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결혼이민자의 개인특성 및 푸드네오포비아 정도에 따른 한식에 대한 정보인지 수준 및 인식, 친밀도에 관한 차이 연구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formation Awareness, Perception and Familiarity on Korean Food Culture by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Food Neophobia Degree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2 no.2, 2016년, pp.233 - 243  

정희선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전통식생활문화전공) ,  윤지영 (숙명여자대학교 문화관광학부 르꼬르동블루 외식경영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explain the influence of personal characteristics on female immigrants'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s the Korean food culture. Methods: Exploratory research was performed by conducting a self-administered survey. A purposive sampling method was used to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개인특성 및 신음식 수용정도에 따른 한식에 대한 정보인지 수준, 인식도 및 친밀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조사대상자 289명의 국적은 베트남(37.
  • 또한 사람마다 새로운 음식을 피하려고 하는 경향, 즉 개인의 푸드네오포비아(food neophobia) 정도도 새로운 음식을 경험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들도 발표되었다(Frank RA & Kalisewicz S 2000, Tuorila H 등 2001). 이와 같은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 거주 중인 결혼이민자에게 새로운 음식문화라고 할 수 있는 한식문화에 대한 이해와 태도에 있어서 개인의 기본 특성(모국, 학력, 종교)과 한국 거주 특성(거주지역, 거주기간, 가족구성)이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기존 연구들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개인별 푸드네오포비아 정도를 분석해보고 이를 통해 여성이민자들의 특성에 맞고 실효성 있는 한국음식 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와 같은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 거주 중인 결혼이민자에게 새로운 음식문화라고 할 수 있는 한식문화에 대한 이해와 태도에 있어서 개인의 기본 특성(모국, 학력, 종교)과 한국 거주 특성(거주지역, 거주기간, 가족구성)이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기존 연구들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개인별 푸드네오포비아 정도를 분석해보고 이를 통해 여성이민자들의 특성에 맞고 실효성 있는 한국음식 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2) 1: strongly disagree ~ 7: strongly agre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국제결혼이 꾸준히 이어지는 이유는? 현재 우리나라는 한국사회의 국제화, 결혼 수급 불균형 등의 이유로 국제결혼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2014년 국제결혼현황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국제결혼 전체건수는 23,316건이며 이 중 한국남성과 외국여성의 결혼은 69.
2014년 우리나라의 국제결혼 전체건수는? 현재 우리나라는 한국사회의 국제화, 결혼 수급 불균형 등의 이유로 국제결혼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2014년 국제결혼현황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국제결혼 전체건수는 23,316건이며 이 중 한국남성과 외국여성의 결혼은 69.1%에 달하는 16,152건으로 확인되었고, 특히 중국, 베트남, 필리핀, 일본 등 아시아계 여성들과의 국제결혼이 많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Statistics Korea 2015).
우리나라에 정착하게 된 여성결혼이민자가 한국 식생활에의 적응이 매우 힘든 사례는 무엇인가? 따라서 우리나라에 정착하게 된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우에도 한국 문화에의 적응이 쉽지 않으며 특히 한국 식생활에의 적응은 매우 어려운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Sim YH(2008)의 연구에 의하면 필리핀, 베트남, 몽골 출신의 여성결혼이민자들이 한국음식의 매운맛, 짠맛에의 적응에 어려움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Han YH 등(2011)의 연구에서도 결혼이민자 중 72% 이상이 한국음식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주요원인으로는 매운맛과 짠맛, 냄새와 색깔의 거부감, 조리방법 적응의 어려움 등을 꼽았다. Lee JS(2012)의 연구에서도 결혼이주여성들이 모국과는 다른 자극적인 한국음식의 맛, 생소한 조리법과 식재료, 조리용어 이해의 어려움 등 한식문화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국과 다른 음식문화를 수용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지만 개인 및 가족의 신체건강, 가족의 화합, 주부 역할의 확립 등 음식을 통하여 가족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한식에 대한 적응은 한국에서 살아가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Park YS & Chung YS 2005, Lee JS 2012). 따라서 결혼이민여성들의 한식문화 적응을 위한 노력은 다문화가정 구조가 익숙해지고 있는 한국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로 여겨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sano K, Yoon JH, Ryu SH. 2014. Chin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dietary life after immigration to Korea: Comparison between Han-Chinese and Korean-Chinese. Korean J Community Nutr 19(4):317-327. 

