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시마 분말을 첨가한 김부각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bugak with Sea Tangle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4 no.3, 2011년, pp.434 - 441  

최현미 (동명대학교 식품공학과) ,  심창환 (경민대학 호텔조리외식과) ,  신태선 (전남대학교 영양식품학과) ,  빙동주 (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전순실 (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다시마 분말(0, 2, 4 및 6%)을 대체하여 제조한 찹쌀풀을 김에 도포한 후 전통적인 방법(frying)과 전자 레인지를 이용한 방법으로 팽화하여 제조한 김부각의 무기질, 수분, 색도, 텍스쳐, 외관 관찰 및 관능검사를 통해 최적 배합비를 살펴본 결과, 김은 K이 2,612.4 mg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Ca 116.970 mg, Na 486.099 mg, Mg 297.800 mg, Fe 9.636 mg, Mn 1.614 mg, Cu 0.973 mg 순이었다. 다시마 분말은 K 5,115.000 mg, Na 1848.931 mg, Ca 763.030 mg, Mg 525.700 mg, Fe 15.125 mg, Zn 4.639 mg, Mn 0.146 mg으로 나타났다. 수분 함량은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팽화에서 2.66~2.91%로 대조군과 대체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전통적인 방법을 이용한 팽화 방법 또한 2.11~2.76%로 대조군과 대체군 간에 유의적인 나타내지 않았다. 색도에서 L값은 다시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a값과 b값은 대조군이 각각 -0.02, 5.73으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전통적인 방법으로 팽화시킨 김부각의 색도는 전자레인지로 팽화시킨 김부각보다 L, a, b값이 높게 나타났다. 전자레인지로 팽화시킨 김부각의 경도는 대조군이 246.07이었으며, 다시마 분말 2%, 4%, 6% 대체군이 각각 254.33, 283.20, 275.11로 대조군과 대체군들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전통적인 방법으로 팽화시킨 김부각은 6% 대체군이 238.07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특성강도 검사 결과 김비린내(kim-fish taste)에서는 대조군과 대체군들 모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고소한 맛(savory taste)은 대조군과 대체군에서 모두 전통적인 방법으로 팽화시킨 김부각이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짠맛(salt)은 전통적인 방법으로 팽화시킨 6% 대체군이 4.26으로 가장 높은값을 나타내었다. 기름맛(oily-taste)은 전통적인 방법으로 팽화시킨 김부각이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이취(off-flavor)는 다시마 2%와 6% 대체군에서 전자레인지가 전통적인 방법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이취를 나타내었다. 소비자 기호도 검사는 결과 색(color)은 대조군과 대체군들 모두 전자레인지와 전통적인 방법의 팽윤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향미(flavor)는 4%와 6%는 전통적인 방법이 전자레인지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풍미를 나타내었고, 바삭함(crispness)은 대조군과 대체군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종합적인 기호도(overall-acceptability)는 4%와 6%는 전통적인 방법이 전자레인지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종합적인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이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김부각제조시 전통적인 방법으로 팽화시킨 다시마 분말 4~6% 첨가군이 최적 배합비로 사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certa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bugak samples prepared with 2 different puffing methods, microwave oven and frying, and containing different levels of sea tangle powder(0, 2, 4, and 6%), were examined according to mineral content, moisture content, color values, photographic i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기능성을 가지는 다시마와 김을 이용하여 전통적인 부각의 제조 방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산패와 이로 인한 유통기한의 단축, 품질 저하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으며, 이때 부각의 제조 시 다시마 분말(0, 2, 4 및 6%)을 대체하여 제조한 찹쌀풀을 김에 도포한 후 전통적인 방법(frying)과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방법으로 팽화하여 제조한 김부각의 무기질, 수분, 색도, 텍스쳐, 외관 관찰 및 관능검사를 통해 새로운 방법의 부각 제조에 필요한 최적의 배합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부각이란? 또한, 김, 다시마, 미역, 쑥, 풋고추, 뽕잎, 깻잎 등과 같이 섬유질의 좋은 급원이 되는 주재료를 사용하므로 성인병 및 비만 환자를 위한 다이어트 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김부각은 찹쌀풀을 김에 바르고 그 위에 김을 붙인 뒤 말려 기름에 튀기는 음식으로 식물성 지방을 섭취하는데 유용한 식품이다(Park 등 2001). 그러나 김부각은 가정이나 가내수공업으로 만들어지므로 김부각의 건조, 팽화 공정에서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필요하며, 제품의 표준화가 어렵고, 기름에 의한 산패, 품질 저하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김부각의 문제점은? 특히, 김부각은 찹쌀풀을 김에 바르고 그 위에 김을 붙인 뒤 말려 기름에 튀기는 음식으로 식물성 지방을 섭취하는데 유용한 식품이다(Park 등 2001). 그러나 김부각은 가정이나 가내수공업으로 만들어지므로 김부각의 건조, 팽화 공정에서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필요하며, 제품의 표준화가 어렵고, 기름에 의한 산패, 품질 저하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Park 등(2001)은 김부각의 가장 큰 문제점인 산화안정도에 관한 실험을 하였으며, 녹차 수용성 추출물을 이용하여 김부각의 산화안정성이 향상되었음을 발표하였고, 이외 김부각에 관한 연구로는 전통적 방법에 의한 부각의 제조 및 저장성 향상(Park 등 1994)에 관한 연구가 있을 뿐, 김부각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김의 타우린 함량은? 김(Porphyra yezoensis)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해조류로써 보라털과에 속하는 홍조류로, 전체 생산량의 약 70%가 전라남도 남해안 일대에서 생산된다. 미네랄, 식이섬유, 단백질이 풍부하고, 타우린을 100 g 중 1.2~1.6 g이나 함유하고 있어 콜레스테롤 감소, 신경 흥분 저해 작용 등 다양한 약리 작용을 가지고 있다(강제원 1968; Park 등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강제원. 1968. 한국 동식물도감. 제8권 식물편(해조류). 문교부, 서울. pp.83 

