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국, 국화 및 구절초 꽃 휘발성 성분의 항산화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Volatile Compounds in Flower of Chrysanthemum indicum, C. morifolium, and C. zawadskii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6, 2008년, pp.805 - 809  

우관식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품질관리과) ,  유정식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황인국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연리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철희 (충북대학교 원예학과) ,  윤향식 (충청북도 농업기술원) ,  이준수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헌상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감국, 국화 및 구절초 등 3종의 국화과 식물에 대해 향기성분을 분석하고 향기성분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측정하고자 3종의 국화과 식물에 대한 향기특성을 SDE법으로 추출하여 GC/MS로 분석한 결과 camphene, 1,8-cineole, benzene, pinocarvone, bicyclo-2,2,1-heptan-2-ol, trans-caryophyllene, 3-cyclohexen-1-ol, ${\gamma}$-curcumene, zingiberene, ${\beta}$-bisabolene 등이 검출되어 주요 향기성분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감국, 국화 및 구절초의 향기추출물에 대한 전자공여능DPPH법으로 측정한 결과 1 g/mL의 농도에서 각각 30.57, 46.36 및 51.72%로 나타내어 구절초 추출물이 항산화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총항산화력을 ABTS법으로 측정한 결과 각각 34.99, 35.31 및 38.48mg AEAC/g으로 나타내어 전자공여능과 마찬가지로 구절초가 항산화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유는 구절초가 camphene, 1,8-cineole, camphor, germacrene D, myrtenol 등의 성분이 감국이나 국화보다 다량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활성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roma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hrysanthemum indicum Linne (CIL), C. morifolium Ramat (CMR) and C. zawadskii var Latilobum (CZL). The volatile compounds were extracted by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extraction and identified wit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화과 식물은 최근 들어 차류 제품이 다량 출시되면서 국화과 식물의 휘발성 향기성분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며, 국화과 식물의 향기성분 항산화 활성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감국, 국화 및 구절초 등 3종의 국화과 식물에 대해 향기성분을 분석하고 향기성분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여 국화과 식물을 이용한 차 등의 식품 제조에 있어 휘발성 향기성분의 역할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국이란 무엇인가? 감국(Chrysanthemum indicum Linne)은 국화과(Compositae)의 국화속(Chrysanthemum)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1)으로 주요 성분으로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인 luteolin, apigenin, apigenin 7-O-β-D-glucoside 및 luteolin 7-O-βD-glucoside 등이, sesquiterpene lactone 화합물인 cumambrin A, cumambrin B, arteglasin A 및 angeloyljadin 등이 알려져 있다(2). 국화(C.
과채류의 중요한 관능적 지표는 무엇인가? 향기성분은 과채류의 중요한 관능적인 지표이며, 구조의 변화가 특히 민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채류의 향에 기인한 향기성분은 숙성, 수확 및 저장 중에 합성되며, 품종과 기술적인 처리 등의 많은 변수에 영향을 받는다(8).
감국, 국화 및 구절초 등 3종의 국화과 식물에 대한 향기특성을 SDE법으로 추출하여 GC/MS로 분석한 결과 공통적으로 어떤 성분이 검출되었는가? 감국, 국화 및 구절초 등 3종의 국화과 식물에 대한 향기특성을 SDE법으로 추출하여 GC/MS로 분석한 결과 Table 1과 같이 나타났다. 3종의 국화과 식물에서 공통적으로 camphene, 1,8-cineole, benzene, pinocarvone, bicyclo-2,2,1- heptan-2-ol, trans-caryophyllene, 3-cyclohexen-1-ol, γ-curcumene, zingiberene, β-bisabolene 등이 검출되었다. 이중에서 쓴 허브 향을 내는 성분(15)으로 알려진 camphene은 감국(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Yoon OH, Cho JS. 2007.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hot water extracts from Chrysanthemum indicum L.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1-8 

  2. Ryu SY, Choi SU, Lee SH, Ahn JW, Zee OP. 1994. Antitumor activity of some phenolic components in plants. Arch Pham Res 17: 42-44 

