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심박변이도에 기공(氣功) 자세(姿勢)가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Qigong Position on Heart Rate Variability 원문보기

韓國韓醫學硏究院論文集 =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ine, v.17 no.2 = no.32, 2011년, pp.85 - 100  

정대선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기공학교실) ,  박지하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기공학교실) ,  박수진 (인제대학교 약리학교실 약물유전체연구센터) ,  한창현 (한국한의학연구원 문헌연구센터) ,  이상남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기공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our common types of Qigong position (standing, sitting, supine, and horse-riding position) o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Method : Thirty healthy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once a week for four weeks. Heart Rate Variability (HRV)...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氣功이란 무엇인가? 氣功은 장기간에 걸친 질병이나 노쇠와의 투쟁 과정에서 자신의 心身을 단련하기 위하여 점차적으로 만들어진 일종의 方法과 理論 가운데 하나이다1). 오늘날 흔히 사용되는 氣功이라는 명칭은 淸末에 편찬된 ⌜少林券術秘訣⌟第一章<氣功闡微> 중에 ‘氣功之設有二하니 一日養氣요 二日練氣니라’고 한데서 찾아볼 수 있다2).
기공수련법이 한의학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기공수련법은 인체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방법이 된다는 점과 ‘氣’를 다룬다는 점에서 한의학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게 되는데, 일찍이 『黃帝內經』에서는 “聖人不治己病 治未病 不治己亂 治未亂”이라 하였고3), 許浚은 『東醫寶鑑』에서 “道家 以淸淨修養爲本 醫門 以藥餌鍼灸爲治 是道得其精 醫得其粗也”라 말하였다4). 한의학의 특징은 氣이다.
氣功 자세가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立式, 坐式, 臥式, 騎馬式을 정상 성인 30명에게 취하도록 하고, 자세 전, 중, 후에 심박변이도를 측정하여 얻은 결론은 무엇인가? 1. 입식 중에 심박변이도는 norm LF, LF/HF는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mean RR, SDNN, LOG TP, LOG VLF, LOG LF, LOG HF, norm HF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2. 좌식 중에 심박변이도는 LOG LF, LOG HF, norm HF는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norm LF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3. 와식 중에 심박변이도는 mean RR, LOG LF, LOG HF, norm HF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HRT, norm LF, LF/HF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4. 기마식 중에 심박변이도는 HRT, norm LF, LF/HF는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mean RR, LOG HF, norm HF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姜孝信, 李政祜 編譯. 氣功學. 서울. 一中社. 1998. 2. 

  2. 王玉川 主編. 中醫養生學. 上海. 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92. 106. 

  3. 洪元植. 校正黃帝內經素問. 서울. 東洋醫學硏究院. 1985. 14. 

  4. 許浚. 東醫寶鑑. 서울. 大成文化社. 1981. 85. 

  5. 방건웅. 氣가 세상을 움직인다 1부. 대전. 예인. 2005. 489. 

  6. 신성원, 이재흥, 이은미. 기마자세에 관한 고찰. 대한의료기공학회지. 2003 ; 7(1) : 98-126. 

  7. 한창현, 이상남, 권영규, 최선미. 한국 저널에 게재된 기공관련 연구 동향 분석.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8 ; 22(4) : 954-959. 

  8. 김현태. 고전의서 중 도인기공법에 관한 문헌 연구.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9. 반창열, 지선영, 강효신. 삼일신고 진리훈에 나타난 기공원리 및 한의학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대한의료기공학회지. 2000 ; 4(2) : 153-86. 

  10. 김길수, 구병수. 동의보감에 나타난 기공에 대한 고찰.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1998 ; 9(2) ; 111-130. 

  11. 김성진, 지선영. 동의보감 내경편 신형문의 의료기 공학적 의의에 관한 고찰. 대한의료기공학회지. 2001 ; 5(1) : 303-24. 

  12. 김경철. 기공체조가 여성 견비통 환자의 생혈액 형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4 ; 18(5) : 1516-19. 

