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현병(調鉉病) : 뇌 연결성의 장애
Attunement Disorder : A Disorder of Brain Connectivity 원문보기

생물정신의학 =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v.20 no.4, 2013년, pp.136 - 143  

김기원 (용인정신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박경민 (용인정신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장혜련 (용인정신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이유상 (용인정신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박선철 (용인정신병원 정신건강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We reviewed cellular and synaptic dysconnectivity, disturbances in micro- and macro- circuitries, and neurodevelopmentally-derived disruptions of neural connectivity in the pathogenesis of schizophrenia. Method We reviewed the selected articles about disturbances in neural circuits whic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뇌 연결성의 장애’라는 견지에서 schizophrenia 의 새로운 한글용어인 “조현병(調鉉病)”12) 과 그 영문번역에 해당하는 “attunement disorder”가 지니는 질병기술학적 의의를 논의하고자 한다.
  • 조현병에서 뇌 연결성의 이상은 해부학적으로는 세포 수준에서 연결섬유의 구조적 변화로, 기능적으로는 시냅스 수준에서 시냅스 가소성(synaptic plasticity)의 비정상적 조절로 나타 난다. 여기에서는 뇌 연결성의 이상을 시냅스 강도, 시냅스 가소성, 시냅스 가소성의 조절과 같이 순차적으로 구성하여 위계적 단계로 고찰하고자 한다.13) 조현병에서는 N-methyl-Daspartate(이하 NMDA)-종속적인 가소성(NMDA-depen-dent plasticity)이 비정상적으로 조절되어, 뇌 영역 사이 연결성에 있어 정량적이면서도 정성적인 이상이 나타난다.
  • 이에 저자들은 조현병의 공통된 병태생리로서 뇌 연결성의 장애(disorder of brain connectivity)를 논의하고자, 1)시냅스 가소성 조절의 측면에서 본 세포 및 시냅스 차원의 뇌 연결성, 2) Gamma-Amino-Butyric Acidergic 개재 뉴런(GABAer-gic interneuron)에서 동기화된 네트워크 진동(synchronized network oscillations)의 변화 등 피질 미시회로의 기능부전, 3) 인지적 실조(cognitive dysmetria)와 연관된 피질-소뇌-시상-피질 회로나 확산텐서영상이나 자화전달영상 등 연구에서 보고된 마이엘린화의 장애 등으로 거시회로에 있어서의 연결성 이상, 4) 신경발달적 관점에서의 뇌 연결성 장애를 다루고자 한다.

가설 설정

  • GABA 뉴런 중에서도 특히 fast-spiking(이하 FS)과 PV 아형은 피라미드 세포의 perisomatic compartment에 시냅스를 형성함에 따라서 강한 억제성 효과를 야기하기 때문에 중요하다.28) 만약 동기화된 진동이 FS/PV가 매개하는 신호전달의 효능에 영향을 받는 다면, GABA 합성이 줄어듦에 따라 FS/ PV 세포 시냅스에서의 억제 기능이 줄어들면서 조현병에서 나타나는 뉴런 동기화의 변화에 영향을 끼칠 것이다. 그밖에, GABA 뉴런 가운데 FS/ PV 아형 이외에도 somatostatin(SST)과 neuropeptide Y(NPY) 와 같은 다른 아형의 변화도 조현병에서 보고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현병의 병태생리를 '뇌 영역 사이 연결성의 변화'로 설명하는 개념은 어떤 가정으로부터 유래되는가? 1-3) 뇌 국소적인 영역의 비정상성보다는 ‘뇌 영역 사이 연결성의 변화’가 조현병의 병태생리로서 더 타당할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개념은 1906년에 Wer-nicke4)가 정신병은 연합섬유(association fibers)의 해부학적 파열(anatomical disruption)으로부터 발생한다고 한 가정으로부터 유래한다. 그리고 1911년에 Bleuler5)가 다양한 정신기능들 사이의 ‘분리’를 조현병의 핵심적인 정신 병리로 규정하여 mind-split-disease를 의미하는 “group of schizophrenias”로 명명한 것은 이러한 개념을 재구성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조현병은 어떤 장애로 설명되는가? 조현병은 신경퇴행성 장애보다는 ‘신경발달성 장애’로 설명된다. 신경발달은 자궁 내 성장과 같이 협의의 개념으로도 이해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뉴런의 분화(neuronal differentia-tion), 뉴런의 이주(neuronal migration), 축색돌기의 형성과 수상돌기의 증식(axon formation and dendritic proliferation), 시냅스 형성(synaptogenesis), 마이엘린화(myelinization), 시냅스 가지치기(synaptic pruning), 세포자살(apoptosis) 등과 같이 자궁에서부터 시작되어 20대 초반까지 지속되는 일련의뇌 발달과 성숙(brain development and maturation)의 과정으로 이해하는 것이 더 포괄적일 것이다.
신경발달을 일반적이고 포괄적으로 이해하자면 어떤 개념으로 봐야 하는가? 조현병은 신경퇴행성 장애보다는 ‘신경발달성 장애’로 설명된다. 신경발달은 자궁 내 성장과 같이 협의의 개념으로도 이해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뉴런의 분화(neuronal differentia-tion), 뉴런의 이주(neuronal migration), 축색돌기의 형성과 수상돌기의 증식(axon formation and dendritic proliferation), 시냅스 형성(synaptogenesis), 마이엘린화(myelinization), 시냅스 가지치기(synaptic pruning), 세포자살(apoptosis) 등과 같이 자궁에서부터 시작되어 20대 초반까지 지속되는 일련의뇌 발달과 성숙(brain development and maturation)의 과정으로 이해하는 것이 더 포괄적일 것이다. 조현병을 신경발달성 장애로 이해하는 것은 기능저하를 평가하는 지표에서도 뒷받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Salloway SP, Blitz A. Introduction to functional neural circuitry. In: Kaplan GB, Hammer RP, editors. Brain circuitry and signaling in psychiatry: Basic science and clinical implication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Inc;2002. p.1-29. 

