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사회적 거리감과 관련 변인
A Study on the and Its Related Variables Social Distance of Adolescent of Multicultural Family in Rural Areas 원문보기

농촌지도와 개발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v.18 no.1, 2011년, pp.73 - 99  

정진환 (한서대학교 아동청소년복지학과) ,  이창식 (한서대학교 아동청소년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multicultural family gradually increased, our society is changing towards multicultural society.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the factors related with social distance of adolescent of multicultural family. The participants were 568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in S city, D and H county in Chung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다문화가정의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대해 알아보고, 다문화 가정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과 관련 변인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향후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건전한 성장에 필요한 다문화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회적 거리감과 다문화가정 청소년과의 친밀감, 자아존중감, 가치지향성, 문화의 다양성과의 관계성에 대해 파악하고자 변인들을 선정하였다.
  • 본 연구는 점차 다문화사회로 변해가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 일반청소년들이 느끼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중심으로 구하였다. 특히, 일반청소년들이 느끼는 사회적 거리감에 어떤 변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해 다문화가정의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과 관련변인을 파악함은 물론 향후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건전한 성장에 필요한 다문화교육의 기초자료로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점차 다문화사회로 변해가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 일반청소년들이 느끼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중심으로 구하였다. 특히, 일반청소년들이 느끼는 사회적 거리감에 어떤 변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해 다문화가정의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과 관련변인을 파악함은 물론 향후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건전한 성장에 필요한 다문화교육의 기초자료로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가설 설정

  • 넷째,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무엇인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적 거리감이란 무엇인가? 사회적 거리감은 사람들이 다양한 사회집단에 대해 갖고 있는 편견의 정도나 주관적 느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사회심리학에서 사용되는 개념이다(송관재, 김범준, 홍영오, & 이훈구, 1997). 이에 대한 개념적 논의는 일반적으로 Simmel(1890)의 연구로부터 비롯된다.
다문화가정이란? 다문화가정이란 통상적으로 국제결혼을 통해 형성된 가정을 지칭한다. 다문화가정은 학술적 용어, 법률적 용어나 정의는 아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권태환. (1986). 대학생들의 가치의식. 사회과학연구, 9(1), 110-138. 

  2. 강민주. (1993). 아동의 사회적 지지와 자기능력지각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갑석. (2009). 다문화가정이 한국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22, 217-256. 

  4. 김경연. (1987). 부모의 아동평가.자아존중.양육태도와 아동의 자아존중과의 관 계.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김미란. (2002). 청소년의 친구관계와 자아존중감.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김미옥. (2002).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14, 99-126. 

  7. 김성남. (2003). 에니어그램 집단상담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대인 관계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연화. (1986). 도시 주부의 가치관과 가사노동에 대한 태도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용미. (2008). 대학생의 가치관이 생활양식에 미치는 영향. 한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김춘례. (1992). 자아존중감에 따른 통제소재와 학업성취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김치영. (1987). 아동의 역량에 대한 자기지각과 학업 성취.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김희자. (2008). 외국인에 대한 청소년의 사회적 거리감. 한국사회, 9(1), 255-282. 

  13. 문성호. (2009). 고등학생의 가치관 명료도와 지각된 정서적 유능성 간의 관계.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박미금, & 장명욱. (1985). 도시 저임금 취업주부의 가정관리에 대한 가치의식과 가정관리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 1-13. 

  15. 박윤경. (2002). 외국인 노동자들의 사회적 자본과 사회적 거리감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박지연. (2008). 자아존중감이 청소년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박희원. (2009). 기업 인적자원개발 담당자의 가치지향성과 인적자원개발의 전략적 성숙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설동훈, & 윤홍식. (2008).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경제적 적응과 복지정책의 과제. 한국사회보장학회, 24(2), 109-133. 

  19. 설동훈. (2009). 한국사회의 외국인 이주 노동자-새로운 "소수자집단"에 대한 사회학적 설명. 수선사학회, 34(-), 53-77. 

  20. 송관재, 이재창, & 홍영오. (2001). 사회적 오점보유자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및 자존감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 7(1), 119-136. 

  21. 송미경, 지승희, 조은경, & 임영선. (2008). 다문화가정 외국인 모의 부모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 20(2), 497-517. 

  22. 송인섭. (1996). 자아개념의 교육심리학적 의미. 교육심리연구, 10(1), 1-24. 

  23. 송현종. (1993).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관한 귀인모형의 인과적 분석.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4. 어옥자. (2003).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수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오승환. (2001). 저소득 결손가족 청소년의 적응 결정요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6. 유난영. (2008).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연구-김포시 일반 청소년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윤 진. (1993). 청소년에 관한 심리학적 연구방향. 청소년학연구, 1(1), 17-26. 

  28. 이민영. (2009).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있어 담임교사와 학생간의 상관 관계와 통합여부에 따른 차이.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이성언, & 최유. (2006). 다문화가정 도래에 따른 혼혈인 및 이주민의 사회통합을 위한 법제 지원 방안 연구. 서울: 한국법제연구원. 

  30. 이승미. (2006). 프랑스의 문화다양성에 관한 연구-'문화다양성협약'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이영란. (2003). 가치관과 성격특성에 따른 한국인의 생활행동.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인태정. (2009). 다문화 사회지향을 위한 인종의 사회적 거리감과 문화의 다양성태도 연구. 국제지역연구, 13(2), 339-369. 

  33. 임이숙. (2005). 문화다양성 시대의 음악교육과정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장혜연. (2001). 대학생과 고등학생의 가치관과 의복행동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전경숙. (2008). 경기도 지역의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청소년의 생활실태조사. 한국청소년상담연구, 16(1), 167-185. 

  36. 정기원. (2006). 부산지역 일반계 및 실업계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 아동과 권리, 10(2), 185-211. 

  37. 조영달. (2006).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 실태조사.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38. 정찬석. (1997). 자아존중감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경미한 비행을 보이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9. 최희영. (2005).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0. 한미숙. (2009).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호남신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황범주. (2008).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교육정책분석. 안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2. Belk, J. H. (1985). Materialism : trait aspects of living in the material world.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2, 265-280. 

  43. Coopersmith, S. (196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W. H. Freeman. 

  44. Erikson, E. H. (1963). Childhood & society. New York: Norton. 

  45. Ford, M. E. (1982). Social cognition and social competence in adolescence. Developmental Psychology, 18, 323-340. 

  46. Harter, S. (1990). The Perceived competence scale of college students.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Denver. 

  47. Kurdek, L. A., & Krile, D. (1982). A Developmental analysis of relation between peer acceptance and both interpersonal understanding and perceived social self-competence. Child Development, 53, 1485-1491. 

  48. Laumann, F. O. (1965). Subjective social distance and urban occupational stratification.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71, July, 23-36. 

  49. Nottleman, E. D. (1987). Competence and self-esteem during transition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Developmental Psychology, 23, 441-450. 

  50.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 image. Princeton: N, J: Princeton University press. 

  51. Waterman, A. S. (1990). Identity in adolescence. In J. Adelson (Ed.), Handbook of adolescent psychology. New York: Wiley. 

  52. Westie, F. R. (1952). Negro-white status differentials and social distance.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17(5), 550-55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