  13. 김종우, 오재근, 황의환. '내경일지선' 기공수련이 대학생의 운동부하 스트레스 후의 심폐기능 및 Catecholamine 변화에 미치는 영향.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1996 ; 7(1) : 39-48. 

  14. 김경철, 김훈. 한방 기공체조가 심박변이율에 끼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6 ; 20(3) : 544-547. 

  15. 윤현민, 김미영, 김이순, 임진섭. 도인기공체조가 여성의 견비통에 미치는 효과. 대한침구학회지. 2005 ; 22(1) : 177-190. 

  16. 강희훈, 강효신. 체열진단기에 의한 기공수련 전후의 체표온의 변화 관찰. 제한동의학술원논문집. 1997 ; 2(1) : 71-82. 

  17. 노일호, 김병완, 정광조, 조정효, 황상준, 오민석. 외기 요법이 체표온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003 ; 12(1) : 147-168. 

  18. 강순수. 한의학에서의 기(氣)의 개념. 동서의학. 1980 ; 5(1) : 36-8. 

  19. 구병수. 기(氣)의 고찰.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1994 ; 5(1) : 103-124. 

  20. 최삼섭. 기에(氣) 대한 소고( 을 중심으로). 대한원전의사학회지. 1993 ; 7(0) : 84-90. 

  21. 정찬원, 최찬헌, 윤유식, 소철호, 나창수, 장경선. EEG, fMRI, EAV 및 SQUID장치를 이용한 기공현상 측정. 대한경락경혈학회지. 2004 ; 21(2) : 1-28. 

  22. 김경환, 윤종화. 기공의 도인법과 12정경의 연관성에 관한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1996 ; 3(1) : 92-129. 

  23. 김선민, 송일병. 에서의 양생에 관한 고찰. 사상체질의학회지. 2000 ; 12(1) : 101-109. 

  24. 이상남, 권영규. 어깨지지형 도립위가 기공수련 전후의 뇌파 및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8 ; 22(4) : 918-928. 

  25. Murakawa Y, Ajiki K, Usui M, Yamashita T, Oikawa N, Inoue H. Parasympathetic activity is a major modulator of the circadian variability of heart rate in healthy subjects and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or diabetes mellitus. Am Heart J. 1993 ; 126(1) : 108-14. 

  26. 전중선, 전세일, 조경자, 진미령, 김태선, 김덕용 외. 심박변동의 Power Spectrum 분석에 의한 정상 성인의 자율신경기능 평가. 대한재활의학회지. 1997 ; 21(5) : 928-35. 

  27. Mukai S, Hayano J. Heart rate and blood pressure variabilites during graded headup tilt. J Appl Physiol. 1995 ; 78(1) : 212-6. 

  28. 길정수, 권호열. Analysis of Heart Rate Variability Signals in Time-Domain and Frequency-Domain. 강원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논문집. 2002 ; 22(B) : 163-7. 

  29. 박영재, 박영배. 통계기법을 활용한 변증 정량화 연구. 대한한의진단학회지. 2001 ; 5(2) : 306-30. 

  30. 남동현, 박영배. 연령별 맥박변이도 표준화에 관한 연구. 대한한의진단학회지. 2001 ; 5(2) : 331-49. 

  31. 박종관 저. 중국경기공. 서울. 서림문화사. 1994. 53-54. 

  32. 이재흥, 이은미, 신성원. 기마자세에 관한 고찰. 대한의료기공학회지. 2003 ; 7(1) : 98-126. 

  33. Kamath MV, Fallen EL. Power spectral analysis of heart rate variability : a noninvasive signature of cardiac autonomic function. Crit Rev Biomed Eng. 1993 ; 21(3) : 245-311. 

  34. Cowan MJ. Measurement of heart rate variability. West J Nurs Res. 1995 ; 17(1) : 32-48. 

  35. Task Force of the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and the North American Society of Pacing and Electrophysiology. Heart rate variability. Standards of measurement, physiological interpretation, and clinical use. Eur Heart J. 1996 ; 17(3) : 354-81. 

