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urpos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root of Liriope spicata (RLS) on LPS-induced 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model. The extract of RLS was treated to A549 cells and LPS-induced COPD mice model. Then, various parameters such as cell-based cyto-protective activity and 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만성 폐쇄성 폐질환에 대한 맥문동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LPS로 유도된 A549 세포 손상과 동물모델에서 조직학적인 변화 및 관련된 단백질의 변화를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사람 폐포의 기저 상피세포에서 유래된 A549 세포주와 LPS의 기도흡입 동물 모델에서 세포의 생존 혹은 사멸에 관련된 단백질 인자들의 생성수준에 대한 맥문동의 영향을 western blot 분석과 면역형광염색 분석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본 실험결과 맥문동은 다양한 수준에서 손상자극에 노출된 폐세포와 조직에 대한 보호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일반적으로 폐조직을 포함한 외피세포들은 빠른 세포생성주기를 가지며, 외부의 유해한 자극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6). 본 연구에서는 LPS 및 맥문동 처리에 의해 A549세포 및 생쥐의 폐조직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세포증식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Cdc2 kinase의 활성도를 조사하였다. 선행연구들에서 Cdc2 단백질은 cell cycle의 G2 phase-M기에 관여하여 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킨다고 알려져 있다37,3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맥문동이란 무엇인가? 맥문동 (Root of Liriope spicata: RLS)은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 상록 초본인 맥문동의 괴근으로8), 養陰潤肺, 淸心除煩, 益胃生津의 효능이 있어 肺燥乾咳, 吐血咯血, 肺痿, 肺癰, 虛勞煩熱등에 사용되고 있다9). 맥문동에 관한 연구로는 spicatoside를 포함한 유효성분에 대한 보고들10-13)이 있었고, 호흡기질환을 포함한 다양한 효과에 대한 연구들14-27)이 있었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에 대한 맥문동 효능의 평가를 위한 LPS로 유도된 폐 손상 동물모델 연구에서 어떤 결론을 얻었는가? 맥문동은 A549 세포에서 LPS로 유도된 세포독성을 감소시켰다. 맥문동은 A549 세포에서 LPS로 유도된 caspase 3 단백질 발현의 증가를 억제시켰다. 맥문동은 A549 세포에서 LPS로 유도된 Cdk1, phospho-Erk1/2 단백질 발현의 감소를 억제시켰다. 맥문동은 A549 세포에서 LPS로 유도된 IL-1β 유전자 발현의 증가를 억제시켰다. 맥문동은 LPS로 유도된 폐손상 동물모델에서 폐 조직의 caspase 3 단백질 발현의 증가를 억제시켰다 맥문동은 LPS로 유도된 폐손상 동물모델에서 폐조직의 Cdc2, cyclin B1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켰고, phospho-Erk1/2 단백질 발현의 증가를 억제시켰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의 병리적 특징은 무엇인가? 만성폐쇄성폐질환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은 최근 질병률과 사망률을 높이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으며 광범위한 역학 조사에서 폐기능 검사 결과 40세 이상 성인의 10%정도에서 중등도 이상의 COPD가 관찰되었다1). 만성폐쇄성폐질환의 병리적 특징은 흡연 등의 자극에 의해 반복적으로 손상 받은 폐조직에서 보이는 만성적 염증 반응이 조직의 복구와 기도 개형으로 이어져 기도 저항의 증가와 폐실질의 파괴를 가져오는 것이다2,3). 폐실질의 파괴는 탄력반동 (elastic recoil)의 감소를 가져와 폐유순도 (lung compliance)의 증가를 초래하며 이는 기도 저항의 증가와 함께 만성폐쇄성폐질환에서 기류제한을 나타나게 하는 가장 중요한 기전이다4,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Buist, A.S., McBurnie, M.A., Vollmer, W.M., Gillespie, S., Burney, P., Mannino, D.M., et al. International variation in the prevalence of COPD (the BOLD Study): a population-based prevalence study. Lancet 370(9589):741-750, 2007. 

  2. 유철규. 만성폐쇄성폐질환의 병인과 병태생리. 대한내과학회지 77: 383-400, 2009. 

  3. Curtis, J.L., Freeman, C.M., Hogg, J.C. The immunopathogenesis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insights from recent research. Proc Am Thorac Soc. 4: 512-521, 2007. 

  4. Hogg, J.C. Pathophysiology of airflow limitation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Lancet. 364: 709-721, 2004. 

