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대기질 모사를 통한 인접지역 배출량이 광양만 오존농도에 미치는 영향분석 - 2010년 6월 사례를 중심으로
Estimating Influence of Local and Neighborhood Emissions on Ozone Concentrations over the Kwang-Yang Bay based on Air Quality Simulations for a 2010 June Episode 원문보기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27 no.5, 2011년, pp.504 - 522  

김순태 (아주대학교 환경건설교통공학부) ,  이종범 (강원대학교 환경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mulations of CMAQ with the High-order Decoupled Direct Method (HDDM) for a 2010 June episode are applied to estimate the influence of local and neighborhood emissions on ozone concentrations in the Kwang-Yang Bay (KYB) area. In order to examine ozone response to reductions in $NO_x$ and...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CMAQ을 이용한 대기질 기본모사를 수행하고 광양만 지역에서 관측되는 고농도 오존의 재현성과 입력되는 배출량을 우선 평가하였다. 관측자료를 근거로 수정된 배출량을 이용한 HDDM 모사를 통해 광양만 지역에서 100 ppb 이상의 1시간 평균 오존농도가 관측된 날들에 대해 국지오염원 및 인접한 외부오염원에 대한 기여도를 분석하였다.
  • 관측자료를 근거로 수정된 배출량을 이용한 HDDM 모사를 통해 광양만 지역에서 100 ppb 이상의 1시간 평균 오존농도가 관측된 날들에 대해 국지오염원 및 인접한 외부오염원에 대한 기여도를 분석하였다. 광양만 지역의 고농도 사례일에 대한 지역별 기여도를 정량적으로 조사함으로써 해당지역의 고농도 오존현상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동시에, 지역별 배출량 저감에 따른 효과적인 오존 저감대책을 마련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정확한 대기질 모사와 올바른 대기질 현황 이해를 위해서는 입력자료로 활용되는 배출량 자료에 대한 검증 및 평가가 우선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SMOKE를 이용하여 산정된 인위적 배출량을 평가하기 위하여 대기질 모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평가함으로써 대기질 모사에 이용된 배출량 자료 및 그 처리 방법에 대한 개선작업을 수행하였다. 모사에 이용된 배출량 평가는 대기질 자동측정망, 광화 학측정망 등과 모사결과 비교를 통해 검토되었다.
  • 산정된 기본배출량 평가를 위한 모사 결과를 비교한 결과, 10개 항목 중 광화학 측정망과 비교하여 모사농도 범위가 벗어나는 물질로 ARO2, ETH, OLE1 등이 존재한다(그림 6 참조). OH 라디칼과의 반응성을 고려할 때 이들 물질은 오존 생성에 있어 중요하므로(Carter, 1999; Derwent et al., 1996), 본 연구에서는 이들 물질에 대한 배출량의 수정을 검토하였다. ARO2는 골약 지역에서 측정치와 비슷한 모사 농도를 보였으나 중흥 지역에서는 2배 이상 과소평가되었다.
  • 광양만 지역의 오존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광양만 자체 배출량뿐만 아니라 인접한 지역으로부터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그림 1에 제시한 바와 같이 배출원 지역을 광양만 지역, 그리고 이를 제외한 경상 지역, 전라지역 및 그 외 지역으로 구분하여 HDDM 모사를 통해 그 기여도를 추정해 보고자 하였다.
  • 오존의 경우 기상조건에 의해 규제대상 지역 외부로부터의 영향을 감안할 수 있으며, 광양만 지역 또한 지리적 조건을 고려할 때 광양만 외부 배출원이 해당지역의 오존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HDDM을 이용하여 광양 자체 배출원과 국내에 위치하는 외부 배출원의 영향을 질소산화물과 휘발성유기화합물로 구분하여 그 영향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기 중 오존농도는 무엇에 의해 생성되는가? 광양, 여수, 순천을 포함하는 광양만 지역은 120 pbb를 초과하는 오존(Ozone) 농도의 발생빈도가 2006년 4차례, 2007년 19차례, 그리고 2008년에 16차례 등에 걸쳐 관측되고 있으며, 해당지역에 위치한 산업단지 및 지리적 특성 등에 의해 국내에서는 광화학 오염이 매우 심각한 지역으로 파악되고 있다(NIER, 2010). 대기 중 오존농도는 전구물질인 질소산화물(NOx)과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의 광화학 반응에 의해 생성되며(Seinfeld and Pandis, 1998), 오존농도의 저감을 위해서는 이러한 전구물질의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HDDM을 이용한 국외 사례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또한 수도권 지역을 대상으로 HDDM을 이용한 기여도 분석을 통해 오존 및 질소산화물에 대한 서울, 경기, 인천 등 지역별 배출량에 의한 영향 및 점, 선, 면 등 오염원별 기여도를 산정하는 연구가 수행되었다(KEI, 2006). 국외 사례로는 해당지역의 고농도 오존사례에 대한 질소산화물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영향을 검토한 연구(i.e., Environ, 2008; Cohan et al., 2005)와 지역 배출량과 외부 배출량의 영향을 분석한 연구 등이 있다(Kim et al., 2009).
DDM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 2005). 이전의 DDM (Decoupled Direct Method)에서는 오존의 1차 민감도 계수만을 이용하여 비선형성을 고려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HDDM의 경우 2차 민감도 계수를 이용함으로써 비선형성으로 인한 오차를 감소하는 동시에 각 지역별, 오염원별, 배출물질별로 오존농도에 미치는 기여도를 간접적으로 도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CMAS, 2010; Cohan et al.,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yun, D.W. and J.K.S. Ching (1999) Science Algorithms of the EPA Models-3 Community Multi-scale Air Quality (CMAQ) Modeling System, EPA Report, EPA/600/R-99/030, NERL, Research Triangle Park, NC. 