  2. Klempan TA, Muglia P, Kennedy JL. Genes and brain development. In: Keshavan MS, Kennedy JL, Murray RM, editors. Neurodevelopment and schizophrenia.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2004. p.3-34. 

  3. Andreasen NC, Nopoulos P, O'Leary DS, Miller DD, Wassink T, Flaum M. Defining the phenotype of schizophrenia: cognitive dysmetria and its neural mechanisms. Biol Psychiatry 1999;46:908- 920. 

  4. Wernicke C. Grundrisse der Psychiatrie. Leipzig, Germany: Thieme; 1906. 

  5. Bleuler E. Dementia Praecox or the Group of Schizophrenias. English Translation 1961.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1911. 

  6. Mega MS, Cummings JL, Salloway S, Malloy P. The limbic system: an anatomic, phylogenetic, and clinical perspective. J Neuropsychiatry Clin Neurosci 1997;9:315-330. 

  7. Alexander GE, DeLong MR, Strick PL. Parallel organization of functionally segregated circuits linking basal ganglia and cortex. Annu Rev Neurosci 1986;9:357-381. 

  8. Mesulam MM. Large-scale neurocognitive networks and distributed processing for attention, language, and memory. Ann Neurol 1990; 28:597-613. 

  9. Schmitt A, Hasan A, Gruber O, Falkai P. Schizophrenia as a disorder of disconnectivity. Eur Arch Psychiatry Clin Neurosci 2011;261 Suppl 2:S150-S154. 

  10. Csernansky JG, Cronenwett WJ. Neural networks in schizophrenia. Am J Psychiatry 2008;165:937-939. 

  11. Ellison-Wright I, Glahn DC, Laird AR, Thelen SM, Bullmore E. The anatomy of first-episode and chronic schizophrenia: an anatomical likelihood estimation meta-analysis. Am J Psychiatry 2008;165:1015- 1023. 

  12. Lee YS, Kim JJ, Kwon JS. Renaming schizophrenia in South Korea. Lancet 2013;382:683-684. 

  13. Stephan KE, Baldeweg T, Friston KJ. Synaptic plasticity and dysconnection in schizophrenia. Biol Psychiatry 2006;59:929-939. 

  14. Malinow R, Malenka RC. AMPA receptor trafficking and synaptic plasticity. Annu Rev Neurosci 2002;25:103-126. 

  15. Montgomery JM, Madison DV. Discrete synaptic states define a major mechanism of synapse plasticity. Trends Neurosci 2004;27:744- 750. 

  16. Perez-Otano I, Ehlers MD. Homeostatic plasticity and NMDA receptor trafficking. Trends Neurosci 2005;28:229-238. 

  17. Harrison PJ, Weinberger DR. Schizophrenia genes, gene expression, and neuropathology: on the matter of their convergence. Mol Psychiatry 2005;10:40-68; image 5. 

  18. Umbricht D, Krljes S. Mismatch negativity in schizophrenia: a metaanalysis. Schizophr Res 2005;76:1-23. 

  19. Javitt DC, Grochowski S, Shelley AM, Ritter W. Impaired mismatch negativity (MMN) generation in schizophrenia as a function of stimulus deviance, probability, and interstimulus/interdeviant interval. Electroencephalogr Clin Neurophysiol 1998;108:143-153. 

  20. Kreitschmann-Andermahr I, Rosburg T, Demme U, Gaser E, Nowak H, Sauer H. Brain Effect of ketamine on the neuromagnetic mismatch field in healthy humans. Res Cogn Brain Res 2001;12:109-116. 

  21. Harkrider AW, Hedrick MS. Acute effect of nicotine on auditory gating in smokers and non-smokers. Hear Res 2005;202:114-128. 

  22. Pekkonen E, Hirvonen J, Jaaskelainen IP, Kaakkola S, Huttunen J. Auditory sensory memory and the cholinergic system: implications for Alzheimer' s disease. Neuroimage 2001;14:376-382. 

