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인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의 치료반응과 체중증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Association between the Weight Gain and Treatment Response to Atypical Antipsychotics in Korea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원문보기

생물정신의학 =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v.18 no.4, 2011년, pp.225 - 231  

이재병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함병주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이화영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이민수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Atypical antipsychotics show better treatment efficacy, safety and tolerability than typical antipsychotics. Among the adverse events observed during treatment with antipsychotics, extrapyramidal syndrome (EPS) and negative symptoms has been greatly reduced. But still, weight gain is re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의 입원 환자의 항정신병 약물치료 후 퇴원할 당시의 증상 호전도와 체중증가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임상적인 실제에서 일어나는 자연적인 연구(naturalistic study)로서 비교의 대상이 되는 항정신병 약물의 투여는 임상적 판단에 따라 결정되었으며, 개개의 환자에 따라 자유롭게 용량조절이 이루어졌다. 항정신병 약물 이외의 다른 향정신병 약물이나 항콜린성 약물도 각 주치의의 임상적 판단에 따라 자유롭게 투여되었다.
  • 본 연구는 입원치료 환경을 통하여 환자들의 폭식이나 야식 등 불규칙적인 식사를 차단하고, 규칙적인 식사와 산책, 프로그램 등을 제공함으로서 연구대상군들에게 적절하고 동일한 영양과 활동량을 제공할 뿐 아니라, 규칙적인 투약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궁극적으로 연구대상군의 식이량이나 활동량과 같은 체중증가의 변수를 통제하여 환자의 치료반응과 체중증가의 상관성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본 연구는 정신분열병의 진단으로 단일 병원에서 입원치료를 받은 환자들의 병상기록 검토를 통해 이루어진 후향적 연구이며, 실제적 임상 상황에서 임상의의 자율적인 판단에 의해 치료가 이루어진 자연적인 연구이다. 자연적 연구는 실제 임상 상황을 보다 정확히 반영하여 임상가들이 치료 상황에 적용하는데 보다 유용한 측면이 있다고 하겠다.
  • 본 연구는 한국인 정신분열병 입원 환자군에서 항정신병 약물의 치료반응이 체중증가와의 관련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에는 이번 연구에서 보인 제한점들을 고려한 후속연구로 본 연구의 결과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 첫째, 항정신병 약물에 대한 치료반응을 통제된 방법이 아닌 자연적, 실제 치료 환경에서 개방적으로 평가한 후향적 연구라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체중증가에 보다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olanzapine, clozapine과 같은 항정신병 약물과 체중증가에 상대적으로 적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ziprasidone, aripiprazole과 같은 여러 종류의 항정신병 약물을 처방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엄격한 실험적 조건하에서 단기간 치료 후 결과를 조사하고, 환자 선택 및 제외 기준이 지나치게 엄밀하여 실제 임상 상황에서의 사용에 비하여 상당히 제한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시행되어왔다.

가설 설정

  • 25)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은 H1수용체 및 5-HT2, D2수용체 등과 높은 친화도를 지니고 있고, 이를 통해 식욕의 조절에 관여하여 체중이 증가한다는 가설이 알려져 있다.26) 한편, 5-HT2수용체가 차단되면 지방보다는 탄수화물의 산화를 증가시켜 식욕을 자극하고 지방축적을 유도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신분열병이란? 정신분열병은 인간의 사고, 정동, 지각, 행동 등의 와해를 일으키는 질환으로서 증상뿐만 아니라 경과, 치료반응, 예후 면에서도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정신분열병에 대한 일차적 치료는 항정신병 약물치료이며, 최근에는 음성증상에 효과적이고 부작용이 적은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정신분열병에 대한 일차적 치료는? 정신분열병은 인간의 사고, 정동, 지각, 행동 등의 와해를 일으키는 질환으로서 증상뿐만 아니라 경과, 치료반응, 예후 면에서도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정신분열병에 대한 일차적 치료는 항정신병 약물치료이며, 최근에는 음성증상에 효과적이고 부작용이 적은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1)2)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은 과거 주로 사용되었던 정형 항정신병 약물에 비하여 치료 효과와 부작용의 감소, 약물 순응도 면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이며, 특히 추체외로 증상의 감소 및 음성증상의 개선에 좋은 효과를 보인다.
양성 및 음성 증후군 척도의 특징은? 이 척도는 모두 30항목으로 되어 있고 형식적이며 반구조화된 임상적 면담과 기타 정보의 출처에 근거하여 양성척도(7개 항목), 음성척도(7개 항목) 및 일반정신병리척도(16개 항목)을 정량화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며, 각 항목당 심한 정도에 따라 1점에서 7점까지 평가하게 되어 있다. 이 척도는 정신과 전문의에 의해 측정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David SR, Taylor CC, Kinon BJ, Breier A. The effects of olanzapine, risperidone, and haloperidol on plasma prolactin levels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Clin Ther 2000;22:1085-1096. 

