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우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합리적인 어린송아지 사양관리 대책을 수립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우리나라 한우 송아지의 이유 시기 실태를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전국의 한우 가임암소를 사육하고 있는 농가를 대상으로 도별 농가수편차가 크게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농가를 임의로 선출하여 방문 조사하였다. 총 조사된 농가수는 862 농가로, 경기 및 제주를 제외하고는 전 지역(7개 도)에서 비교적 비슷한 농가수가 조사되었다. 총 사육두수 규모별 분포는 200두 이상 사육농가가 10.7%로 가장 낮았으나, 이를 제외한 나머지 50두 이하, 51~100두 및 101~200두 규모농가의 비율은 비슷하게 조사되었다. 농가에서 실시하고 있는 이유월령은 3개월령 농가가 39.2%로서 가장 높았고, 4개월령 및 5개월령 이상의 농가도 각각 16.1%와 16.6%를 차지하였다. 반면에 한우 송아지의 이유 시기에 대한 연구자료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12.0%의 농가들은 조기이유(2개월령 이하)를 실시하고 있음이 조사되어 조기이유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조사 농가의 조기 이유 장점에 대한 의견으로는 암소의 번식성적향상을 가장 큰 장점으로 응답하였다. 결론적으로, 현재 한우 송아지의 이유는 3개월령에 실시하는 농가가 많았지만, 4개월령 이상에서 이유를 실시하는 농가도 상당수 조사되어(35.9%), 한우 송아지의 이유월령에 대한 일관성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농가의 수익성 향상을 위한 한우 송아지의 합리적인 이유월령이 제시될 수 있도록 이에 대한 연구 및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urve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Hanwoo calf weaning age and farmer's understanding of early weaning. Eight hundred and sixty-two Hanwoo breeding farms from all nine provinces were surveyed via personal interviews. The percentages of farms categorized by herd size w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한우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합리적인 송아지 사양관리 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한우 송아지의 이유월령 실태를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한우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합리적인 어린송아지 사양 관리 대책을 수립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우리나라 한우 송아지의 이유 시기 실태를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전국의 한우 가임암소를 사육하고 있는 농가를 대상으로 도별 농가수 편차가 크게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농가를 임의로 선출하여 방문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기이유 송아지에 대해 앵거스는 어떻게 보고하였는가? 또한 송아지의 이유 시기 단축은 도체중 및 도체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앵거스(Angus)를 이용한 연구결과(Meyer 등, 2005)에서는, 조기이유 송아지가 전통적인 이유 송아지에 비하여 일당증체량 및 도체중이 높았고 배최장근단면적도 더 넓게 나타난 것으로 보고하였다. 특히, Wertz 등(2001)은 고에너지(농후사료) 사양의 조기이유 송아지는 전통적인 이유 송아지에 비하여 근내지방도가 증가하여 등급출현율이 향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등지방 두께는 오히려 감소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우리나라 한우 송아지의 이유 시기 실태를 조사한 결과는? 총 조사된 농가수는 862 농가로, 경기 및 제주를 제외하고는 전 지역(7개 도)에서 비교적 비슷한 농가수가 조사되었다. 총 사육두수 규모별 분포는 200두 이상 사육농가가 10.7%로 가장 낮았으나, 이를 제외한 나머지 50두 이하, 51~100두 및 101~200두 규모농가의 비율은 비슷하게 조사되었다. 농가에서 실시하고 있는 이유월령은 3개월령 농가가 39.2%로서 가장 높았고, 4개월령 및 5개월령 이상의 농가도 각각 16.1%와 16.6%를 차지하였다. 반면에 한우 송아지의 이유 시기에 대한 연구자료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12.0%의 농가들은 조기이유(2개월령 이하)를 실시하고 있음이 조사되어 조기이유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조사 농가의 조기 이유 장점에 대한 의견으로는 암소의 번식성적향상을 가장 큰 장점으로 응답하였다. 결론적으로, 현재 한우 송아지의 이유는 3개월령에 실시하는 농가가 많았지만, 4개월령 이상에서 이유를 실시하는 농가도 상당수 조사되어(35.
암소의 번식효율과 건강한 송아지의 사양관리가 한우 번식우 경영에 있어서 많은 관심이 집중되는 이유는? 한우 번식우 경영에 있어서 암소의 번식효율과 건강한 송아지의 사양관리는 농가의 수익과 연관성이 높기 때문에 많은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특히, 어미소의 번식효율 향상과 송아지의 이유 시기는 큰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Myers 등, 1999; Peterson 등, 1987; Story 등,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Cho, H. J., Park, M. H., Lim, Y. C., Jeong, S. Y., Shin, J. K., Jeong, S. M. and Seo, K. M. 2003. Survey of disease frequency in Holstein dairy cattle and korean native cattle in the Chungbuk area of Korea. J. Vet. Clin. 20(2):185-197. 

  2. Kwon, E. G., Park, B. K., Cho, Y. M., Han, M. H., Choi, C. Y. and Lee, M. S. 2007. Effects of weaning age on growth performance, feed intake, disease occurrence of Hanwoo calves and reproductive efficiency of dams. J. Anim. Sci. & Technol. (Kor.) 49(2):239-244. 

  3. Meyer, D. L., Kerley, M. S., Walker, E. L., Keisler, D. H., Pierce, V. L., Schmidt, T. B., Stahl, C. A., Linville, M. L. and Berg, E. P. 2005. Growth rate, body composition, and meat tenderness in early vs. traditionally weaned beef calves. J. Anim. Sci. 83:2752-2761. 

  4. Myers, S. E., Faulkner, D. B., Ireland, F. A. and Parrett, D. F. 1999. Comparison of three weaning ages on cow-calf performance and steer carcass traits. J. Anim. Sci. 77:323-329. 

  5.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1. Nutrient Requirements of Dairy Cattle, Seventh Revised Ed. Pp. 214-229.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6. Peterson, G. A., Turner, T. B., Irvin, K. M., Davis, M. E., Newland, H. W. and Harvey, W. R. 1987. Cow and calf performance and economic considerations of early weaning of fall-born beef calves. J. Anim. Sci. 64:15-22. 

  7. SAS. 2000. $SAS/STAT^{\circledR}$ User's guide (Release 8.1 ed.). Statistics, SAS Inst, Inc., Cary, NC. 

  8. Short, R. E., Bellows, R. A., Moody, E. L. and Howland, B. E. 1972. Effects of suckling and mastectomy on bovine postpartum reproduction. J. Anim. Sci. 34:70-74. 

  9. Story, C. E., Rasby, R. J., Clark, R. T. and Milton, C. T. 2000. Age of calf at weaning of spring-calving beef cows and the effect on cow and calf performance and production economics. J. Anim. Sci. 78:1403-1413. 

  10. Wertz, E., Berge, L. L., Walker, P. M., Faulkner, D. B., McKeith, F. K. and Rodriguez-Zas, S. 2001. Early weaning and postweaning nutritional management affect feedlot performance of angus x simmental heifers and the relationship of 12th rib fat and marbling score to feed efficiency. J. Anim. Sci. 79:1660-1669. 

  11. Williams, G. L. 1990. Suckling as a regulator of postpartum rebreeding in cattle: a review. J. Anim. Sci. 68:831-85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