  5. Yanai, M., Sekizawa, K., Ohrui, T., Sasaki, H., Takishima, T. Site of airway obstruction in pulmonary disease: direct measurement of intrabronchial pressure. J Appl Physiol. 72: 1016-1023, 1992. 

  6. 장준.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약물치료. 결핵 및 호흡기질환 59(3):231-242, 2005. 

  7. Martin, T.R. Recognition of bacterial endotoxin in the lungs. Am J Respir Cell mol Biol. 23: 128-132, 2000. 

  8. Shin, J.S. Saponin composition of Liriope platyphylla and Ophiopogon japonicus. Korean J Crop Sci. 47: 236-239, 2002. 

  9. 전국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本草學. 서울, 영림사, PP 588-589, 1994. 

  10. Tomoda, M., Kato, S. Water Soluble carbohydrates of Ophiopogon tuber. II, Purification, properties and structures of three oligosaccharides. Chem Pharm Bull. 16: 113-116, 1968. 

  11. Watanabe, Y., Sanada, S., Ida, Y., Shoji, J. Comparative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Ophiopogon tuber and its congeners. III.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the subterranean part of Ophiopogono ohwii and O. jaburan L. Chem pharm Bull. 32: 3994-4002, 1984. 

  12. Lee, D.Y., Son, K.H., Do, J.C., Kang, S.S. The new steroidal saponins from the tuber of Lirope spicata. Arch Pharm Res. 12: 295-299, 1989 

  13. Back, N.I., Cho, S.J., Bang, M.H., Lee, I.Z., Park, C.G., Kim, M.S., Kim, K.S., Sung, J.D. pesticide environment chemistry. Cytotoxicity of steroid saponins from the tuber of Liriope platyphylla W.T. Agri Chem Biotechnol. 41: 390-394, 1998. 

  14. 김지하, 김지은, 이연경, 남소희, 허윤경, 지승완, 김선건, 박다정, 최영환, 황대연. HIT-T15 췌장세포의 인슐린분비 촉진을 유도하는 맥문동(Liriope platyphylla) 추출물의 효능 및 독성분석. 생명과학회지 20(7):1027-1033, 2010. 

  15. 이숙경, 박종호, 김연태. 맥문동 열수추출물의 항산화력과 항균력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2(2):279-285, 2009. 

  16. 장숭은, 김윤범. 소엽맥문동(小葉麥門冬)이 NC/Nga 아토피 모델에 미치는 영향.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1(3):10-19, 2008. 

  17. 노성수, 최학주, 김동희, 서영배. NOD 당뇨병 생쥐에 미치는 맥문동의 항염증 효과.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2(4):766-770, 2008. 

  18. 박시덕, 이금홍, 이영선, 권영규, 박종현, 최선미, 신상우. 보음약인 사삼, 맥문동, 석곡, 옥죽, 황정의 면역조절 효과 비교.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1(2):414-424, 2007. 

  19. 강영건, 이태희. 구속 스트레스로 유발된 기억 손상에 대한 맥문동(麥門冬)의 신경보호 효능. 대한본초학회지 21(2):63-75, 2006. 

  20. 정해준, 정희재, 정승기, 이형구. 맥문동(麥門冬)이 천식유발 cytokine 분비와 호산구 chemotaxis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성인병학회지 10(1):1-20, 2005. 

  21. 임정교, 강명수, 박인경, 김순동. 맥문동 물 추출물의 식이가 Streptozotocin으로 유도한 당뇨 흰쥐의 혈당과 혈청 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영향.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15(1):20-28, 2005. 

  22. 이병삼, 이형구, 정승기, 정희재. 맥문동(麥門冬)이 C57BL/6J 생쥐의 Bleomycin 폐섬유화(肺纖維化)에 미치는 영향(影響).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5(4):93-104, 2004. 

  23. 전성하, 백은기, 홍의실, 박지윤, 한지완, 임영남, 고호연, 김동우, 전창용, 박종형, 한양희. 맥문동이 생쥐의 기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5(1):1-15, 2004. 

  24. 안지윤, 이인자. 맥문동 열수추출물의 사염화탄소로 유발된 흰쥐의 간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 생약학회지 23(2):166-171, 2003. 

  25. 김은정, 정성훈, 양준호, 이인선, 이인자. 맥문동 엑스가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횐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생약학회지 34(1):65-69, 2003. 

