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 소비자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이 한국 라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푸드네오포비아와 한국 식품안전태도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
EInfluence Food-related Lifestyle of Chinese Customers on Purchase Intention for Korean Ramen - Moderatoring Effects of Food Neophobia and Korean Attitude to Food Safety - 원문보기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 한국조리학회지, v.22 no.3 = no.78, 2016년, pp.92 - 107  

하헌수 (경주대학교 외식조리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Baron & Kenny가 제시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식품 안전에 태도의 중재자 효과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 및 시사점을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중국소비자의 식품탐구형이나 편의추구형 성향이 강할수록 한국 라면 구매의도가 높아지지만, 건강추구형 성향이 강할수록 한국 라면 구매의도가 낮아졌다. 둘째, 중국 소비자의 푸드 네오포비아 성향이 강할수록 전반적으로 한국 라면 구매의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편의추구형 유형의 사람의 한국 라면 구매의도를 억제하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왔다. 셋째, 한국 식품안전태도에 긍정적으로 인지할일수록 전반적으로 한국 라면 구매의도를 상승시키고, 식품탐구형과 편의추구형 유형의 사람들의 한국 라면 구매의도를 유의적으로 상승시키는 조절효과가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food-related lifestyle of Chinese customers affect purchase intention for Korean Ramen and to verify the moderator effects of food neophobia and Korean attitude to food safety between them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uggested by Baron & K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중국 4개 대도시에 소재한 12개 대형마트를 이용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국내 대표적인 5개 라면의 포장지를 보여주고, 중국인 식생활 라이프스타일과 한국 라면 구매의도를 파악하고, 그 관계에서 신 식품을 꺼려하는 푸드 네오포비아 성향과 한국 식품안전 태도에 대한 중국인의 인식이 미치는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본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가설 H1.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은 한국 라면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친다.
  • 가설 H2: 푸드 네오포비아 성향은 식생활 라이프스타일과 한국라면 구매의도 간에 조절 효과가 있다.
  • 가설 H3: 식품안전태도는 식생활 라이프스타일과 한국라면 구매의도 간에 조절효과가 있다.
  •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은 소비자의 다양한 식품 구매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알려져 있다.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은 소비자의 식품선택이나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 Bhan JW(2008)은 여성소비자를 대상으로 식사태도에, Kim KH(2010) 는 한식 소비행동에, Choi JY(2009) 에스닉 레스토랑 선호에, Hong SK(2011)는 가공식품 구매형 태에, Ha HS․Kang BN․Kim GW(2015)는 MSG 사용에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이 유의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적으로 안전하다고 규명되었다고 해도 소비자는 식품이 위험하다고 지각될 수 있는 이유는? 이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존재한다. 첫째는, 근대와 달리 현대에서는 과학적 규명에 대해 회의적인 경향이 있다(Lee HY 2008; Yoon YY․Kim KJ 2013). 즉, 인간의 인지에는 불확실성이 존재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지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식품첨가물, GMO, MSG의 안전성 논란이 지속되고 있고, 광우병 우려로 인하여 미국 소고기 수입에 대해 국민들이 거세게 저항하기도 하였다(Ha HS․Kim GW 2015). 둘째, 정부가 식품안전에 대한 규제를 하여도 식품안전에 대해 완전하게 규제를 할 수 없고, 또한, 규제가 완벽해도 행정적 여건으로 인하여 철저히 관리할 수 없다(Lee YS, Lee SS 2014). 셋째로, 정부가 행정규제를 철저히 한다고 하여도 그 사회가 투명하지 않고 부정부패가 심한 경우, 소비자는 정부의 주장을 신뢰하지 않는다. 이런 정치 사회적 요인으로 인해 소비자는 선진화된 민주국가일수록 그 나라의 식품이 안전하다고 믿는 경향이 있다.
라이프스타일은 어떤 인적 특성인가? 라이프스타일은 개인이 시간과 돈을 소비하는 생활 유형으로서 소비 행동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인적 특성이다. 라이프스타일은 사회집단, 가족 등의 영향을 받아 습득되기도 하고, 개인의 가치체계나 개성의 파생물로 인식되기도 한다(Seo, WS, Baek, JA 2006).
푸드 네오포비아의 정의는? 푸드 네오포비아는 ‘새로운 식품이나 다른 나라 음식에 대한 거부감’(Bae YJ 2011)으로 정의된다. 즉, 개인의 편식 습관을 가져오는 음식 취향을 말하는데, 특히 타국의 이색식품이나 익숙하지 않는 향신료에 대한 거부감이 많다(Ha HS․Lee S M․Kim GW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Bae YJ (2011). A Study on the Korean Dietary Acculturation for the Asian Immigrants in Korea : Focus on the Country of Origin.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2. Baron RM, Kenny D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1173-1182. 

  3. Bhan JW (2008). A study on eating-out behavior by cluster analysis according to the lifestyle of female consumers in Seoul. Korea Society of Food Culture 23(3):377-387. 

  4. Chae SI (1992). Lifestyle study in the framework of a systematic analysis. Consumer Studies 3(1):46-63. 

  5. Choi JY (2009). Impact on Satisfaction and Return Visits of Neo-phobia and Ethnic Food Restaurants Catering Properties are Selected Consumers,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6. Choi CJ (2015). Food safety and food retailers meet the cognitive and causal role of emotions in the relationship of trust products, continue to buy. Distribution Management Association 18(4):25-40. 

