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철도건설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평가
The Evaluation of GHG Emissions in Railroad Construction Sector 원문보기

한국철도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v.14 no.3 = no.64, 2011년, pp.271 - 275  

이재영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환경연구실) ,  정우성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환경연구실) ,  황인환 (한국철도시설공단 KR 연구원 정책연구소) ,  김용기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환경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부의 녹색성장 국가전략에 따라 철도로의 수송수요 전환은 수송분야의 온실가스 총 배출량을 저감하는 대표적인 방안 중 하나이다. 이에 수송수단간 온실가스 배출량을 비교하기 위해 철도분야의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으나, 대부분 운영단계 위주이며 건설단계는 제외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철도건설 시 온실가스 배출량을 평가하기 위해 A 노선의 토목, 궤도, 건축, 전철전력 공사 일부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철도건설의 주요 온실가스 배출원은 중장비의 연료사용으로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 중 토목공사가 96%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배출원단위는 2.191톤 $CO_2e/m$이었다. 토목공사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공종별 온실가스 배출원단위가 토공, 터널, 교량, 정거장의 순으로 나타났다. 향후 추가적으로 시스템 경계를 확장하여 철도운영, 유지보수, 폐기 단계를 포함한 전과정적인 접근을 통해 철도 전체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ording to governmental policies for green growth, the increase in the traffic volume of railroad is a representative method to reduce total greenhouse gas (GHG) emitted from transport. Comprehensive assessment for the GHG emission of railroad has been studied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transp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온실가스 배출측면에서 수송수단별 비교 평가는 현재까지 대부분 운행단계의 에너지소비량을 기준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최근에는 선진국을 중심으로 인프라 건설단계, 차량제작단계, 유지보수단계, 폐기단계 등을 모두 포함한 전과정적인 접근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철도건설단계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평가하기 위하여 A 노선 일부 구간의 설계자료를 이용하여 배출량과 배출원단위를 산정하였다. 철도건설의 온실가스는 주로 사용되는 건설장비의 연료소비에 의해 발생하였으며, 특히 토목분야가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 국내에서는 국토해양부의 ‘건설기술진흥 기본계획’에 따라 최근 건설 시설물에 대한 탄소배출량 산정기법이 연구(2010)되었으나, 구체적인 온실가스 통계시스템 확보 등은 아직까지 실질적으로 부족하며, 게다가 철도건설현장에 적용한 사례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8].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철도건설단계에서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평가하기 위하여 대상 노선을 선정하고 주요 배출원인 건설장비를 대상으로 토목, 궤도, 건축, 전철전력 분야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량 및 배출원단위를 산정하였다.

가설 설정

  • 사용된 화석연료량과 단위 연료 당 온실가스 배출량을 나타내는 배출계수를 이용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한다. 이동연소 배출원의 온실가스 배출계수는 Table 4와 같이 IPCC 2006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비도로(off-road) 수송의 배출계수를 적용하며, 이때, 휘발유의 경우에는 4행정(4-stroke)으로 가정한다[9]. 또한 고정연소 배출원의 온실가스 배출계수는 IPCC 2006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건설부문의 연료원별 배출계수를 적용한다(Table 5)[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온실가스 감축에 관심이 쏠리는 배경은 무엇인가? 최근 이상기후 현상에 따른 피해사례가 전 세계적으로 빈번히 발생하면서 지구온난화의 주요 원인인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국제사회의 움직임이 더욱 현실화되고 있다. 특히 2008년부터 2012년까지 교토의정서 상의 온실가스 1차 의무감축기간이 중반을 넘어가면서 2013년부터 시작되는 포스트 교토체제에서의 신규 감축목표 수립과 정책방향 설정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철도건설현장의 온실가스 주요 배출원은 무엇으로 나뉘는가? 철도건설현장의 온실가스 주요 배출원은 사용되는 중장비의 에너지 소비로 화석연료 연소에 의한 직접배출원(direct emission)과 전력사용에 의한 간접배출원(indirect emission)으로 나눌 수 있다[9]. 직접배출원은 이동식 건설장비가 포함되는 이동연소(mobile combustion) 배출원과 고정장비가 포함되는 고정연소(stationary combustion) 배출원으로 다시 분류할 수 있다.
철도건설단계의 온실가스배출량을 평가한 결과는 무엇인가? 본연구에서는 철도건설단계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평가하기 위하여 A 노선 일부 구간의 설계자료를 이용하여 배출량과 배출원단위를 산정하였다. 철도건설의 온실가스는 주로 사용되는 건설장비의 연료소비에 의해 발생하였으며, 특히 토목 분야가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토목 분야의 공종별 온실가스 배출원단위는 토공 > 교량 > 터널 > 정거장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건설장비의 사용이 적은 건축 및 전철전력 분야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체의 1% 미만이었다. 결론적으로 철도건설현장은 다수의 건설장비에 의한 에너지 사용에 따라 높은 온실가스 배출량이 발생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본 연구의 시스템 경계에는 포함하지 않았으나, 철도건설 시 사용되는 자재소모도 추가적인 온실가스 배출원으로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토대로 향후 자재사용까지 범위를 확장하여 철도건설단계의 온실가스 배출평가뿐만 아니라 운행단계의 데이터와 연계하여 전과정에 걸친 철도의 탄소발자국 산정 연구가 추가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J.Y. Lee, Y.K. Kim, H.T. Yoon, Y.H. Yang (2005) Evaluation of environmental impacts for the bogie of electric motor unit using simplified life cycle assess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8(5), pp. 210-215. 

  2. J.Y. Lee, S.W. Kim, H.G. Bin, W.S. Jung (2010) A study on the action plan of railroad industry under GHG & energy target management system in Korea, 2010 Fall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Jeju, Korea, pp.170. 

  3. J.Y. Lee et al. (2010) A study on the calculation method of GHG emission in railroad construction, 2010 Spring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Changwon, Korea, pp. 2353-2355. 

  4. Henning Schwarz (2008) Carbon footprint of high-speed railway infrastructure (pre-study); Methodology and application of high speed railway operation of European railways, UIC, pp. 11-20. 

  5. Peter Truitt (2009) Potential for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in the construction sector,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pp. 11-25. 

  6. Altern Consult and Inexia (2009) $1^{st}$ Global Rail Carbon, ADEME, RFF and SNCF, pp. 9-12. 

  7. Japan Railway Construction, Transport and Technology Agency (2009) Environmental report 2009, JRTT, pp. 21-23. 

  8. W.W. Hwang (2010) A Study on assessment method of carbon emission for infrastructur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MLTM), pp. 210-236. 

  9.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06),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IPCC, pp. 753-780. 

  10. Ministry of Knowledge Economics (2010) Enforcement regulations of Energy Basic Law: The conversion standard of energy calorie as an attached table. 

  11.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1995) IPCC second assessment: Climate Change 1995 - The Science of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21. 

  12. Korea Power Exchange (2008) Development of GHG emission factor in a power generation sector, KPX, pp. 35-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