  26. 정해준, 정희재, 정승기, 이형구. 맥문동청폐음과 맥문동이 인간기관지 상피세포의 IL-6, IL-16, GM-CSF mRNA level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23(1):11-23, 2002. 

  27. 조성지, 방면호, 이인자, 박창기, 김무성, 김금숙, 성재덕, 백남인. 맥문동 (Liriope platyphylla W. T.) 스테로이드 사포닌 의 항암활성.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41(5):390-394, 1998. 

  28. Lee, D.J. The effects of Lonicera japonica on the murine model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경희대학교박사학위논문. 2009. 

  29. 오지석, 박양춘. 加味八味丸의 elastase 유도성 A549 세포사멸에 대한 보호효과. 대한한의학회지 31(2):137-148, 2010. 

  30. 윤종만, 박양춘. Elastase 매개성 폐조직 손상에 대한 선폐정천탕의 보호효과. 대한한방내과학회지 31(1):84-101, 2010. 

  31. Kawakami, M., Matsuo, Y., Yoshiura, K., Nagase, T., Yamashita, N. Sequential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a murine model of elastase-induced emphysema. Biol Pharm Bull. 31: 1434-1438, 2008. 

  32. Nakajoh, M., Fukushima, T., Suzuki, T., Yamaya, M., Nakayama, K., Sekizawa, K., Sasaki, H. Retinoic acid inhibits elastase-induced injury in human lung epithelial cell lines. Am J Respir Cell Mol Biol. 28: 296-304, 2003. 

  33. 전국한의과대학 폐계내과학교실. 동의폐계내과학. 서울, 한문화사, PP 335-346, 2002. 

  34. Nakajoh, M., Fukushima, T., Suzuki, T., Yamaya, M., Nakayama, K., Sekizawa, K., Sasaki, H. Retinoic acid inhibits elastase-induced injury in human lung epithelial cell lines. Am J Respir Cell Mol Biol. 28: 296-304, 2003. 

  35. Grutter, M.G. Caspases: key players in programmed cell death. Curr Opin Struct Biol. 10: 649-655, 2000. 

  36. Uhal, B.D. Cell cycle kinetics in the alveolar epithelium. Am J Physiol. 272: L1031-1045, 1997. 

  37. Draetta, G., Beach, D. The mammalian cdc2 protein kinase: mechanisms of regulation during the cell cycle. J Cell Sci Suppl. 12: 21-27, 1989. 

  38. Draetta, G. Cell cycle control in eukaryotes: molecular mechanisms of cdc2 activation. Trends Biochem Sci. 15: 378-383, 1990. 

  39. Nigg, E.A., Krek, W., Peter, M. Vertebrate cdc2 kinase: its regulation by phosphorylation and its mitotic targets. Cold Spring Harb Symp Quant Biol. 56: 539-547, 1991. 

  40. Segal, R.A., Greenberg, M.E. Intracellular signaling pathways activated by neurotrophic factors. Annu Rev Neurosci. 19: 463-489, 1996. 

  41. Weston, C.R., Davis, R.J. The JNK signal transduction pathway. Curr Opin Genet Dev. 12: 14-21, 2002. 

  42. Whitmarsh, A.J., Davis, R.J. Transcription factor AP-1 regulation by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J Mol Med. 74: 589-607, 1996. 

  43. Xia, Z., Dickens, M., Raingeaud, J., Davis, R.J., Greenberg, M.E. Opposing effects of ERK and JNK-p38 MAP kinases on apoptosis. Science. 270: 1326-1331, 1995. 

  44. Flaherty, D.M., Hinde, S.L., Monick, M.M., Powers, L.S., Bradford, M.A., Yarovinsky, T., Hunninghake, G.W. Adenovirus vectors activate survival pathways in lung epithelial cells. Am J Physiol Lung Cell Mol Physiol 287(2):L393-401, 2004. 

  45. 김용현, 윤형규, 김치홍, 안중현, 권순석, 김영균, 김관형, 문화식, 박성학, 송정섭, 조경숙. 담배 연기에 의한 Muc5ac 유전자 발현에 관여하는 세포 내 신호 전달 경로로서의 ERK1/2와 p38 MAPK. 결핵 및 호흡기질환. 58(6):590-599, 2005. 

  46. Katrin Schuha, Andreas Pahl. Inhibition of the MAP kinase ERK protects from lipopolysaccharide-induced lung injury. Biochemical Pharmacology 77(12):1827-1834,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