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한국여대생의 로마진단기준에 의한 변비 실태조사 및 변비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요인
Actual Status of Constipation and Life Factors Affecting Constipation by Diagnosis of Rome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4 no.5, 2011년, pp.428 - 442  

정수진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 식품 임상시험 지원센터) ,  채수완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 식품 임상시험 지원센터) ,  손희숙 (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숙배 (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노정옥 (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백상호 (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강명희 (한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건희 (덕성여대 식품영양학과) ,  김미현 (강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현숙 (숙명여대 식품영양학과) ,  박은주 (경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허영란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차연수 (전북대학교병원 기능성 식품 임상시험 지원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일부 여대생 978명 대상으로 로마진단기준에 의한 변비 실태를 조사하고, 변비증상을 가진 자와 정상배변 습관을 가진자들의 생활습관, 배변상태, 월경불편감, 의생활, 주거생활, 식습관 및 식이섭취실태 등을 조사하여 변비와 관련성을 살펴보고 이를 영양교육 자료의 기초를 삼고자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인구비례에 근거한 전국 5개지역 소재 (서울/경기, 경상, 충청, 전라, 강원지역)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여대생 978명을 대상으로 2008년 5월부터 6월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1) 조사대상자의 평균연령은 21.6세로 로마기준 II에 의한 변비실태 조사는 정상배변군과 변비군 각각 714명 (73.0%)과 264명 (27.0%)로 나타나 변비유병률은 27.0%로 나타났다. 2) 변비군에서 체중 (p < 0.05)과 체질량지수 (p < 0.05)는 정상배변군보다 더 높게 나타났고 비만도가 높을수록 변비발생 (p < 0.01)과 배변장애요인수 (p < 0.01)가 높았다. 3) 변비군의 경우 기능성대장질환 (p < 0.001)과 과민성대장질환 (p < 0.001), 치질 (p < 0.01)발생률과 대변모양이 비정상적 (p < 0.05)비율이 정상배변군보다 더 높게 나타나 배변상태와 변비여부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속쓰림증과 상복부 통증증상은 정상배변군에서 변비군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p < 0.001). 4) 배변상태에 이상이 있고 변비가 있을 때 월경불편감을 느끼는 정도가 더 크게 나타났다. 5) 의류 (속옷류) 착용 시 인체에 나타나는 불편한 증상은 정상배변군보다 변비군에서 유의적으로 더 높았고, 의류착용시 편안함이 높을수록 변비 (p < 0.01), 배변장애요인수 (p < 0.01), 기능성대장질환 (p < 0.01), 과민성대장질환 (p < 0.01) 및 월경불편감 (p < 0.01)은 유의적으로 낮았다. 6) 조사대상자의 평상시 식사의 규칙성 조사결과 변비군에서 아침식사가 불규칙적인 경우는 30.3% (p < 0.05), 점심식사와 저녁식사의 불규칙적인 경우는 각각 33.3% (p < 0.05)와 30.8% (p < 0.05)로 나타나 정상배변군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규칙적인 식사를 할수록 변비증세 (p < 0.01), 배변장애요인수 (p < 0.01), 기능성대장질환 (p < 0.01), 월경불편감 (p < 0.01), 음주률 (p < 0.01) 및 외식률 (p < 0.05)이 낮았다. 7) 식품군다양성점수 (DDS)는 정상배변군에서 4.22점인 반면 변비군에서는 4.12점보다 더 높게 나타나 (p < 0.05) 변비군의 경우 식사의 다양성이 낮았다. 8) 조사대상자의 주생활 요인 인자와 변비여부와의 관련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9) 변비상태와 건강관련 항목과의 관련성을 조사결과 변비가 있을수록 배변장애요인수 (p < 0.01),기능성대장질환 (p < 0.01), 과민성대장증후군 (p < 0.01) 및 월경불편감(p < 0.01)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여대생들의 변비 증세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식생활습관의 정정과 함께 규칙적인 하루 3끼 식습관유지가 중요하고 식품 선택 시 다양하게 골고루 규칙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필요하다. 