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류의 어원과 사용에 관한 연구
Study of Korean Wave's The Origin and the Usag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1 no.9, 2011년, pp.166 - 173  

장규수 (연예산업연구소)

초록

아시아는 약10년을 주기로 특정 국가의 문화가 유행을 주도하는 경향을 보여 왔다. 1980년대 홍콩영화의 유행을 '항류(港流)'라 칭했고, 1990년대 일본 TV드라마, 애니메이션, 게임 등의 유행을 '일류(日流)'라 칭했으며, 1990년대 말부터 '한류(韓流)'가 시작되었다. 이러한 '~류(流)'라는 표현은 '~식', '~스타일', '~파' 등의 뜻으로 일본에서 사용되어온 일본식 용어다. 최근 일본에서 유행하고 있는 대만 TV드라마와 특정 스타의 인기를 '대류(臺流)'라 부르다가, 중국 영화, 방송, 관광 등의 인기를 총칭하여 '화류(華流)'라고 부르는 것 또한 마찬가지다. 이렇듯 한류라는 용어는 일본에서 사용되는 '~류'의 일환으로 1999년 한국문화부에서 한국대중음악을 홍보하기 위해 배포한 음반 <韓流-Song from Korea>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 최근 한류의 열기가 한풀 꺾이며 화류의 열기가 그 자리를 대체하고 있음을 볼 때, 지금이라도 한류의 어원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바로잡고, 한국문화를 표현하는 용어의 확립과 그 사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ia has shown a tendency that a certain country's culture leads the fashion in turn every 10 years. The trend of Hong Kong movies in 1980's was called 'Hong Kong Wave', the trend of Japanese animation and games in 1990's was called 'Japanese Wave', and then the 'Korean Wave' began in the late 199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렇게 한류에 대해 제대로 된 연구조차 안된 상황에서 한류의 열풍, 붐에 편승하여 경제적 논리를 앞세운 무차별적인 산업적 접근과 계획성 없는 전시행정으로 인해 최근 한류가 더 이상 발전하지 못하고 쇠퇴하고 있다는 비판도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류라는 용어의 정확한 어원과 유사용어의 사용현황에 관하여 직접 현장자료를 수집하였는데, 중국과 대만 그리고 일본의 현장전문가를 인터뷰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즉, 본 연구는 이론적 연구와 함께 참여관찰(participant observation), 심층인터뷰(depth interview)2) 등을 통한 질적 연구를 추가하여 연구자가 십여 년간 현장에서 일하며 수집한 자료와 전문가의 증언을 근거로 한류의 정확한 어원과 사용에 관하여 정리했다.
  • 이에 본 연구는 한류라는 용어의 정확한 어원과 유사용어의 사용현황에 관하여 직접 현장자료를 수집하였는데, 중국과 대만 그리고 일본의 현장전문가를 인터뷰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즉, 본 연구는 이론적 연구와 함께 참여관찰(participant observation), 심층인터뷰(depth interview)2) 등을 통한 질적 연구를 추가하여 연구자가 십여 년간 현장에서 일하며 수집한 자료와 전문가의 증언을 근거로 한류의 정확한 어원과 사용에 관하여 정리했다.

가설 설정

  • ”며 화류라는 용어를 중국에서 공식적으로 사용한 사례도 있다.15) 이처럼 화류라는 용어가 일본에서 보다 한국에서 먼저 사용된 이유는 당시에 한류가 큰 붐을 일으키고 있었기 때문에 급성장하고 있는 중국문화와 비교하는 의미에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이다. 따라서 화류라는 용어도 한류에 대응하는 용어로 일본의 언론이 만들어서 사용한 것이 아니라 한국에서 그 용어를 먼저 사용하기 시작했고, 이후 일본에서 대만 TV드라마와 스타들의 인기가 일어나면서 대류에 이어 화류라는 용어를 널리 사용하게 되었다는 것이 정확한 사실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류(韓流)란? 한류(韓流)는 한국의 대중문화 즉 영화, 방송, 대중음악, 패션 등이 해외에서 인기몰이를 하고 있는 현상을 말한다. 최근에는 한류로 인한 파생효과 또는 새로운 분야나 지역에서의 인기몰이를 신한류(新韓流)로 부르기도 한다.
한류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은 이유는? 그러나 한류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그 동안 한류의 발생 원인과 어원에 대한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지난 십여 년 동안 정치, 경제, 문화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한류를 내세우며 장밋빛 미래를 계획해왔지만, 대부분 정확하지 않은 일부 언론의 보도와 저서의 내용을 그대로 재인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심지어“한류는 중국에서 일고 있는 한국 대중문화의 열기를 표현하기 위해 2000년 2월 중국 언론이 붙인 용어다.
한류의 영어표기는? 그리고 한류의 영어표기는 'Korean Wave' 또는 'Korean Fever' 그리고 'Hanliu' 또는 ‘Hallyu'이다.12) 현재 한류의 어원과 정의에 대한 정확한 연구가 부족하여 일본식 용어임에도 국내에서도 널리 사용되며 '한류 월드(Hanllyu World)' 등의 정책 사업에도 사용되는 등문제가 많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강근철, 한류 이야기, 이채출판사, 2006. 

  2. 고정민, 한류 아시아를 넘어 세계로, 국제문화산업교류재단, 2010. 

  3. 고정민, 한류포에버: 한류의 현주소와 경제적효과 분석, 국제문화산업교류재단, 2008. 

  4. 김병욱, 미래 스펙트럼 '한류' 분해, 킴스정보전략 연구소, 2005. 

  5. 심상민, "국제문화교류 활성화를 통한 한류비즈니스 강화 전략", 인문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호, pp.113-135, 2008, 

  6. 윤경한, 韓??中 文化交流의 相互認識에 대한 比較 硏究 : 韓流와 漢潮에 대한 양국대학생의 認識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논문, 2008. 

  7. 이지형, "중국과 동남아에서 한류", 월간조선, 11월호, 2001. 

  8. 장규수, 연예매니지먼트시스템의 선진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논문, 2011. 

  9. 장규수, "한국 대중음악의 해외진출 사례와 전략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논문지, 제2호, pp.217-238, 2009. 

  10. 조한혜정, 한류와 아시아의 대중문화, 연세대학교출판부, 2003. 

  11. 하윤금, 한류의 안정적 기반구축과 방송 연예매니지먼트 산업의 개선을 위한 해외사례연구, 한국콘텐츠진흥원, 2006. 

  12. 엔터테인먼트아시아네트워크, 글로벌음악시장 지형도작성 및 한국음악의 해외진출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13. The Korea herald, Korean Wave, 지문당, 2008. 

  14. 臺灣行政院文化建設委員會, 創意臺灣, 文化創意産業發展方案, 2009. 

  15. 陸揚, 大衆文化理論, 復旦大學出版社, 2008. 

  16. ?玉剛, 劉自雄, 大衆文化通論, 中國廣播電視出版社, 2007. 

  17. 小倉紀藏, 韓流インパクト : ルックコリアと日本の主?化, 講談社, 2005. 

  18. 小倉紀藏, 小針進 편, 韓流ハンドブック, 親書?, 2007. 

  19. 岩?功一, トランスナ ショナル??ジャパン, 전오경, 또 하나의 문화, 2004.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