  7. Flynn L, Ronald E, Goldsmith (1999). A short, reliable measure of subjective knowledge. Journal of Business 46:57-66. 

  8. Grunert KG, Brunso K, Bisp (1993). A Food-related Lifestyle: Development of a Cross Culturally Valid Instrument for Surveillance. MAPP Working Paper. 

  9. Ha HS, Kang BN, Kim GW (2015). Effects of food life style on preference for MSG use at restaurants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attitude to food safety. Korea Culinary Research 21(4):86-100. 

  10. Ha HS, Lee SM, Kim GW (2015). Effect of taste and risk perceived from a package of foreign food on purchase intention : Focused on the moderator effects of preference for exotic food. Tourism and Leisure Studies 27(4):263-278. 

  11. Hong SK (2011). Processed Food Acceptability and Recognition Moderator Center-other Processed Foods Purchased in the Form of Dietary Lifestyle of Urban Housewives and Satisfaction Study. Doctoral Dissertation, Kyonggi University. 

  12. Jin HJ, Lim JY, Lee KY (2014). Food safety assessment of consumer experience and impact factor analysis. Consumer Issues Research 45(2):1-21. 

  13. Kim GW, Ha HS (2015).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purchasing natural seasonings as a alternative to fermented seasonings.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21(2):201-214. 

  14. Kim KH (2010). Effect of a food-related lifestyle on the consumption of and satisfaction with Korean foods, and intention to revisit.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0(8):370-380. 

  15. Kim MS (2011). Effects of Family Meals Engaged on Eating Habit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Neo-food Phobia. Master'S Degree, Ewha Womans University. 

  16. Kim MW (2013). South Korea and the european food safety management system status and implications. European Constitutional Studies 12:69-98. 

  17. Kim SJ, Park HJ, Lee KH (2011). Korean food and neo-phobia and food of Southeast Asia, the involvement differences. Korea Society of Food Culture 26(5):429-436. 

  18. Kim SJ, Lee KH (2012). Impact of food and nutrition neo-phobia on the involvement of Shia food choices motivated.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22(2):199-207. 

  19. Kesic T, Piri-Rajh S (2003). Market segmentation on the basic of food-related lifestyle of croatian families. British Food Journal 105(3):162-174. 

  20. Kwon SE (1998). Korean lifestyle and consumption behavior. Cheil Worldwide Marketing Institute. 

  21. Lavy SJ (1963). Symbolism and Life Style in Toward Scientific Marketing. ed. Stephen A. Greyser. AMA, 140-150. 

  22. Lazer W (1963). Life Style Concept and Marketing in Toward Scientific Marketing. ed. Stephen A. Greyser. AMA, 130-139. 

  23. Lee HW (2010). Rice Processing Food Consumption Attitudes Analysis of the Dietary Lifestyle. Master's Thesis Paper, Yonsei University. 

  24. Lee HY (2008). Study on Housewives in Busan Processed Food Usage and Awareness, and Awareness of Food Additives. Doctoral Dissertation, Kyung-sung University. 

  25. Lee JE (2013). Food and drug safety issues and ensuring effective risk communication plan. Korea Association of Risk Management 9(1):75-90. 

  26. Lee MS (1992). The systematic study on lifestyle and extended theoretical framework. Marketing Research 7(1):34-52. 

  27. Lee MR (2007). Packaging Design Communication Study for the Purchase Motivation.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28. Lee YJ, Lee SB (2008). Globalization strategy of Korean influence on the degree of a country's image, attitude, Korea, South Korea purchasing products research. Hotel Management Association 17(11):117-135. 

  29. Lee YH, Lee SS (2014). Food companies and consumer sentiment analysis models for national food safety policy. Consumer Studies 25(2):1-20. 

  30. Moor DG (1963). Life Style in Mobile Suburbia. in Toward Scientific Marketing. ed. Stephen A. Greyser. AMA, 151-163. 

  31. Noh JG (1989). The safety assessment of food additives. Food Science and Industry 22(3):47-57. 

  32. O'Sullivan C, Scholdere J, Cowan C (2005). Measurement Equivalence of The Food-related Lifestyle Instrument(FRL) in Ireland and Great Britain.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6:1-12. 

  33. Past M, Rene S (2001). Food neophobia in families major food preparer-child comparisons and relationships with diet quality. University of Cincinat. 

  34. Pieniak Z, Aertsens J, Verbeke W (2010). Subjective and objective knowledge as determinants of organic vegetables consumption. Food Quality and Preference 21:581-588. 

  35. Piner P, Hodden K (1992).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the Trait of Food Neophobia in Humans. 

  36. Seo WS, Baek JA (2006). A study on the type of lifestyle differences in consumer behavior. Tourism and Leisure Studies 18(1):161-178. 

  37. Shim BS (2006). Select the Properties of HMR Impact of Spending on the Purchase Frequency and Passengers. Master's Thesis, Sejong University. 

  38. Shim HJ (2013). Focusing on the busy trade with ASEAN-Korea food processing import and export trends and implications-. Trade Focus 13(10). IIT. 

  39. Tuorila H (2001). Food Neophobia among the Finns and Related Responses to Familiar and Unfamiliar Foods. Food Quality and Preference. 

  40. Yoon YI, Kim KJ (2013). Food and consumer awareness of safety hazard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Korea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1(4):15-31. 

  41. Yoon YI (2014). Consumer Knowledge, Perceived risks, and Risk Acceptance on 10 Hazardous Food Factors. Doctoral dissertation, The Catholic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