  23. Pekkonen E, Hirvonen J, Jaaskelainen IP, Kaakkola S, Huttunen J. Auditory sensory memory and the cholinergic system: implications for Alzheimer's disease. Neuroimage 2001;14:376-382. 

  24. Benes F. The development of "mis-wired" limbic lobe circuitry in schizophrenia and bipolar disorders. In: Keshavan M, Kennedy J, Murray R, editors. Neurodevelopment and schizophrenia. 1st ed.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2004. p.295-309. 

  25. Gonzalez-Burgos G, Lewis DA. GABA neurons and the mechanisms of network oscillations: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cortical dysfunction in schizophrenia. Schizophr Bull 2008;34:944-961. 

  26. Volk DW, Pierri JN, Fritschy JM, Auh S, Sampson AR, Lewis DA. Reciprocal alterations in pre- and postsynaptic inhibitory markers at chandelier cell inputs to pyramidal neurons in schizophrenia. Cereb Cortex 2002;12:1063-1070. 

  27. Woo TU, Whitehead RE, Melchitzky DS, Lewis DA. A subclass of prefrontal gamma-aminobutyric acid axon terminals are selectively altered in schizophrenia. Proc Natl Acad Sci U S A 1998;95:5341- 5346. 

  28. Palmer LM, Stuart GJ. Site of action potential initiation in layer 5 pyramidal neurons. J Neurosci 2006;26:1854-1863. 

  29. Andreasen NC. Can schizophrenia be localized in the brain?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ress;1986. 

  30. Andreasen NC, Rezai K, Alliger R, Swayze VW 2nd, Flaum M, Kirchner P, et al. Hypofrontality in neuroleptic-naive patients and in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Assessment with xenon 133 single- 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and the Tower of London. Arch Gen Psychiatry 1992;49:943-958. 

  31. Jones EG. Cortical development and thalamic pathology in schizophrenia. Schizophr Bull 1997;23:483-501. 

  32. Carlsson M, Carlsson A. Schizophrenia: a subcortical neurotransmitter imbalance syndrome? Schizophr Bull 1990;16:425-432. 

  33. Andreasen NC, O'Leary DS, Arndt S, Cizadlo T, Rezai K, Watkins GL, et al. I. PET studies of memory: novel and practiced free recall of complex narratives. Neuroimage 1995;2:284-295. 

  34. Andreasen NC, O'Leary DS, Arndt S, Cizadlo T, Hurtig R, Rezai K, et al. Neural substrates of facial recognition. J Neuropsychiatry Clin Neurosci 1996;8:139-146. 

  35. Melchitzky DS, Lewis DA. Development of thalamocortical circuitry and the pathophysiology of schizophrenia. In: Keshavan MS, Kennedy JL, Murray RM, editors. Neurodevelopment and schizophrenia.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2004. p.310-329. 

  36. Konrad A, Winterer G. Disturbed structural connectivity in schizophrenia primary factor in pathology or epiphenomenon? Schizophr Bull 2008;34:72-92. 

  37. Foong J, Symms MR, Barker GJ, Maier M, Woermann FG, Miller DH, et al. Neuropathological abnormalities in schizophrenia: evidence from magnetization transfer imaging. Brain 2001;124(Pt 5): 882-892. 

  38. Basser PJ. Inferring microstructural features and the physiological state of tissues from diffusion-weighted images. NMR Biomed 1995; 8:333-344. 

  39. Friedman JI, Tang C, Carpenter D, Buchsbaum M, Schmeidler J, Flanagan L, et al. Diffusion tensor imaging findings in first-episode and chronic schizophrenia patients. Am J Psychiatry 2008;165:1024-1032. 

  40. Hakak Y, Walker JR, Li C, Wong WH, Davis KL, Buxbaum JD, et al. Genome-wide expression analysis reveals dysregulation of myelination- related genes in chronic schizophrenia. Proc Natl Acad Sci U S A 2001;98:4746-4751. 

  41. Goodman CS, Shatz CJ. Developmental mechanisms that generate precise patterns of neuronal connectivity. Cell 1993;72 Suppl:77-98. 

  42. Penn AA. Early brain wiring: activity-dependent processes. Schizophr Bull 2001;27:337-347. 

  43. McGlashan TH, Hoffman RE. Schizophrenia as a disorder of developmentally reduced synaptic connectivity. Arch Gen Psychiatry 2000; 57:637-648. 

  44. Yang BH. Introduction to psychopathology. Seoul, Korea: Joongang Moonhwa Co.;2010. 

  45. Jung WH, Jang JH, Byun MS, An SK, Kwon JS. Structural brain alterations in individuals at ultra-high risk for psychosis: a review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ies and future directions. J Korean Med Sci 2010;25:1700-1709. 

  46. Conrad K. Die Beginnende Schizophrenie. Bonn, Germany: Das Narrenschiff im Psychiatrie-Verlag. Song JY, Korean translation. Seoul, Korea: Joongang Moonhwa Co.;2004.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