scale", Nursing Research, vol. 41, pp. 378-380, 1992. DOI: http://dx.doi.org/10.1097/00006199-199211000-00013 

  27. Y. O. Yeo,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self-esteem,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depresson of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Unpublished Master'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00. 

  28.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Guideline regarding possible conflict between psychiatrist's religious commitment and psychiatric practic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 147, no. 4, pp. 542, 1990. DOI: http://dx.doi.org/10.1176/ajp.147.4.542 

  29. K. Wilber, The eye of spirit, Shambhala Publication Ins, Boston, pp. 46, 1997. 

  30. H. H. Bloomfield, Transdenscental meditation as an adjunct to therapy. In Boorstein S: Transpersonal Psychiatry. 2nd ed,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Albany, New York, pp. 143-163,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