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중치막(中致莫)의 착용례와 형태 연구
A study on the case of wearing Jungchimak and its form in the Joseon Dynasty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2 no.5, 2014년, pp.670 - 687  

금종숙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미술공예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ocused on Jungchimak (coats with side slits) which was typically worn by men in the mid and late Joseon Dynasty. It was done research by examining the case of wearing Jungchimak centering on literature and paintings and analyzing its changes in terms of its form based on the relics that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왕이 중치막을 착용한 것에 대한 기록은 무엇인가? 첫째, 중치막을 착용한 대상은 왕 이하 사대부들이었다. 왕이 중치막을 착용한 것은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역대 『빈전도감의궤』․『빈전혼전도감의궤』 「삼방의궤」에 나타나며, 숙종대부터 사용한 기록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제적인 유물로는 광해군의 중치막이 있어 그 형태를 확인할 수 있다.
중치막은 무엇인가? 중치막은 조선시대 중․후기에 남자들이 대표적으로 많이 착용한 포로써, 받침옷이나 평소에 겉옷으로 입었던 옷이다. 형태에 관해서는 무가 없고, 뒤는 막혀 있으며, 옆은 완전히 터져 세 자락이고, 광수의 포로 정의되어 왔다(You & Kim, 2000).
중치막의 형태 변화 분석에 관한 결론을 설명하시오. 넷째, 형태는 시대별로 깃, 소매의 모양, 진동과 소매통의 비율, 겉섶, 당(襠)과 무, 총길이와 옆트임의 길이의 비율, 품과 밑자락 너비의 비율이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깃의 형태는 이중칼깃․칼깃․목판당코깃에서 점차 둥근깃으로 변화하였다. 소매의 모양은 착수형에서 두리소매형으로 변화하여 광수형으로 되었다. 진동과 소매통의 비율은 소매통의 너비가 후기로 갈수록 진동보다 넓어졌다. 겉섶의 너비는 후기로 갈수록 좁아져서 이중섶에서 단일섶으로 변하였다. 당과 무의 형태 변화는 무의 모양이 사다리꼴에서 삼각형으로 변화한 후 17세기부터 점차 사라지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무의 형태의 변화에 따라 소매와 무 사이에 달려 있는 당은 사라지게 된다. 총길이에 따른 옆트임 길이의 비율은 후기로 갈수록 점차 길어졌다. 품과 밑자락 너비의 비율은 후기로 갈수록 밑단의 너비가 좁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hn, M. S., & Cho, H. S.(2001). Study on general Choi's excavated costumes at Young-am in Chonnam areas.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4(4), 13-22. 

  2. Andong National Univ. Museum.(2005). Story of the military officils' clothes in the 17th century. Gyeongbuk: Andong National Univ. Museum. 

  3.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2006). Important folk materials. Daejeo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4. Daegu National Museum.(2011). Letters from four centuries ago. Daegu: Daegu National Museum. 

  5. Dankook Univ. Seok Juseon Folk Memorial Museum. (1989). Korean costume, 7, Seoul: Dankook Univ. Seok Juseon Folk Memorial Museum. 

  6. Dankook Univ. Seok Juseon Memorial Museum.(2001). Korean costume, 19, Seoul: Dankook Univ. Seok Juseon Memorial Museum. 

  7. Gwangju Folk Museum.(2012). Excavated relics in Munhwa Ryu & Jangheung Ma's tomb. Gwangju: Gwangju Folk Museum. 

  8. Gyeonggi Provincial Museum.(2001). Research reports of excavated costumes from Jeonju Lee's grave. Gyeonggi-do: Gyeonggi Provincial Museum. 

  9. Gyeonggi Provincial Museum.(2010). Excavation report of Shim Ji Won and Syn Do Bi site. Gyeonggi-do: Gyeonggi Provincial Museum. 

  10. Hong, N. Y.(1996). The study of the excavated clothes of the mid-Chosun Dynas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20(3), 527-537. 

  11. Hong, N. Y.(2008). The periodization of men's coat (Peonbokpo) of the Joseon Dynasty based on excavated costum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tume, 58(5), 118-133. 

  12. Konkuk Univ. Museum.(2007). Research reports of excavated costumes: from the tomb of Seongsan bae graves at Yeongdong, Chungbuk in the 16th and the 17th centuries. Seoul: Konkuk Univ. Museum. 

  13. Lee, E. J.(2001). The costume culture in early 17th century perspectives through excavated letters of Hyun-poong Kwak's famil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tume, 51(8), 25-41. 

  14. Lee, G. J., Hong, N. Y., & Chang, S. H.(2003). Our clothes and ornaments. Seoul: Yeolhwadang. 

  15. Lee, E. J.(2003). The excavated costume from the graves of the Dong-rye Jung clan. Gyeonggi-do: Gyeonggi Provincial Museum. 

  16. Lee, E. J., Ha, M. E., & Ahn, T. H.(2007). The historical value of excavated costume in late 16th century from three tombs of the Choi family originated Jeonju in Mungyeong. Journal of Korean Traditiona Costume, 10(1), 155-171. 

  17. National Museum of Korea.(2002). Genre painting of Joseon Dynasty. Seoul: National Museum of Korea. 

  18. Park, S. S.(2002). Research reports of a male child mummy and excavated costumes. Seoul: Dankook University Seok Juseon Memorial Museum. 

  19.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2004). Excavated costumes and textiles from the tomb of Ohsung Nam. Seoul: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20. The Office of Cultural Propertie.(1979). Research reports of important folklore materials. 75, Chungnam: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1. The Office of Cultural Propertie.(1965). Research reports of important folklore materials. 2, Chungnam: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2. Yetgil Museum.(2010). Story of the lower ends of Jungchimak. Seoul: Minsogwon. 

  23. You, H. K., & Kim, M. J.(2000). Cultural history of Korean costume. Seoul: Kyomunsa. 

  24. Yun, M. W.(1982). A study on the Changui-ryu.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