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항 주변 저서다모류군집의 시.공간 분포와 저서환경의 특징
Spatio-temporal Distributions of Polychaete Communities and Benthic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Harbor Area of Busan Port, Korea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16 no.3, 2011년, pp.125 - 138  

정래홍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윤상필 (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소) ,  김연정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최민규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이원찬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부산항 주변 저서생태계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이를 위해 저서다모류군집의 시 공간 분포 패턴과 저서환경요인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 조사는 북항, 남항 그리고 감천항 내 외측에 선정된 15개 정점에서 2007년 2월부터 12월 사이에 계절별로 진행되었다. 부산항 주변 저서환경요인 중 수온, 염분, 퇴적물 특성 등은 전반적으로 균일한 특성을 보였으나, 총유기탄소(TOC), 산휘발성황화물(AVS), coprostanol과 같은 유기물 함량 및 오염과 관련된 변수들은 부산항의 내 외측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저서다모류군집의 총 종수는 96종, 평균 개체밀도는 1,814 개체/$m^2$ 이었으며, 출현종수는 대체로 외측에서, 개체밀도는 내측에서 높았다. 주요 우점종은 Aphelochaeta monilaris, Magelona japonica, Pseudopolydora paucibranchiata 등으로 다수의 유기물 오염지 표종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다변량분석 결과, 전체 군집은 부산항의 내측군집과 외측군집으로 구분되었으며, 계절성은 큰 영향을 마치지 못하였다. 전체군집구조와 가장 밀접한 상관성을 보인 환경요인은 coprostanol과 산휘발성황화물이었다. 생불과 환경 두 가지 측면 모두에서 부산항 내측의 유기물 오염이 의심되었으며, 그러한 현상은 북항 내측에서 특히 뚜렷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benthic condition around Busan Port by analysing spatio-temporal distribution pattern of polychaete community and some benthic environmental factors. Field survey was seasonally carried out at 15 stations covering in and outside of Busan Port from February...

주제어

참고문헌 (73)

  1. 고병설, 이재학, 홍재상, 1997. 인천연안역 저서동물군집의 시.공간적 분포 양상. 한국해양학회지-바다, 2(1): 31-41. 

  2. 국토해양부, 2008. 부산해양환경관리 기본계획에 관한 연구. 268pp. 

  3. 민병서, 1977. 부산시 영도와 조도사이의 방파제 양측 해역의 환경요소 및 부유생물상에 관하여. 한국수산학회지, 10(4): 243-258. 

  4. 박영철, 양한섭, 이필용, 김평중, 1995. 겨울철 부산항 주변해역의 수질과 표층퇴적물 환경특성. 한국수산학회지, 28(5): 577-588. 

  5. 박흥식, 이재학, 최진우, 2000a. 목포 주변 해역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의 시.공간적 분포. 한국해양학회지-바다, 5(2): 169-176. 

  6. 박흥식, 최진우, 이형곤, 2000b. 통영 인근 가두리 양식장 지역의 저서동물군집 구조. 한국수산학회지, 33(1): 1-8. 

  7. 백상규, 강래선, 전재옥, 이재학, 윤성규, 2007. 동해 후포주변 사질조하대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군집의 분포특성. Ocean and Polar Res., 29(2): 123-134. 

  8. 서진영, 박소현, 임현식, 장만, 최진우, 2009. 인천항 및 부산항의 여름철 대형저서동물군집의 구조. 환경생물학회지, 27(1): 6-19. 

  9. 신현출, 1995. 가막만의 저서다모류군집. 한국해양학회지, 30(4):250-261. 

  10. 신현출, 고철환, 1998. 1995년 12월 경기만 북부해역에서의 저서 다모류 군집. 한국해양학회지-바다, 3(4): 261-270. 

  11. 윤성규, 백상규, 2001. 가덕도 주변해역 대형저서동물군집 구조의 특성. 한국수산학회지, 34(5): 493-501. 

  12. 이형곤, 이재학, 유옥환, 김종관, 2005. 낙동강 하구역 주변 대형 저서동물 군집의 공간 특성. Ocean and Polar Res., 27(2): 135-148. 

