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문화 음식 급식에 대한 하남지역 중학생의 인식, 만족도, 메뉴 기호도 및 영양사의 태도연구
Student, Dietitian Reactions to Multicultural Food Service in Hannam School District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6 no.5, 2011년, pp.478 - 489  

김희섭 (수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임재롱 (동부중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udent and dietitian reactions to a multicultural food service menu were studied. Food habits in a multicultural family could delay the acculturation of the children to traditional Korean food and could cause the isolation of children from the community. Also, Korean students need to be exposed to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문화 가정이 증가하면서 사회에서 접하는 대표적인 새로운 문화는 무엇인가? 다문화 가정이 증가하면서 사회에서 새로운 문화를 접하게 되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음식문화이다. 다문화 가정 자녀의 음식은 이주민 어머니나 아버지의 전통적 문화 사상과 쉽게 얻을 수 있는 식품이 어우러져 음식문화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Jung 2009).
다문화가정의 문화적 특징은 무엇인가? 다문화가정이란 국제결혼을 통해 형성된 가정을 지칭하며 이는 한 가정 내의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갖고 있는 사람들 사이의 결합이라는 문화적 특징을 갖고 있다(이 & 최 2006). 다문화가정 자녀의 초등학교 재학생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수년 내에 중·고등학교 재학생의 수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선 학교 급식에서는 어떤 목적으로 '다문화 음식체험의 날'을 제공하고 있는가? 일선 학교에서는 다문화 음식문화를 인식시킬 수 있는 교육 방안의 하나로 학교 급식에 ‘다문화 음식체험의 날’을 통해 다문화 음식을 체험하고 친숙해질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서로 다른 음식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고 다른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며 배울 기회로 확대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다문화 음식급식에 대한 평가나 피드백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교육인적자원부. 2008. 다문화가정 교육지원대책.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2. 법무부. 2010. 출입국.외국인 정책 통계연보. p 576 

  3. 설동훈, 윤홍식. 2005. 국내거주 여성 결혼 이민자의 사회경제적 적응과 사회복지정책. 한국사회복지학회 10:247-265 

  4. 이성언, 최유. 2006. '다문화 가정 도래에 따른' 혼혈인 및 이주민의 사회 통합을 위한 법제지원방안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5. 장복심. 2009. 여성이민자의 식생활 실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정영우. 2008. 한국음식의 다문화 조리(Multicultural Cuisine) 접목 방안에 관한 연구: 서구인의 기호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7. Ayala GX, Baquero B, Klinger. A. 2008. Systematic re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on and diet among Latinos in United States: implic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Am. J diet. Assc. 108(8):1330-1344 

  8. Baik EY. 2008 Study on the dietary living of multicultural youth.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9. Banks, JA. 2008. An 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 (4th ed.) Allyn & Bacan, Pearson education. Boston 

  10. Balcazar H. Castro FG, Krull JL. 1995. Cancer risk reduction in Mexican American women:the role of acculturation, education and health risk factors. Health educ q. 22:61-84. 

  11. Cho SN. 2009 Undertaning the multicultural society (difference and coexistence; changes in lifestyle). Proceedings of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spring joint conference. p11 

  12. Chang MJ, Jo MS. 2000. Recognition and preference to Korean traditional food of foreign visitors in Korea. Korean J. food culture 15(3):215-223 

  13. Cooke LJ, Harworth CMA, Warde J. 2007 Genetic and environmental influence on children's food neophobia.. Am. J. Clin.Nutr. 86(2):428-433 

  14. Gang MS, Chyun JH. 2006.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the knowledge of the korean traditional food in the elementary schoolchildren of Incheon. Korean J. food culture 21(2):107-115 

  15. Ha KA. 2010.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itude toward cultural diversity and factors influencing attitude. Master' thesis, Ewha womens university. pp 49-59 

  16. Joo NM. 2009. Korean food in multicultural family and changes in table setting. Proceedings of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spring joint conference. pp112-135 

  17. Jung HJ. 2009 Food attitude of multicultural family and utilization of fermented food. Proceedings of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spring joint conference. pp 61-62 

  18. Kang JH, Lee KA. 2008. The perception, preferences, and intake of korean traditional food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focucing on Kimchi, tteok and eumchong varieties. Korean J. food culture 23(5):543-545 

  19. Kwak DW. 2009. Research to ingestion of food and an attitude from food and drink of multicultural family. Master's thesis, Woosong university 

  20. Lee JY, Kim KJ Park YH, Kim HR. 2010. Preference and perception of Korean foods of foreign consumers by nationality. Korean J. food culture. 25(1):9-16 

  21. Saitia JA, Patterson RE, Taylor VM, Cheney CL. 2000. Use of qualitative methods to study diet, acculturation, and health in Chinese-American women. J Am Diet Assoc. 100:934-940 

  22. Patrick H. 2004. Identity development and multicultural competency. Multicultural counseling and development. 32(3):283-295 

  23. Park HK. 2006. The influence of foreign foods introduction on change of the traditional menu pattern in elementary school lunches in Korea-analysis of menu structure and dish contents. J. food culture Japan. 2:1-10 

  24. Seo KH, Lee SB, Shin MA. 2003. Research on Korean food preference and the improvement of Korean restaurants for Japanese and Chinese students in Korea.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6):715-722 

  25. Rafael PE, Predrg P. 2007. The role of acculturation in nutrition, lifestyle and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among Latino. J. Nut.137:860-870 

  26. Rozin P. 1990. Acquisition of stable food preferences. Nutr. Reviews. 48:106-113 

  27. Yoon SJ, Kim HS. 2010. Meal practice and perceptions of traditional food cultur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25(5):558-567 

  28. Wikipedia, http://en.wikipedia.org/wiki/food_neophobi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