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alculating break-even price of calf production is closely associated with reproductive efficiency. To determine the price, we need data from reproduction records including number of claves weaned, number of cows exposed for breeding, and annual cash coast per cow, and average weaning or market wei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한우 번식우의 번식실태현황 및 한우 송아지 생산비용 분석을 통해 한우 번식관리의 중요성과 향후 번식우 관리 대책 및 번식효율 증대에 필요한 요인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한우암소 검정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농가의 암소의 번식실태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전체 한우번식실태와 경제성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우의 번식에 있어 손익분기비용 분석에 필요한 요소는 무엇인가? 손익분기비용(BEP: Break-Even Price) 분석을 위해서는 한우 번식당 사육비, 자우 생산율, 평균 이유 시 체중이 필요하다. 사육비는 통계청 자료를 사용하고, 평균 이유 시 체중은 관행이유 송아지 81.
축산업 생산액 중 한우가 차지하는 비중은 얼마인가? 9%까지 성장하였다. 특히 한우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2년 기준 20.4%로 전체 축종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호당 사육 두수는 2003년 7두에서 2013년 23.
국내에서 발표된 한우 번식에 관련된 연구는 무엇이 있는가? 한우 번식 관련 연구는 주로 번식 효율 향상에 중점을 두고, 발정휴지기간, 분만 간격, 수태 당 수정 횟수와 같은 번식효율 지표에 관한 연구(한 등, 1989; 백 등, 1998; 김 등, 2002; 최 등, 2006), 번식 형질에 대한 환경효과(한광진, 2002), 번식우 및 송아지 사양관리를 통한 번식효율에 관한 실태 조사나 실험 연구(권 등, 2007; 여 등, 2011), 호르몬을 이용하여 발정 유도 혹은 수태율 향상시키는 연구들(임 등, 1997; 이 등, 2000; 이 등, 2001; 박 등, 2003)이 주로 수행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권응기, 박병기, 조영무, 한만희, 최창용, 이명식. 2007. 한우 송아지 이유 시기가 증체, 사료섭취량, 질병발생 및 어미소의 번식효율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49(2):239-244. 

  2. 김의형, 정기용, 이승환, 유일선, 강희설. 2014. 한우 농장별 번식기록 분석을 통한 번식률 제고 사례 연구.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29(1):7-12. 

  3. 김학영, 송상현, 조현조. 2002. 한우 번식우 농가의 번식 실태 및 번식 장애 치료에 관한 연구. 한국가축번식학회지. 26(3):291-298. 

  4. 박정준, 이명식, 박수봉, 임석기, 전기준, 정영훈, 우제석, 나기준, 고대환, 이규승. 2003. 한우에 Ov-synch 처리시 배란시기와 수태율 구명에 관한 연구.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18(3):187-193. 

  5. 백광수, 고응규, 성환후, 이명식, 최순호, 김영근. 1998. 사육규모에 따른 한우 번식 실태 조사. 한국가축번식학회지. 22(4):367-373. 

  6. 여준모, 이성훈, 기광석, 황진호, 이성실, 김완영. 2011. 한우 송아지 이유월령 실태 조사연구.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53(5):497-502. 

  7. 이명식, 최창용, 오운용, 조영무, 이지웅, 김영근, 성환후, 양화정, 손삼규, 나승환, 나기준. 2001. 한우의 계절번식과 다양한 발정제어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가축번식학회지. 25(1): 29-33. 

  8. 이병천, 이강남, 이은송, 손창호, 류일선, 최상용, 노규진, 오성종, 정근기, 김상철, 김계성, 주식천, 임정묵, 장구, 황우석. 2000. 한우의 신속한 증식을 위한 번식기술 개발에 관한연구. I. 한우 번식실태 및 $PGF2\alpha$ 의 난소실질 내 투여효과.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15(1): 77-83. 

  9. 임석기, 우제석, 윤상보, 전기준. 1997. 저수태 한우에 대한 성선자극 호르몬 방출호르몬 투여 효과.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12 (1):117-122. 

  10. 조재성, 송우진, 이용건, 윤정현. 2014. 축산관측사업 정밀도 제고 및 정책연계 프로그램 구축 연구.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 

  11. 최창용, 손동수, 최규찬, 송상현, 최창열, 최선호, 김현종, 조상래, 허창기, 강다원. 2006. 한우 번식우 사육 농가의 번식 장애실태 조사.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21(4):331-338. 

  12. 통계청(kosis.kr). 가축동향조사, 축산물 생산비조사. 

  13. 한국종축개량협회(http://www.aiak.or.kr/) 

  14. 한광진. 2002. 한우의 번식형질에 대한 환경요인의 효과. 영향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442:191-200. 

  15. 한찬규, 이남형, 박연진, 정영채. 1989. 한우의 번식실태 조사. 한국가축번식학회지. 13(1):1-6. 

  16. Maas JA, Garnsworthy PC and Flint AP. 2009. Modelling responses to nutritional, endocrine and genetic strategies to increase fertility in the UK dairy herd. Vet. J. 180(3):356-362. 

  17. VanRaden PM, Sanders AH, Tooker ME, Miller RH, Norman HD, Kuhn MT and Wiggans GR. 2004. Development of a national genetic evaluation for cow fertility. J. Dairy Sci. 87: 2285-229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