  13. 임경훈, 신현출, 윤성명, 고철환, 2007. 진해만 대형 저서동물군집 분석을 통한 저서환경 평가. 한국해양학회지-바다, 12(1): 9-23. 

  14. 임현식, 박경양, 1999. 반폐쇄적인 영산강 하구역 조하대 연성저질의 저서동물 군집. 한국수산학회지, 32(3): 320-332. 

  15. 임현식, 이재학, 최진우, 제종길, 1995. 영종도 주변해역의 저서동물 군집. 한국수산학회지, 28(5): 635-648. 

  16. 임현식, 최진우, 1998. 경기만 대부도 주변 조하대 해역의 저서동물 군집. 한국수산학회지, 31(4): 453-462. 

  17. 임현식, 최진우, 2001. 남해안 소리도 주변 연성저질 해역의 저서 동물 분포. 한국수산학회지, 34(3): 225-237. 

  18. 임현식, 홍재상, 1997. 진해만 저서동물의 군집생태. 3. 군집구조. 한국수산학회지, 30(2): 175-187. 

  19. 정래홍, 윤상필, 권정노, 이재성, 이원찬, 구준호, 김연정, 오현택, 홍석진, 박성은, 2007. 해상 가두리 양식이 저서 다모류군집에 미치는 영향. 한국해양학회지-바다, 12(3): 159-169. 

  20. 정래홍, 임현식, 김성수, 박종수, 전경암, 이영식, 이재성, 김귀영, 고우진, 2002. 남해안 가두리 양식장 밀집해역의 대형저서동물 군집에 대한 연구. 한국해양학회지-바다, 7(4): 235-246. 

  21. 조영길, 이창복, 고철환, 2000. 광양만 표층퇴적물의 중금속 함량 및 분포. 한국해양학회지-바다, 5(2): 131-140. 

  22. 최민규, 문효방, 김상수, 박종수, 2005a. 퇴적물내 coprostanol을 이용한 진해만의 도시하수오염 평가. 한국수산학회지, 38(2):118-128. 

  23. 최민규, 최희구, 김상수, 문효방, 2005b. Fecal sterol을 이용한 울산만과 주변해역 퇴적물내 하수기인 유기물 평가. 한국환경과학회지, 14(1): 23-32. 

  24. 최진우, 유옥환, 이우진, 2003. 광양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하계 공간분포양상. 한국해양학회지-바다, 8(1): 14-28. 

  25. 해양수산부, 2005. 해양환경공정시험방법. 389pp. 

  26. 홍성윤, 마채우, 강영실, 1994. 부산항 해역의 지표성 요각류 분포 및 동물플랑크톤 군집. 한국해양학회지, 29(2): 132-144. 

  27. Beukema, J.J., 1991. Changes in composition of bottom fauna of a tidal-flat area during a period of eutrophication. Mar. Biol., 111:293-301. 

  28. Bilyard, G.R., 1987. The value of benthic infauna in marine pollution monitoring studies. Mar. Pollut. Bull., 18: 581-585. 

  29. Brown, J.R., R.J. Gowen and D.S. McLusky, 1987. The effect of salmon farming on the benthos of a Scottish sea loch. J. Mar. Biol. Ecol., 109: 39-51. 

  30. Cardoso, P.G., M. Bankovic, D. Raffaelli and M.A. Pardal, 2007. Polychaete assemblages as indicators of habitat recovery in a temperate estuary under eutrophication. Est. Coast. Shelf Sci., 71:301-308. 

  31. Chareonpaich, C., H. Tsutsumi and S. Montani, 1994. Efficiency of the decomposition of organic matter, loaded on the sediment, as a result of the biological activity of Capitella sp.1. Mar. Bull., 28(5): 314-318. 

  32. Choi, H.G., S.G. Kim, S.S. Kim, H.B. Moon, P.Y. Lee and C.K. Park, 2002. Sterols of sewage indicators in marine sediments of Jinhae Bay, Korea. J. Kor. Soc. Oceanogr., 37: 51-57. 

  33. Clarke, K.R., 1993. Non-parametric multivariate analyses of changes in community structure. Aust. J. Ecol., 18: 117-143. 