의류 착용 시 편안한 옷차림을 유지하고 속옷착용 시에도 편안하고 쾌적함을 유지를 통해 신체증후에 나타는 증상을 최소화하는 것이 변비 개선에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가임기 성인여성 변비 예방을 위한 올바른 생활습관을 유지 및 개선 할 수 있는 실생활 교육지침과 기초자료 제공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tual status of constipation. In total, 978 female students in Korea participated. We identified the relationship among constipation and life style, clothing patterns, housing patterns, dietary habits, and dietary intake in a constipation symptom group and a normal grou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로마기준진단에 의한 변비 실태를 파악하고 조사대상자의 식생활, 의생활 및 주거생활등 생활요인이 변비에 미치는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해 한국 일부 여대생 978명을 대상으로 식이섭취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신체계측 조사결과, 변비군에서 체중 (p < 0.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일부 여대생 978명 대상으로 로마진단기준에 의한 변비 실태를 조사하고, 변비증상을 가진 자와 정상배변 습관을 가진자들의 생활습관, 배변상태, 월경불편감, 의생활, 주거생활, 식습관 및 식이섭취실태 등을 조사하여 변비와 관련성을 살펴보고 이를 영양교육 자료의 기초를 삼고자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인구비례에 근거한 전국 5개지역 소재 (서울/경기, 경상, 충청, 전라, 강원지역)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여대생 978명을 대상으로 2008년 5월부터 6월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전국 규모의 일부 한국 여대생을 대상으로 로마진단법에 의한 변비유병률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고 조사대상자의 배변상태, 월경불편감, 의생활, 식생활 및 주생활 등 각 생활요인들을 조사하여 변비와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대 생의 경우 외모나 체형에 관한 관심이 높은 것의 문제점은 무엇엇인가? 대학생 시기는 비교적 시간활용이 자유롭지만 불규칙한 생 활습관으로 인하여 적절한 영양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 어 건강상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1-5) 특히, 여대 생의 경우 외모나 체형에 관한 관심이 매우 높아 체중감량의 시도, 아침결식, 잦은 외식, 인스턴트식품과 패스트푸드 등 바 람직하지 못한 식습관으로 인하여 영양불균형을 초래하기 쉽 고 정상적인 배변습관을 갖는데 어려움을 겪는 여대생들이 증가하고 있다. 변비는 흔히 볼 수 있는 위장관증세로 가볍게 여겨지나 일상생활에서 불편함을 주는 정도를 지나 정신적인 고통을 줄 뿐만 아니라 잘못된 자가진단으로 인하여 약물의 오남용으로 인한 부작용 등 심각한 결과를 초래한다.
대학생 시기에 건강상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제기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대학생 시기는 비교적 시간활용이 자유롭지만 불규칙한 생 활습관으로 인하여 적절한 영양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 어 건강상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1-5) 특히, 여대 생의 경우 외모나 체형에 관한 관심이 매우 높아 체중감량의 시도, 아침결식, 잦은 외식, 인스턴트식품과 패스트푸드 등 바 람직하지 못한 식습관으로 인하여 영양불균형을 초래하기 쉽 고 정상적인 배변습관을 갖는데 어려움을 겪는 여대생들이 증가하고 있다.
외모나 체형에 관한 관심으로 여대생이 착용하는 기능성 속옷 및 타이트한 옷차림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7) 장기간의 부적절한 식습관과 생활습관은 변비 증세를 더욱 증가시키며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3~4배 정도 높 으며2) 여대생들은 지나친 체중조절과 올바르지 못한 식습관 으로 인한 배변의 어려움을 겪는 여대생들이 많을 것으로 추 정이 된다. 또한 젊은여성들은 외형의 아름다움이나 몸매 보 정을 위해 기능성 속옷 착용과 타이트한 옷차림으로 인하여 호흡기 순환 장애, 내장기관의 이상, 발육의 저하 및 체격변형 등 많은 문제점이 유발되며 장기간 지속 시 여성질환의 원인 이 된다. 11) 변비와 관련된 여러 연구를 살펴보면 식이섬유, 유 산균 및 올리고당 섭취가 미치는 영향과 운동요법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한 변비 개선에 관한 연구12,13) 가 수행되었고 변비유 병률 조사, 생활스트레스, 생활습관 및 식사습관 요인이 변비 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에 관한 연구2,3,14-17) 가 주로 진행되어왔 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Shin AS, Roh SB. Fast food consumption patterns of college students in Busan. Korean J Food Cult 2000; 15(4): 287-293 