  2. Byun, D.W. and K.L. Schere (2006) Review of the Governing Equations, Computational Algorithms, and Other Components of the Models-3 Community Multiscale Air Quality (CMAQ) Modeling System, Applied Mechanics Reviews, 59(2), 51-77. 

  3. Carter, W.P.L. (1999) Documentation of the SAPRC-99 Chemical Mechanism for VOC Reactivity Assessment, Final Report to the California Air Resources Board, Contracts No. 92-329 and No. 95-308. 

  4. Chun, T.H., C.B. Lee, J.C. Kim, and S.T. Kim (2010) Simulation of Ozone Concentration in Gwangyang-Bay Area Using WRF-CMAQ Model, Proceeding of the 51st Meeting of KOSAE (2010), 135. 

  5. CMAS (2010) Community Modeling and Analysis System web page, Available at http://www.cmascenter.org (accessed 2010). 

  6. Cohan, D.S., A. Hakami, Y. Hu, and A.G. Russell (2005) Nonlinear response of ozone to emissions: Source apportionment and sensitivity analysis, Environ. Sci. Technol., 39, 6739-6748. 

  7. Derwent, R.G., M.E. Jenkin, and S.M. Saunders (1996) Photochemical ozone creation potentials for a large number of reactive hydrocarbons under European conditions, Atmospheric Environment, 30, 181-199. 

  8. Draxler, R.R. and G.D. Rolph (2011) HYSPLIT (HYbrid Single-Particle Lagrangian Integrated Trajectory) Model access via NOAA ARL READY (http://ready.arl.noaa.gov/HYSPLIT.php), NOAA Air Resources Laboratory, Silver Spring, MD. 

  9. ENVIRON (2008) Higher-Order Decoupled Direct Method (HDDM) for Ozone Modeling Sensitivity Analyses and Code Refinements, Final report to the Texas Commission on Environmental Quality, Work Order 582-07-84005-FY08-07, Novato, CA. 

  10. ENVIRON (2010) User's guide to the Comprehensive Air Quality Model with Extension (CAMx) version 5.30. http://www.camx.com. 

  11. Gillani, N.V. and J.E. Pleim (1996) Sub-grid-scale features of anthropogenic emissions of $NO_x$ and VOC in the context of regional Eulerian models, Atmospheric Environment, 30, 2043-2059. 

  12. Guenther, A., T. Karl, P. Harley, C. Wiedinmyer, P.I. Palmer, and C. Geron (2006) Estimates of global terrestrial isoprene emissions using MEGAN (Model of Emissions of Gases and Aerosols from Nature),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6, 3181-3210. 

  13. Ha, H., S.D. Lee, J.K. Lee, C.O. Park, and T.R. Mun (2006) On characteristics of surface ozone concentration and temporal?spatial distribution in Kwangyang- Ba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2(5), 642-65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Hogrefe, C., G. Sistla, E. Zalewsky, W. Hao, and J.Y. Ku (2003) An assessment of the emissions inventory processing systems EMS-2001 and SMOKE in grid-based air quality models, J. Air Waste Manage. Assoc., 53(9), 1121-1129. 

  15. Kim, S., C.H. Bae, H.W. Han, and J.B. Lee (2010) Analysis of High Ozone Concentrations with CAMQ and HDDM in the Gwangyang-Bay Area for June 2010, Proceeding of the 51st Meeting of KOSAE, 136. 

  16. Kim, S., D.W. Byun, and D. Cohan (2009) Contributions of inter- and intra-state emissions to ozone over Dallas-Fort Worth, Texas, Civ. Eng. Environ. Syst., 26, 103-116. 

  17. Kim, S., N.K. Moon, and D.W. Byun (2008) Korean emissions inventory processing using the US EPA's SMOKE system,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2(1), 34-46. 

  18.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06) Air Quality Modeling System- Development of Emissions Preparation System with the CAPSS, Final report, Seoul, Korea. 

  19. Lee, S.D. (2003) Numerical simulation modeling of ozone concentration in Kwangyang Bay, Korea, J. of KSEE, 25(3), 287-29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0) 고농도 오존발생 원인 규명을 위한 정밀 조사(II), Final report. 

  21. Rolph, G.D. (2011) Real-time Environmental Applications and Display sYstem (READY) (http://ready.arl.noaa.gov), NOAA Air Resources Laboratory, Silver Spring. 

  22. Seinfeld, J.H. and S. Pandis (1998)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Wiley Interscience, New York. 

  23. Shon, Z.H., S.K. Song, and G.W. Lee (2010) Photochemical analysis of ozone levels in the gulf of Gwangyang in the spring and summer of 2009,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6(2), 161-1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Sillman, S. (1999) The relation between ozone, $NO_x$ and hydrocarbons in urban and polluted rural environments, Atmospheric Environment, 33, 1821-1845. 

  25. Zhang, Q., D.G. Streets, G.R. Carmichael, K.B. He, H. Huo, A. Kannari, Z. Klimont, I.S. Park, S. Reddy, J.S. Fu, D. Chen, L. Duan, Y. Lei, L.T. Wang, and Z.L. Yao (2009) Asian emissions in 2006 for the NASA INTEX-B mission Atmos, Chem. Phys., 9, 5131-5153.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