  3. Park NY, Kwon JH, Kim HK. 1998.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ethanol extracts from Chrysanthemum morifolium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189-1196 

  4. Nam SH, Yang MS. 1995. Antibacteri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Chrysanthemum boreale M. J Agric Food Chem 38: 269-272 

  5. Nam SH, Yang MS. 1995. Isolation of cytotoxic substances of extracts from Chrysanthemum boreale M. J Agric Food Chem 38: 273-277 

  6. Jang DS, Park KH, Choi SU, Nam SH, Yang MS. 1997. Antibacterial substances of the flower of Chrysanthemum zawadskii Herbich var. Iatilobum Kitamurs. Agric Chem Biotechnol 40: 85-88 

  7. Lee CG, Yu CY, Heo K, Jung YS, Cho DH, Yoon BS. 2000. Study on the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of Chrysanthemum zawadskii H. Inst Agric Sci Kangwon Nat Univ J Agric Sci 11: 107-112 

  8. Artacho R, Serrano MF, Lopez MD. 1995. Determination of organic sulphur compounds in garlic extracts by gas chromatography and mass spectrometry. Food Chem 53: 91-93 

  9. Woo KS, Yoon HS, Lee J, Jeong HS. 2007.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volatile compounds in heated garlic (Allium sativum). Food Sci Biotechnol 16: 822-827 

  10. Jeong JY, Woo KS, Hwang IG, Yoon HS, Lee YR, Jeong HS. 2007. Effects of heat treatm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roma on garlic harvested in different cultivation are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637-1642 

  11. Nikerson GB, Likens ST. 1996. Gas chromatographic evidence for occurrence of hop oil components in Beer. J Chromatogr 21: 1-5 

  12.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3 

  13. Choi Y, Lee SM, Chun J, Lee HB, Lee J. 2006. Influence of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polyphenolic compounds of Shiitake (Lentinus edodes) mushroom. Food Chem 99: 381-387 

  14. Forni LG, Mora-Arellano VO, Packer JE, Willson RL. 1986. Nitrogen dioxide and related free radicals: electron-transfer reactions with organic compounds in solutions containing nitrite or nitrate. J Chem Soc 2: 1-6 

  15. Min YK, Yoon HS, Kim J, Jeong HS. 1999. Aroma characteristics of applemint (Mentha rotundifolia (L.) Huds) with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465-1470 

  16. Shin SW. 2005. In vitro inhibitory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from Rosmarinus officinalis L. against antibiotic-susceptible and resistant strains of some pathogenic bacteria. Korean J Pharmacogn 36: 252-256 

  17. Kim JO, Kim YS, Lee JH, Kim MN, Rhee SH, Moon SH, Park KY. 1992. Antimutagenic effect of the major volatile compounds identified from mugwort (Artemisia asictica nakai) leaves. J Korean Soc Food Nutr 21: 308-313 

  18. Kubo I, Muroi H, Himejima M. 1992. Antimicrobial activity of green tea flavor components and their combination effects. J Agric Food Chem 40: 245-248 

  19. Ahn JC, Kim MY, Kim OT, Kim KS, Kim SH, Kim SH, Hwang B. 2002. Selection of the high yield capacity of Hwangchil Lacquer and identification of aromatic components in essential oil of Dendropanax morbifera Lev. Korean J Med Crop Sci 10: 126-131 

  20. Gardeli C, Papageorgiou V, Mallouchos A, Theodosis K, Komaitis M. 2008. Essential oil composition of Pistacia lentiscus L. and Myrtus communis L.: Evaluation of antioxidant capacity of methanolic extracts. Food Chem 107: 1120-1130 

  21. Choe SH, Im SI, Jang EY, Jo YS. 2004. Volatile components of flower and seed of safflow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196-201 

  22. Cruz-Canizares JD, Domenech-Carbo MT, Gimeno- Adelantado JV, Mateo-Castro R, Bosch-Reig F. 2005. Study of Burseraceae resins used in binding media and varnishes from artworks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and pyrolysis-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J Chromatogr A 1093: 177-19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