  2. 한재숙, 이연정, 윤미라. 2003. 김의 조리방법에 따른 품질 특성 연구.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발표. J East Asian Sc Dietary Life pp.87 

  3. Bae TH, Choi OS. 2001. Changes of free amino acid compositions and sensory properties in kochujang added sea tangle powder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 Nutr 14:245-254 

  4. Bang BH, Seo JS. 2002. Characteristics of salt adsorption by calcium alginat beads. Korean J Food & Nutr 15:89-96 

  5. Bang BH. 2001. Lead biosorption by alginate beads immobilizing Aspergillus niger.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4: 185-190 

  6. Bang SJ, Choi SH, Shin IS, Kim SM. 2009. Development of functional bread with sea tangle single cell detritus (SC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1430-1437 

  7. Bang SJ, Shin IS, Kim SM. 2006. Optimum process condition of noodles with sea tangle single cell detritus (SCD). Korean J Food Sci Technol 38:68-74 

  8. Cho HS, Park BH, Kim KH, Kim HA. 2006. Oxidative effec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made with sea tangle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1:541-549 

  9. Cho MS, Hong JS.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by the addition of sea tangle. Korean J Food Cookery Sci 22:37-44 

  10. Han KH, Choi MS, Ahn CK, Yong MJ, Song TH. 2002. Soboru bread enriched with dietary fibers extracted from kombu.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619-624 

  11. Jeong EJ, Bang BH. 2003. The effect on the quality of yogurt added water extracted from sea tangle. Korean J Food & Nutr 16:66-71 

  12. Kim JS, Kang KJ. 1998. Effect of laminaria addition on the shelf-life and texture of bread. Korean J Food & Nutr 11:556-560 

  13.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Available from: http:// hfoodi.kfda.go.kr/. Accessed Feb. 8, 2008. 

  14. Kye SK. 1996. Water binding capacity of vegetable fiber. Korean J Food & Nutr 9:231-235 

  15. Lee BH, Stein SM, 2004. Improvement of learing behavior of mice by an antiacetylcholinesterase and neuroprotective agent NX42, a Laminariales-Alga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6:974-978 

  16. Lee MS, Kim MY, Chun S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yukwa prepared with Rubus coreanus Miquel extract using different puffing process methods. Korean J Food Cookery Sci 24:382-391 

  17. Park BH, Choi HK, Cho HS. 2001. A study on oxidative stabil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bugak made of aqueous green t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557-564 

  18. Park JI, Chung GH, Kim BS, Hur JH. 1994.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boogags by traditional methods and improvement of preservation. J Korean Soc Food Nutr 23:986-993 

  19. Park KY, Back JH, Hur W, Lee SY. 2007. In vitro glucose and bile acid retardation effect of fucoidan from Laminaria japonica. Korean J Biotechnol Bioeng 22:265-269 

  20. Seo HY, Jung BM. 2007. Comparative study of food components and sensory properties of common Porphyra yezoensis and functional porphyra yezoens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1314-1319 

  21.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2. Yi KW, Shin SI. 2006. Isolation of marine bacterium decomposing sea tangle(Laminaria japonica) to single cell detritu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237-2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