  36. 이용제, 김문성, 김범택, 곽태환, 심재용, 이혜리. 대사증후군과 심박동수 변이와의 관계. 가정의학회지. 2002 ; 23(12) : 1432-9. 

  37. 지남규, 이경섭, 문상관, 고창남, 조기호, 김영석 외. 뇌졸중 환자의 성별과 부위에 대한 Heart Rate Variability의 변화. 대한한방내과학회지. 1998 ; 19(2) : 7-16. 

  38. 김상규, 최양묵, 이경무, 신철진, 김용민. 장기 침상 안전이 심박 변화율에 미치는 효과. 대한재활의학회지 2004 ; 25(4) :25-33. 

  39. 정인태, 이상훈, 김수영, 차남현, 김건식, 이두익, 이재동, 임사비나, 이윤호, 최도영. 만성두통환자에 대한 침치료가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5 : 22(3) ; 105-11. 

  40. Routledge HC, Chowdhary S, Townend JN. Heart rate variability-a therapeutic target? J Clin Pharm Ther 2002 ; 27(2) : 85-92. 

  41. Achten J. Jeukendrup AE. Heart rate monitoring: applications and limitations. Sports Med. 2003 ; 33(7) : 517-38. 

  42. Cowan MJ. Measurement of heart rate variability. West J Nurs Res. 1995 ; 17(1) : 32-48. 

  43. Akselrod S, Gordon D, Ubel FA, Shannon DC, Berger AC, Cohen RJ. Power spectrum analysis of heart rate fluctuation : a quantitative probe of beat-to-beat cardiovascular control. Science. 1981 ; 213(4504) : 220-1. 

  44. Pomeranz B, Macaulay R, Caudill M, Kutz I, Adam D, Gordon D, et al. Assessment of autonomic function in human by heart rate spectral analysis. Am J Physiol 1985 ; 248 : 151-3. 

  45. Cerutti S, Balzarotti R, Baselli G, Liberati D. Methods of Parametric Spectral Estimation applied to Biological Signal Processing. Biomed. Meas. Inform. Contr. 1986 ; 1 : 114-24. 

  46. Kawamoto M, Tanaka M. Power spectral analysis of heart rate variability after anaesthesia. Br J Anaesth. 1993 ; 71 : 523-7. 

  47. Shin KS. The Study on Power Spectral Analysis of Heart Rate Variability for Assessment of Autonomic Function in Cardiovascular Control. Ph. D Dissertation. Institute of Biomedical Engineering Keio Univ. Japan. 1995. 

  48. 전중선, 전세일, 안준, 박승현, 백소영, 강윤주 외. 뇌졸중 환자에서 심박변동의 Power Spectrum 분석에 의한 자율신경기능 평가. 대한재활의학회지. 1998 ; 22(4) : 778-83. 

  49. Akselrod S, Gordon D, Ubel FA, Shannon DC, Berger AC, Cohen RJ. Power spectrum analysis of heart rate fluctuation : a quantitative probe of beat-to-beat cardiovascular control. Science. 1981 ; 213(4504) : 220-1. 

  50. Shin K, Minamitani H, Onishi S, Yamazaki H, Lee M. Autonomic differences between athletes and nonathletes : spectral analysis approach. Med Sci Sports Exerc. 1997 ; 29(11) : 1482-90. 

  51. Malliani A, Lomvardi F, Pagani M. Power spectrum analysis of heart rate variability : a tool to explore neural regulatory mechanisms. Br Heart J. 1994 ; 71(1) : 1-2. 

  52. Montano N, Ruscone TG, Porta A, Lombardi F, Pagani M, Malliani A. Power spectrum analysis of heart rate variability to assess the changes in sympathovagal balance during graded orthostatic tilt. Circulation. 1994 ; 90(4) : 1826-31. 

  53. Kuo TB, Lin T, Yang CC, Li CL, Chen CF, Chou P. Effect of aging on gender differences in neural control of heart rate. Am J Physiol. 1999 ; 277(6 pt 2) : H2233-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