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방령옷 형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of Bangryeong in the Joseon Dynasty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1 no.7, 2011년, pp.17 - 34  

김숙아 (단국대학교 전통의상학과) ,  최규순 (단국대학교 전통의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how Bangryeong(方領) had been changed from ancient times in China to the Joseon dynasty[朝鮮] in Korea by analyzing Bangryeong in literature, relics, paintings, etc. Based on this, we also analyzed the form of Bangryeong itself and clothes with Bangryeong using excavated relics from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0년 11월까지 조사된 조선시대의 방령옷 유물은 총 몇 점인가? 조선시대의 방령옷 유물은 2010년 11월 현재까지총 37점이 조사되었는데, 이 중 심의 2점은 형태 분석에서 제외하고 나머지 35점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를 위해 총 35점의 유물 중 13점의 유물을 직접 조사하였다.
조선시대 방령에 관한 논의는 주로 어떤 과정에서 나오는가? 조선시대 방령에 관한 논의는 주로 심의의 곡겁 (曲袷)을 해석하는 과정에서 나온다. 이 과정에서 직령이 저절로 만들어내는 모난 형상과는 다른 형태가 제시된다.
현재 학계에서 보는 방령의 의미 세 가지는 무엇인가? 현재 학계에서 방령의 의미는 대개 세 가지로 본다. ① 직령을 교차시켰을 때 뒷목 부분이 모나게 되는 것, ② 모나게 재단해서 붙인 것, ③ 표의(表衣)와 중의(中衣) 사이에 두르는 것으로 방심곡령과 용도는 같으면서 모양이 모진 것 등이다.8) 이 중 두 번째 의미는 문헌에서 조선시대에 주로 보이며, 중국 문헌에서는 찾기가 어렵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홍나영 (1999), 後短方領半臂에 관한 고찰, 服飾, 44, pp. 117-129. 

  2. 이민주, 최은수 (2007), 조선시대 방령의 확산과정과 그 의미, 한복문화, 10(2), pp. 173-191. 

  3. 김미정 (2009), 17C 方領의 구성법과 재현품을 중심으로 -이응해장군 출토유물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문광희 (1990), 曲領에 관한 硏究, 한국의류학회지, 2(14), pp. 164-176. 

  5. 박성실 (1992), 朝鮮前期 出土服飾硏究 - 壬辰倭亂 以前 時期를 中心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정혜영 (1998), 심의, 마산: 경남대학교 출판부. 

  7. 김향미 (2005), 마고자와 對襟形上衣類의 相關性에관한 硏究,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최정수 (2005), 조선시대 옷깃의 형태적 특성을 활용한 현대 의상디자인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이은형 (2009), 한국 전통 배자의 복식사적 고찰과 현대화 작업, 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변지연 (2007), 더그레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성실 (1992), 朝鮮前期 出土服飾硏究 - 壬辰倭亂 以前 時期를 中心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29. 

  12. 尹容鎭, 李秉烋, 朴聖實(1991), 漆谷仁坪洞李氏墓收拾調査, 古文化, 8, pp. 63-64. 

  13. 박성실 (1992), 朝鮮前期 出土服飾硏究 - 壬辰倭亂 以前 時期를 中心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229-230. 

  14. 鄭惠敬(1990), 深衣에 관한 硏究,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9. 

  15. 신경숙 외 (2007), 18세기 예술?사회사와 옥소 권섭, 서울: 다운샘, pp. 249-265. 

  16. 黃能馥, 陳娟娟(1999), 中華歷代服飾藝術, 北京: 中國旅遊出版社, p. 41. 

  17. 黃能馥, 陳娟娟(1999), 中華歷代服飾藝術, 北京: 中國旅遊出版社, p. 292. 

  18. 周錫保(1982), 中國古代服飾史, p. 369. 

  19. 北京文物精粹大系, 北京市文物局編(2001), 北京文物精粹大系-織繡卷-, 北京: 北京出版社, p. 4. 

  20.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定陵博物館.北京文物工作隊(1990), 定陵上, 北京: 文物出版社, p. 258. 

  21.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定陵博物館?北京文物工作隊(1990), 定陵上, 北京: 文物出版社, p. 138. 

  22. 충주박물관 (2004), 이응해 장군묘 출토복식, 충북:충주박물관, p. 126. 

  23. 국립민속박물관 (2001), 이진숭 묘 출토복식, 서울:국립민속박물관, p. 72. 

  24. 옛길박물관 (2010), 중치막 자락에 깃든 사연, 서울:민속원, pp. 132-13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