  2. Shin JR, Ly SY. Dietary habits and factors related to lifestyles in constipated female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3; 8 (5): 675-688 

  3. Lee JH, O JH. A study on the defecation pattern and lifestyle factors of female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Korean J Community Nutr 2005; 10(1): 36-45 

  4. Lee MS, Kwak CS. The comparison in daily intake of nutrients, quality of diets and dietary habits between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Daejeon. Korean J Community Nutr 2006; 11(1): 39-51 

  5. Ko MS. The comparison in daily intake of nutrients and dietary habits of college students in Busan. Korean J Community Nutr 2007; 12(3): 259-271 

  6. Irvine EJ, Ferrazzi S, Pare P, Thompson WG, Rance 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functional GI disorders: focus on constipation and resource utilization. Am J Gastroenterol 2002; 97(8): 1986-1993 

  7. Myung SJ, Lee TH, Huh KC, Choi SC, Sohn CI. The Korean Society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Diagnosis of constipation: a systematic review. Korean J Gastroenterol 2010; 55 (5): 316-324 

  8. Lee JS. A study on dietary habits and loosing the constipation by supplementation of Aloe juice and Yogurt in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rea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1 

  9. Jung HS, Song YM, Lee JK, Kim YW, Han SH, Kang SC, Kim YE. Lifestyle factors related to constipation in working women. J Korean Acad Fam Med 2002; 23(9): 1124-1132 

  10. Sung IK. Classification and treatment of constipation. Korean J Gastroenterol 2008; 51(1): 4-10 

  11. Choi JM.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s toward underwear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female students in Cheongju. J Korean Living Sci Assoc 2002; 11(2): 189-196 

  12. Ly SY, Shin JR, Lim SH. Effect of drinking fermented milk on the improvement of defecation on constipated female students. J Korean Living Sci Assoc 2003; 12(2): 265-273 

  13. Kim HJ, Kim SI, Han YS. Effects of sea tangle extract and sea tangle yogurt on constipation relief. Korean J Food Cookery Sci 2008; 24(1): 59-67 

  14. Chung HJ, Park HW, Choi EJ, Lee JJ. A study of the lifestyle factors related to constipation among food habits of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Gyunggi. Korean J Community Nutr 2002; 7(5): 654-663 

  15. You JS, Chin JH, Chang KJ. Prevalence of constipation, bowel habits and nutrient intakes of college students in Incheon area. Korean J Nutr 2009; 42(8): 702-713 

  16. You JS, Park JY, Chang KJ. Correlation among dietary habits score, life stress scor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L) score for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functional constipation. Korean J Nutr 2010; 43(6): 620-627 

  17. Lee CR, Kim SK. Comparison of the dietary factors between normal and constipation groups by self-reported constipation in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11; 16(1): 23-36 

  18. Kang JG, Lee CB, Park H, Park CY. Relationship between circulating obestatin levels and obesity index in obese patients. Korean J Obes 2009; 18(1): 8-14 

  19. Thompson WG, Longstreth GF, Drossman DA, Heaton KW, Irvine EJ, Muller-Lissner SA. Functional bowel disorders and functional abdominal pain. Gut 1999; 45 Suppl 2: II43-II47 

  20. Choi MG. Evidence based guideline for diagnosis and treatment: diagnostic guideline for constipation. Korean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5; 11(3): 44-50 

  21. Drossman DA. The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and the Rome III process. Gastroenterology 2006; 130(5): 1377-1390 

  22. Park JH, Byeon JS, Shin WG, Yoon YH, Cheon JH, Lee KJ, Park H. The Korean Society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Diagnosis of irritable bowel syndrome: a systematic review. Korean J Gastroenterol 2010; 55(5): 308-315 

  23.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Look at the health aspect seems to excrement. J Korean Assoc Health Promot 2004; 28(2): 6-9 

  24. Hong KJ, Kim HW, Ahn HY. Menstrual discomfort and dietary habits in adolescents. Korean J Child Health Nurs 2005; 11(3): 330-339 