  34. Clarke, K.R. and M. Ainsworth, 1993. A method for linking multivariate community structure to environmental variables. Mar. Ecol. Prog. Ser., 92: 205-209. 

  35. Clarke, K.R., P.J. Somerfield and R.N. Gorley, 2008. Testing of null hypotheses in exploratory community analyses: similarity profiles and biota-environment linkage. J. Exp. Mar. Biol. Ecol., 366:56-69. 

  36. Clarke, K.R. and R.M. Warwick, 2001. Change in marine communities: an approach to statist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2nd edition. PRIMER-E, Plymouth, UK, 171 pp. 

  37. Cloern, J.E., 2001. Our evolving conceptual model of the coastal eutrophication problem. Mar. Ecol. Prog. Ser., 210: 223-253. 

  38. Conlan, K.E., S.L. Kim, H.S. Lenihan and J.S. Oliver, 2004. Benthic changes during 10 years organic enrichment by McMurdo Station, Antarctica. Mar. Pollut. Bull., 49: 43-60. 

  39. Como, S., P. Magni, D. Casu, A. Floris, G. Giordani, S. Natale, G.A. Fenzi, G. Signa and G. De Falco, 2007. Sediment characteristics and macrofauna distribution along a human-modified inlet in the Gulf of Oristano (Sardinia, Italy). Mar. Pollut. Bull., 54: 733-744. 

  40. Diaz, R.J., 2001. Overview of Hypoxia around the World. J. Environ. Qual., 30(2): 275-281. 

  41. Diaz, R.J. and R. Rosenberg, 1995. Marine benthic hypoxia: a review of its ecological effects and the behavioral responses of benthic macrofauna. Oceanogr. Mar. Biol. Ann. Rev., 33: 245-303. 

  42. Edgar, G.J., C.K. Macleod, R.B. Mawbey and D. Shields, 2005. Broad-scale effects of marine salmonid aquacultue on macrobenthos and the sediment environment in southeastern Tasmania. J. Exp. Mar. Biol. Ecol., 327: 70-90. 

  43. Frouin, P., 2000. Effects of anthropogenic disturbances of tropical softbottom benthic communities. Mar. Ecol. Prog. Ser., 194: 39-53. 

  44. Gray, J.S., R.S. Wu and Y.Y. Or, 2002. Effects of hypoxia and organic enrichment on the coastal marine environment. Mar. Ecol. Prog. Ser., 238: 249-279. 

  45. Hatcher, P.G. and P.A. McGillivary, 1979. Sewage contamination in the New York Bight, coprostanol as an indicator. Environ. Sci. Technol., 12: 1225-1229. 

  46. Hong, J.S. and J.H. Lee, 1983. Effects of the pollution on the benthic macrofauna in Masan Bay, Korea. J. Oceanol. Soc. Korea, 18:169-179. 

  47. Kang, C.K., P.Y. Lee, J.S. Park and P.J. Kim, 1993. On the distribution of organic matter in the nearshore surface sediment of Korea. Bull. Korean Fish. Soc., 26: 557-566. 

  48. Kang, C.K., M.S. Baik, J.B. Kim and P.Y. Lee, 2002. Season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soft-bottom polychaetes in Jinju Bay of the southern coast of Korea. J. Korean Fish. Soc., 35: 35-4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9. Lim, H.S., J.G. Je, J.W. Choi and J.H. Lee, 1991. Distribution pattern of the macrozoobenthos at Yoja Bay in summer. Ocean Res., 13: 31-4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0. Lim, H.S., J.H. Lee, J.W. Choi and J.G. Je, 1995. Macrobenthic community on the soft-bottom around the Youngjong island, Korea. J. Korean Fish. Soc., 28: 635-64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1. Lim, H.S., H.S. Park, J.W. Choi and J.G. Je, 1999. Macrobenthic community of the subtidal soft bottom of Aenggang Bay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The Sea, 4: 80-9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2. Ma, C.W., S.Y. Hong and H.S. Lim, 1995. Macrobenthic fauna of Deukryang Bay, Korea. J. Korean Fish. Soc., 28: 503-51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3. Morrisey, D.J., L. Howitt, A.J. Underwood and J.S. Stark, 1992. Spatial variation in soft-sediment benthos. Mar. Ecol. Prog. Ser., 81:197-204. 