  2. Tollefson GD, Beasley CM Jr, Tran PV, Street JS, Krueger JA, Tamura RN, et al. Olanzapine versus haloperidol in the treatment of schizophrenia and schizoaffective and schizophreniform disorders: results of an international collaborative trial. Am J Psychiatry 1997;154:457-465. 

  3. Rege S. Antipsychotic induced weight gain in schizophrenia: mechanisms and management. Aust N Z J Psychiatry 2008;42:369-381. 

  4. Casey DE. The relationship of pharmacology to side effects. J Clin Psychiatry 1997;58 Suppl 10:55-62. 

  5. Allison DB, Mentore JL, Heo M, Chandler LP, Cappelleri JC, Infante MC, et al. Antipsychotic-induced weight gain: a comprehensive research synthesis. Am J Psychiatry 1999;156:1686-1696. 

  6. Ganguli R. Weight gain associated with antipsychotic drugs. J Clin Psychiatry 1999;60 Suppl 21:20-24. 

  7. Lieberman JA, Stroup TS, McEvoy JP, Swartz MS, Rosenheck RA, Perkins DO, et al. Effectiveness of antipsychotic drugs in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N Engl J Med 2005;353:1209-1223. 

  8. Weiden PJ, Mackell JA, McDonnell DD. Obesity as a risk factor for antipsychotic noncompliance. Schizophr Res 2004;66:51-57. 

  9. Theisen FM, Linden A, Geller F, Schafer H, Martin M, Remschmidt H, et al. Prevalence of obesity in adolescent and young adult patients with and without schizophrenia and in relationship to antipsychotic medication. J Psychiatr Res 2001;35:339-345. 

  10. Brixner DI, Said Q, Corey-Lisle PK, Tuomari AV, L'italien GJ, Stockdale W, et al. Naturalistic impact of second-generation antipsychotics on weight gain. Ann Pharmacother 2006;40:626-632. 

  11. Czobor P, Volavka J, Sheitman B, Lindenmayer JP, Citrome L, McEvoy J, et al. Antipsychotic-induced weight gain and therapeutic response: a differential association. J Clin Psychopharmacol 2002;22: 244-251. 

  12. Ascher-Svanum H, Stensland M, Zhao Z, Kinon BJ. Acute weight gain, gender, and therapeutic response to antipsychotics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BMC Psychiatry 2005;5:3. 

  13. Garyfallos G, Dimelis D, Kouniakis P, Sidiropoulos N, Karastergiou A, Lavrentiadis G, et al. Olanzapine versus risperidone: weight gain and elevation of serum triglyceride levels. Eur Psychiatry 2003;18:320-321. 

  14.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American Association of Clinical Endocrinologists; North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Obesity. Consensus development conference on antipsychotic drugs and obesity and diabetes. Diabetes Care 2004;27:596-601. 

  15. Kay SR, Fiszbein A, Opler LA.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PANSS) for schizophrenia. Schizophr Bull 1987;13:261-276. 