  25. Moos RH. Psychological aspects of oral contraceptives. Arch Gen Psychiatry 1968; 19(1): 87-94 

  26. Byeon YS. The dietary habits and elimination of university woman. Nurs Sci 2002; 14(1): 18-25 

  27. Kant AK, Schatzkin A, Block G, Ziegler RG, Nestle M. Food group intake patterns and associated nutrient profiles of the US population. J Am Diet Assoc 1991; 91(12): 1532-1537 

  28. Kim YW, Lee MJ. The survey on the actual status of wearing collegiate woman's underwear. J Living Sci 1999; 5: 113-119 

  29. Choi EY, Jeon GR. A study on the ornaments wear of adolescentsfocusing on the life style and clothing behavior. J Korean Living Sci Assoc 2000; 9(1): 137-152 

  30. Shin JY, Oh KW. A study on the education & wearing behaviors about foundation for middle and high school girls. J Korean Soc Clothing Text 2008; 32(4): 517-529 

  31. Cho ME, Yoon BC.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apartment housing according to x-generations life style type. J Korean Hous Assoc 2000; 11(1): 79-87 

  32. Kwark KS, Kim JH. A study on the relation to life style and housing satisfaction of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Hum Ecol 2003; 6(2): 13-25 

  33. Pecora P, Suraci C, Antonelli M, De Maria S, Marrocco W. Constipation and obesity: a statistical analysis. Boll Soc Ital Biol Sper 1981; 57(23): 2384-2388 

  34. Teitelbaum JE, Sinha P, Micale M, Yeung S, Jaeger J. Obesity is related to multiple functional abdominal diseases. J Pediatr 2009; 154(3): 444-446 

  35. Bae YJ, Lee JC, Kim MH. Nutritional status and dietary quality of college students by residing types in Samcheok. J Korean Diet Assoc 2007; 13(4): 311-330 

  36. Okubo H, Sasaki S, Murakami K, Kim MK, Takahashi Y, Hosoi Y, Itabashi M; Freshmen in Dietetic Courses Study II Group. Dietary patterns associated with functional constipation among Japanese women aged 18 to 20 years: a cross-sectional study. J Nutr Sci Vitaminol (Tokyo) 2007; 53(3): 232-238 

  37. Lee KA, Kim HJ, Yoon HS. Constipation prevalence and lifestyle factors affecting constip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in Gimhae area. J Korean Diet Assoc 2009; 15(4): 419-432 

  38. Byun ES. Premenstrual syndrome and gender role characteristics in high school girls [Master's thesis]. Bucheon: The Chatholic University of Korea; 1999 

  39. Lee SJ, Kanis JA. An association between osteoporosis and premenstrual symptoms and postmenopausal symptoms. Bone Miner 1994; 24(2): 127-134 

  40. Diegoli MS, da Fonseca AM, Diegoli CA, Pinotti JA. A doubleblind trial of four medications to treat severe premenstrual syndrome. Int J Gynaecol Obstet 1998; 62(1): 63-67 

  41. Lim H, Park Y. Differences in dietary intake and life-style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with and without premenstrual syndrome. J Korean Soc Menopause 2010; 16(3): 153-161 

  42. Cho HK, Kim MH. Dietary behavior and nutrient intake in university female students according to taste preference. J Korean Diet Assoc 2010; 16(2): 100-115 

  43. Jeong BS, Lee JH, Chang N, Kang BM, Joe SH, Kim CY, Han OS. Treatment-seeking behaviors among Korean university women with premenstrual symptoms. Korean J Psychopharmacol 2001; 12(3): 201-210 

  44. Koh AR, Lee SG. Formation models of body image, self-esteem, and clothing attitudes as related to pubertal physical growth. J Korean Home Econ Assoc 2004; 42(11): 189-203 

  45. Na Y, Lee J. Physiological responses and subjective sensation of human body wearing OnMapsi in heating environment. J Korean Soc Clothing Text 2011; 35(1): 1-12 

  46. Bae NR, Jeong YS, Kang JS, Lee SE. Changes of indoor temperature and clothing in residential buildings: a literature review. J Architect Inst Korea 2007; 27(1): 785-78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