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미소요산(加味逍遙散)의 항산화 효과와 serotonin 대사과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amisoyo-san(Jiaweixiaoyaosan) on Serotonin Metabolism 원문보기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v.22 no.1, 2011년, pp.37 - 51  

심태경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정인철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이상룡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experiment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amisoyo-san(Jiaweixiaoyaosan, SYS) on serotonin activity of P815 Mast Cell. Methods : The effects of SYS on activation of TPH-1 mRNA and AAADC mRNA in P815 mast cell were investigated. The effect of SYS on content of serotonin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저자는 加味逍遙散이 P815세포의 세로토 닌에 대해 미치는 영향을 통해 간접적으로 우울 증에 대한 효과를 가늠해보고자 했다. 배양된 P815세포를 이용해서 항산화 효능과 P815세포 내의 serotonin 함량 및 TPH, AAADC, MAOa 의 활성 변화 등을 연구하여 약간의 지견을 얻었다.
  • 이에 저자는 임상에서 加味逍遙散이 肝火上炎으로 인한 우울증에 널리 활용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P815세포의 세로토닌에 대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배양된 P815세포를 이용해서 항산화 효능과 P815 세포 내의 세로토닌 함량 및 TPH 활성 및 AAADC 활성 변화 등을 연구하여 약간의 지견을 얻었기에 報告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로토닌은 어떤 물질인가? 세로토닌은 혈관수축 물질로서 bovine serum 에서 분리한 indoleamine와 위장점막에서 분리한 자궁수축 물질인 enteramine과 동일한 물질로 5-hydroxytryptamine(5-HT)으로 동정된 것이다. 히스타민과 같이 동식물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위장관과 혈소판에 다량 집중되어 있고 뇌와 망막에서도 발견된다.
본 연구에서 加味逍遙散이 P815세포의 세로토닌에 대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어떠한가? 1. SOD와 DPPH의 활성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2. TPH-1 mRNA 발현은 100 ㎍/㎖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3. AAADC mRNA 발현은 모든 실험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우울증의 단가아민 가설이란 무엇인가? 우울증의 단가아민 가설이란 monoamine을 고갈시키는 reserpine과 같은 약물을 우울증 환자에게 투여하면 우울증을 유발한다는 것을 관찰한 뒤 제기된 학설로 단가아민, 특히 노르에피네 프린이나 세로토닌 활성도 감소가 우울증의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가설이다. 서양의학에서 우울증의 약물요법으로 주로 이용되는 삼환계 항우울제와 monoamine 산화효소억제제의 약리 기전을 보면, 삼환계 항우울제는 monoamine의재흡수를 억제하여 시냅스의 monoamine치를 상승시키고, monoamine의 분해를 억제하는 monoamine 산화억제제(MAOI)는 monoamine 분해효소를 억제하여 시냅스의 monoamine치를 상승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우울증의 단가아민가설은 지지를 받게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Hassinen IE, Vuorinen KH. Neuropharmacology. Cochrane Database Syst Rev. 1999;21(2):247-57. 

  2. Andreazza AC, Cassini C, Rosa AR, Leite MC, de Almeida L, Nardin P, Cunha AB, Cereser KM, Santin A, Gottfried C, Salvador M, Kapczinski F, Goncalves CA. Serum S100B and antioxidant enzymes in bipolar patients. J Psychiatry Res. 2007;41(6):523-9. 

  3. Andreazza AC, Kauer-Sant'anna M, Frey BN, Bond DJ, Kapczinski F, Young LT, Yatham LN. Oxidative stress markers in bipolar disorder: A meta-analysis. J Affect Disord. 2008;111(2-3):135-44. 

  4. Halliwell B. Oxidative stress and neurodegeneration: where are we now. J Neurochem. 2006;97(6) :1634-58. 

  5. Kunz M, Gama CS, Andreazza AC, Salvador M, Cereser KM, Gomes FA, Belmonte-de-Abreu PS, Berk M, Kapczinski F. Elevated serum superoxide dismutase and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in different phases of bipolar disorder and in schizophrenia. Prog Neuropsychopharmacol Biol Psychiatry. 2008;32(7):1677-81. 

  6. Maes M, Christophe A, Delange J, Neels H, Scharpe S, Meltzer HY. Lowered omega 3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serum phospholipids and cholesterol esters of depressed patients. Psychiatry Res. 1999;85(3):275-91. 

  7. 서원희, 이상룡. 鬱症과 憂鬱症의 比較考察. 大田大學校 韓醫學硏究所 論文集. 1997;6(1):505-14. 

  8. 홍원식 編. 情校黃帝內經素問. 서울:동양의학 연구원. 1995:277, 282, 303, 288-9. 

  9. 張介賓. 景岳全書. 서울:정담. 1999:692, 1150, 385-6. 

  10. 송필정, 정대규. 鬱症에 대한 文獻的 考察. 동의신경정신과 학회지. 1995;6(1):107-13. 

  11. 陳師文. 太平愚民和劑局方. 北京:人民衛生出版社. 1985:308. 

  12. 박동갑. 최신한방처방해설. 대구:동양종합통신교육원출판부. 1986:103-4. 

  13. 허준. 동의보감. 서울:법인문화사. 1999:1644. 

  14. ?己. 校註婦人良方. 臺北:文光圖書有限公司. 1981:17-8. 