  16. Woods SW. Chlorpromazine equivalent doses for the newer atypical antipsychotics. J Clin Psychiatry 2003;64:663-667. 

  17. Muller MJ, Wetzel H, Eich FX, Rein W, Puech A, Benkert O; Amisulpride Study Group. Dose-related effects of amisulpride on five dimensions of psychopathology in patients with acute exacerbation of schizophrenia. J Clin Psychopharmacol 2002;22:554-560. 

  18. Simpson GM, Josiassen RC, Stanilla JK, de Leon J, Nair C, Abraham G, et al. Double-blind study of clozapine dose response in chronic schizophrenia. Am J Psychiatry 1999;156:1744-1750. 

  19. Tzimos A, Samokhvalov V, Kramer M, Ford L, Gassmann-Mayer C, Lim P, et al. Safety and tolerability of oral paliperidone extended- release tablets in elderly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with six-month open-label extension. Am J Geriatr Psychiatry 2008;16:31-43. 

  20. Jalenques I, Tauveron I, Albuisson E, Audy V. [Weight gain and clozapine]. Encephale 1996;22 Spec No 3:77-79. 

  21. Wetterling T, MUssigbrodt HE. Weight gain: side effect of atypical neuroleptics? J Clin Psychopharmacol 1999;19:316-321. 

  22. Kalucy RS. Drug-induced weight gain. Drugs 1980;19:268-278. 

  23. Bustillo JR, Buchanan RW, Irish D, Breier A. Differential effect of clozapine on weight: a controlled study. Am J Psychiatry 1996; 153:817-819. 

  24. Bai YM, Lin CC, Chen JY, Lin CY. Weight gain among patients on clozapine. Psychiatr Serv 1999;50:704-705. 

  25. Shrivastava A, Johnston ME. Weight-gain in psychiatric treatment: risks, implications, and strategies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Mens Sana Monogr 2010;8:53-68. 

  26. Wetterling T. Bodyweight gain with atypical antipsychotics. A comparative review. Drug Saf 2001;24:59-73. 

  27. Stanton JM. Weight gain associated with neuroleptic medication: a review. Schizophr Bull 1995;21:463-472. 

  28. Baptista T. Body weight gain induced by antipsychotic drugs: mechanisms and management. Acta Psychiatr Scand 1999;100:3- 16. 

  29. Jin H, Meyer JM, Mudaliar S, Jeste DV. Impact of atypical antipsychotic therapy on leptin, ghrelin, and adiponectin. Schizophr Res 2008;100:70-85. 

  30. Chengappa KN, Sheth S, Brar JS, Parepally H, Marcus S, Gopalani A, et al. Risperidone use at a state hospital: a clinical audit 2 years after the first wave of risperidone prescriptions. J Clin Psychiatry 1999;60:373-378. 

  31. Jaffe AB, Levine J. Efficacy and effectiveness of first- and secondgeneration antipsychotics in schizophrenia. J Clin Psychiatry 2003;64 Suppl 17:3-6. 

  32. Stroup TS, Lieberman JA, McEvoy JP, Swartz MS, Davis SM, Capuano GA, et al. Effectiveness of olanzapine, quetiapine, and risperidone in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after discontinuing perphenazine: a CATIE study. Am J Psychiatry 2007;164:415- 427. 

  33. Taylor M, Shajahan P, Lawrie SM. Comparing the use and discontinuation of antipsychotics in clinical practice: an observational study. J Clin Psychiatry 2008;69:240-245. 

  34. Essock SM, Hargreaves WA, Covell NH, Goethe J. Clozapine's effectiveness for patients in state hospitals: results from a randomized trial. Psychopharmacol Bull 1996;32:683-697. 

  35. Wirshing DA, Wirshing WC, Kysar L, Berisford MA, Goldstein D, Pashdag J, et al. Novel antipsychotics: comparison of weight gain liabilities. J Clin Psychiatry 1999;60:358-363. 

  36. Marder SR, Essock SM, Miller AL, Buchanan RW, Davis JM, Kane JM, et al. The Mount Sinai conference on the pharmacotherapy of schizophrenia. Schizophr Bull 2002;28:5-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