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인과 동남아시아인의 푸드네오포비아와 음식관여도 차이 비교
Comparison of Food Neophobia Scale and Food Involvement Scale Between Koreans and East-South Asians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6 no.5, 2011년, pp.429 - 436  

김선주 (경희대학교 외식경영학과) ,  박현정 (경희대학교 외식경영학과) ,  이경희 (경희대학교 외식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individual's food-related personal traits play an important role in influencing personal food choice and habits. According to culture, their influence can manifest differently. To ascertain personal traits about food, FNS (food neophobia scale) and FIS (food involvement scale) were employed in 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거주 또는 체류 중인 동남아시아인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에 따른 푸드네오포비아 지수와 음식관여도 지수를 한국인과 비교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는 남성이 149명(47.
  • 설문지는 한국어와 영어로 작성하여, 한국어나 영어 중 읽고 더 이해하기 쉬운 설문지를 선택하여 질문에 답하도록 하였다. 외국인이 설문을 어느 정도 이해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본 설문에 앞서 체류 기간이 다른 소수의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글 및 영문 설문지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없는지 알아보는 절차를 거쳤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거주 또는 체류 중인 동남아시아인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에 따른 푸드네오포 비아 및 음식관여도 차이를 한국인과 비교 분석하여 동남아시아인의 음식문화 및 음식선택 특성을 이해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식 관여도란 무엇인가? 음식 관여도는 개인이 일상 속에서 지각하는 음식의 중요성 수준으로 정의된다. 소비자의 개인적인 관심이나 특성은 추구하는 가치에 따라서 음식 선택 기준을 수립하는데 작용하며 음식 섭취 및 음식에 대한 생각을 즐기고 더 나아가 태도를 거쳐 실제 음식관련 구매 행위로 연계된다.
한국인과 동남아시아인의 성별에 따른 푸드네오포비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는? 성별에 따른 푸드네오포비아 지수는 남자이 3.74점으로 여자(3.59점)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Tuorila 등(2001)의 연구에서도 남자가 여자보다 푸드네오포비아 지수가 높게 나타났다고 보고하여 본 연구와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남자가 여자보다 새로운 음식을 시도하기 어려워하는 것을 의미하며, Alley & Burroughs (1991)도 여자가 남자보다 새로운 음식을 좋아한다고 하였다.
음식을 선택하는데 영향을 주는 요인은 어떻게 나눠지는가? 음식을 선택하는데 영향을 주는 요인은 식품 내재적인 자극 또는 식품의 감각적인 요소와 같은 식품 요인과 식품의 외재적인 자극 또는 인지적 정보, 물리적 환경, 개인적 특성 등의 비식품 요인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Eertmans 등 2005). 비식품적인 요인 중 개인적 특성은 음식에 대한 개인적인 기호, 성격, 인구 통계적 특성, 음식에 대한 심리적·생리적인 욕구 등이 포함되며, Lee & Hong(2001)은 소비자의 개성, 자아개념, 라이프스타일 등과 같은 개인 특성 변수들이 제품의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lley Thomas R, Burroughsa W Jeffrey. 1991. Do men have stronger preferences for hot, unusual, and unfamiliar foods?, The J. of General Psychology, 118(3):201-214 

  2. Audrey Eertmans, An Victoir, Greet Vansant, Omer Van den Bergh. 2005. Food related Personality Traits, Food choice motives and food intake: Mediator and moderator relationships,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6(8):714- 726 

  3. Bell R, Marchall DW. 2003. The construct of food involvement in behavioral research: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Appetite. 40(3):235-244 

  4. Chen MF. 2007. Consumer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in relation to organic foods in Taiwan: Moderating effects of food-related personality traits.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8(7):1008-1021 

  5. Choi JY. 2009.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based on Food Neophobia and Selection attribute of Ethnic restaurants, Master Degree Thesis. Ewha Womens University. pp 1-82 

  6. Eertmans A, Victoir A, Vansant G, Van den Bergh O. 2005. Foodrelated personality traits, food choice motives and food intake: Mediator and moderator relationships.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6(8):714-726 

  7. Flight Ingrid, Leppard Phillip, Cox David N. 2003. Food neophobia and associations with cultural diversity and socio-economic status amongst rural and urban Australian adolescents, Appitite, 41(1):51-59 

  8. Furst T, Connors M, Bisogni CA, Sobal J, Falk LW. 1996. Food choice: A conceptual model of the process, Appetite, 26(3):247-265 

  9. Hwang JH, Lin Ting-Ning. 2010. Effects of food neophobia, familiarity and nutrition information on consumer acceptance of asian menu items. Journal of Hospitality Marketing and Management. 19(2):171-187 

  10. Kassarjian HH. 1981. Low Involvement: A Second Look,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2:341-352 

  11. Koivisto-Hursti UK, Sjoden PO. 1997. Food and general neophobia and their relationship with self-reported food choice: Familial resemblance in Swedish families with children of ages 7-17 years. Appetite. 29(1):89-103 

  12.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0. Statistical Database, Population, House hold, International Migration 

  13. Lee MG, Hong ST. 2001. Understand of customer behavior, Bobmunsa. Seoul. p 415 

  14. Lee WJ. 1994. A case study on living conditions and adative strategy of illegal Bangladesh workers in Korea, Doctor Degree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5. Marshall DW, Bell R. 2003. The construct of food involvement in behavioral research: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Appitite, 40(3):235-244 

  16. Marshall DW, Bell R. 2004. Relating the food involvement scale to demographic variables, food choice and other constructs.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5(7-8):871-879 

  17. Park KS, Jung US, Han JS, Park UJ. 2003. World foodculture. Hyoil Books. Seoul. pp 106-107 

  18. Pliner P, Hobden K. 1992.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the trait of food neophobia in humans. Appetite. 19(2):105-120 

  19. Pliner P, Lahteenmaki L, Tuorila H. 1998. Correlates of human food neophobia. Appetite. 30(1):97-115 

  20. Terasaki Masahara, Imada Sumio. 1988. Sensation seeking and food preference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9(1):87-93 

  21. Tuorila H, Lahteenmaki L, Pohjalainen L, Lotti L. 2001. Food neophobia among the Finns and related responses to familiar and unfamiliar foods.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2(1):29-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