  15. 고은상, 강병철, 성경화, 송일헌, 김의철, 권도익, 박경훈, 정성민, 박준하. 스트레스에 의한 여성 鬱症 환자의 加味逍遙散 치험 3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4;25(3):615-24. 

  16. 박형선, 서원희, 문익렬, 김정근, 배경연, 허윤경. 기질성 우울장애가 혼재된 우울증 환자 1례.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3;14(2):199-206. 

  17. 김인정, 배종국. 加味逍遙散이 스트레스로 인한 흰쥐의 유즙과다분비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1993;6(1):1-13. 

  18. 김점수. 加味逍遙散의 항스트레스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1989. 

  19. Schindler R, Day M, Fisher GA. Culture of neoplastic mast cells and their synthesis of 5-hydroxytryptamine and histamine in vitro. Cancer Res. 1959;19(1):47-51. 

  20.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신경정신과학. 서울:하나의학사. 1998:361-86. 

  21. Peter J Delves. Encyclopedia of immunology second edition. academic press. 1998:2164-7 

  22. Gershon MD, Tamir H. Release of endogenous 5-hydroxytryptamine from resting and stimulated enteric neurons. Neuroscience. 1981;6(11):2277-86. 

  23. 이귀녕, 이종순. 임상병리파일. 서울:의학문화사. 1993:526-7. 

  24. Meltzer CC, Smith G, DeKosky ST, Pollock BG, Mathis CA, Moore RY, Kupfer DJ, Reynolds CF 3rd. Serotonin in aging, late-life depression, and Alzheimer's disease:the emerging role of functional imaging. Neuropsychopharmacology. 1998;18(6):407-30. 

  25. Huh SO, Park DH, Cho JY, Joh TH, Son JH. A 6.1 kb 5' upstream region of the mouse tryptophan hydroxylase gene directs expression of E. coli lacZ to major serotonergic brain regions and pineal gland in transgenic mice. Brain Res Mol Brain Res. 1994;24(1-4):145-52. 

  26. Alenina N, Kikic D, Todiras M, Mosienko V, Qadri F, Plehm R, Boye P, Vilianovitch L, Sohr R, Tennet K, Hornagl H, Bader M. Growth retardation and altered autonomic control in mice lacking brain serotonin. PNAS. 2009;106(25):10332-7. 

  27. Regensburg, Germany, V Butterwecke et.al. 4th,5th Annual Congress of the Society for Medicinal Plant Research. 1997:11. 

  28. J Pharm. Pharmacopsychiatry. Pharmacol. 2001;53(5):583-600. 

  29. 김용구. 미래의 항우울제 : 어떠한 것들이 개발되고 있는가. 생물정신의학. 2004;11(1):14-25 

  30. 김완희 외. 동의생리학. 서울:대한동의생리학회. 1993:389-99. 

  31. 홍원식 編. 情校黃帝內經靈樞. 서울:동양의학연구원. 1995:99-100. 

  32. 김성훈. 동의병리학. 대전:한림원. 1994:41-2. 

  33. 朱丹溪. 丹溪心法附與. 서울:대성문화사. 1982:515-27. 

  34. 王肯當. 證治準繩. 서울:성보사. 1982:100-3. 

  35. 葉天士. 臨?指南醫案. 서울:정담. 1998:463-73. 

  36. 許沛虎. 中醫腦病學. 北京:中國醫藥科技出版社. 1998:453-9. 

  37. 王?恒. 實用中醫精神病學. 北京:人民衛生出版社. 2000:72-89. 

  38. 李用?. 證治菓補. 臺北:旋風出版社. 1976:107-13. 

  39. 홍성완, 김종우, 김은주, 김현주, 김현택, 황의완. 黃連解毒湯이 憂鬱症 摸型動物의 水中迷路學習과 뇌의 Tyrosine Hydroxylase 發顯 水準에 미치는 效果.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03;14(1):27-44. 

  40. 이상인. 天眞處方解說. 서울:성보사. 1987:239-43. 

  41. 전국 한의과 대학 본초학교수 공편저. 本草學. 서울:영림사. 2000:161, 167, 182, 190, 237, 302, 354, 460, 536, 540, 578, 581, 588. 

  42. Arutiunian AV, Kozina LS. Mechanisms of free radical oxidation and its role in aging. Adv Gerontol. 2009;22(1):104-16. 

  43. Dubinina EE, Pustygina AV. Free radical processes in aging, neurodegenerative diseases and other pathological states. Biomed Khim. 2007;53(4):351-72. 

  44. Droge W. Free radicals in the physiological control of cell function. Physiol Rev. 2002;82(1):47-95. 

  45. Valko M, Leibfritz D, Moncol J, Cronin MT, Mazur M, Telser J.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normal physiological functions and human disease. Int J Biochem Cell Biol. 2007;39(1):44-84. 

  46. 오명숙, 김도림, 강지웅. DPPH방법을 통한 兎絲子, 補骨脂, 淫羊藿의 항산화 활성에 대한 연구.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2005;12(2):101-10. 

  47. Lyoyd D. How to avoid oxygen. Sience. 1999;286(5438):249. 

  48. 서유현. 신경전달물질. 서울:민음사. 1992:219-44. 

  49. Singer TP, Ramsay RR. Monoamine oxidase; Old friends hold many surprises. FASEB J. 1995;9(8):605-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