  54. Paik, S.G. and S.G. Yun, 2000. Community structure of the macrobenthos in Chinhae Bay, Korea. J. Korean Fish. Soc., 33: 572-58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5. Park, H.S., J.H. Lee and J.W. Choi, 2000a.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macrobenthic community on subtidal area around Mokpo, The Sea, 5: 169-1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6. Park, H.S., H.S. Lim and J.S. Hong, 2000b. Spatio- and temporal patterns of benthic environment and macrobenthos community on subtidal soft-bottom in Chonsu Bay, Korea. J. Korean Fish. Soc., 33: 262-2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7. Pearson, T.H. and R. Rosenberg, 1978. Macrobenthic succession in relation to organic enrichment and pollu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Oceanogr. Mar. Biol. Annu. Rev., 16: 229-311. 

  58. Shannon, C.E. and W. Weav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s.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125pp. 

  59. Shin, H.C. and C.H. Koh, 1990.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polychaete community in Kwangyang Bay, southern coast of Korea. J. Kor. Soc. Oceanogr., 25: 205-21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0. Shin, H.C., S.S. Choi and C.H. Koh, 1992. Seasonal and spatial variation of polychaetous community in Youngil Bay, southeastern Korea. J. Kor. Soc. Oceanogr., 27: 46-5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1. Simboura, N., A. Zenetos, P. Panayotidis and A. Makra, 1995. Changes in benthic community structure along a environmental pollution gradient. Mar. Pollut. Bull., 30: 470-474. 

  62. Snelgrove, P.V.R. and C.A. Butman, 1994. Animal-sediment relationships revised: cause versus effect. Oceanogr. Mar. Biol. Ann. Rev., 32: 111-177. 

  63. Tsutsumi, H., 1987. Population dynamics of Capitella capitata (Polychaeta: Capitellidae) in an organically polluted cove. Mar. Ecol. Prog. Ser., 36: 139-149. 

  64. Warwick, R.M., 1986. A new method for detecting pollution effects on marine macrobenthic communities. Mar. Biol., 92: 557-562. 

  65. Warwick, R.M., 1993. Environmental impact studies on marine communities: pragmatical considerations. Austral. J. Ecol., 18: 63-80. 

  66. Weston, D.P., 1990. Quantitative examination of macrobenthic community changes along an organic enrichments gradient. Mar. Ecol. Prog. Ser., 61: 233-244. 

  67. Whittaker, R.J. (Ed.), 1975. Communities and Ecosystems, 2nd Edition. Macmillan, New York, pp. 1-385. 

  68. Yi, S.K., J.S. Hong and J.H. Lee, 1982. A study on the subtidal benthic community in Ulsan Bay, Korea. Bull. KORDI, 4: 17-26. 

  69. Yoon, S.P., R.H. Jung, Y.J. Kim, S.S. Kim, J.S. Lee, J.S. Park, W.C. Lee and W.J. Choi, 2007. Characteristics of benthic environment and polychaete communities of Gamak Bay, Korea. The Sea, 12:287-30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0. Yoon, S.P., R.H. Jung, Y.J. Kim, S.G. Kim, M.K. Choi, W.C. Lee, H.T. Oh and S.J. Hong, 2009a.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along the environmental gradients of Ulsan Bay, Korea. The Sea, 14: 102-1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1. Yoon, S.P., R.H. Jung, Y.J. Kim, S.J. Hong, H.T. Oh and W.C. Lee, 2009b. Spario-temporal changes in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and benthic environment at an intensive oyster culturing ground in Geoje-Hansan Bay, Korea. The Sea, 14: 213-22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2. Yun, S.G. and S.G. Paik, 2001.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os around Kadugdo, a south coast of Korea. J. Korean Fish. Soc., 34: 493-50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3. 日本水産資源保護協會, 1972. 水産環境水質基準. 87p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