  2. Cha SM, Bu SY, Kim EJ, Kim MH, Choi MK. 2012. Study of dietary attitudes and diet management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according to residence period. J Korean Diet Assoc 18(4):297-307. 

  3. Cohen E, Avieli N. 2004. Food in tourism: Attraction and impediment. Ann Tour Res 31(4):755-778. 

  4. Frank RA, Kalisewicz S. 2000. Food experience and willingness to try novel foods. Appetite 34(3):335. 

  5. Han YH, Shin WS, Kim JN. 2011. Special theme: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identity of migrants; Influential factor on Korean dietary life and eating behavior of female marriage migrants. Comp Korean Stud 19(1):115-159. 

  6. Hyun KJ, Kim YS. 2011. Development of a Korean life adaptation measure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Health Soc Welf Rev 31(4):63-100. 

  7. Kim HR, Paik SH, Jung HW, Lee AR, Kim E. 2011. Survey on dietary behaviors and needs for nutrition services, and developing contents of nutrition education for female immigra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Seoul, Korea. pp 20-25. 

  8. Kim HS, Lyu ES. 2012. Importance and satisfaction with Korean food for foreigners living in Busan with regard to nationality. Korean J Food Cook Sci 28(2):89-96. 

  9. Kim JE, Kim JM, Seo SH. 2011. Nutrition education for female immigra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using a multicultural approach: In-depth interviews with female immigrants and nutrition education professionals. Korean J Nutr 44(4):312-325. 

  10. Kim JH, Kwak DW. 2010. Research on the ingestion of food and the habit between age group and birth places of female immigrants: Focusing on the Busan region. Northeast Asia Tour Res 6(1):77-97. 

  11. Kim JH, Yoo YJ, Song JS. 2012.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wareness of Korean food,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of Korean restaurants in foreigner. Tour Res 36(0):45-61. 

  12. Kim JM, Lee HS, Kim MH. 2012. Food adaptation and nutrient intake of female immigrants into Korea through marriage. Korean J Nutr 45(2):159-169. 

  13. Kim MH. 2008. Foreign students staying in Korea who prefer Korean foo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pp 22-63. 

  14. Kwak YW, Nam YS, Jeong HS. 2012. A survey on the knowledge and preferences for Korean food among unmarried foreigners residing in Korea. Korean J Food Cook Sci 28(3):337-347. 

  15. Lee JS. 2012. The factors for Korean dietary life adaptation of female immigra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Bus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6):807-815. 

  16. Park HM, Moon ST. 2008. Analysis on the actual condition of female immigrants in rural area for social adjustment education. J Agric Educ Hum Resour Dev 40(2):69-91. 

  17. Park SJ, Kim DJ, Shin WS. 2012. Adaptability and preference to Korean food with foreigners who reside in Seoul,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17(6):782-794. 

  18. Park YS, Chung YS. 2005. Korean traditional food perception and cultural aspect of Korean Mongolian housewives. Korean J Food Culture 20(1):35-43. 

  19. Pelchat ML, Pliner P. 1995. Try it. You'll like it: Effects of information on willingness to try novel foods. Appetitie 24(2):153-165. 

  20. Pliner P, Hobden K. 1992.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the trait of food neophobia in humans. Appetite 19(2):105-120. 

  21. Shin BG, Kwon YJ. 2010. Difference analysis on the cognition, image, attitude, and globalization of Korean foods among American, Chinese, and Japanese groups. J Foodserv Manage 13(3):311-332. 

  22. Shim YH. 2008. Special theme: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identity of migrants: Transnational field and transnational identity among women marriage migrans in Korea. J Comp Korean Stud 19(1):7-43. 

  23. Statistics Korea. 2015. 2014 international marriage statistics. Available from: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430. Accessed October 22, 2015. 

  24. Tuorila H, Lahteenmaki L, Pohjalainen L, Lotti L. 2001. Food neophobia among the Finns and related responses to familiar and unfamiliar foods. Food Qual Preference 12(1):29-37. 

  25. Yoon HR. 2005. A study on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Korean foods for foreigners in different nationality. Korean J Food Culture 20(3):367-37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