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차세대 미디어 환경에서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방송서비스 미래 전개방향 원문보기

방송공학회지 = Korea society broadcast engineers magazine, v.16 no.3, 2011년, pp.90 - 96  

권오상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KCA) 방송통신연구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고는 최근 각광받고 있는 증강현실 기술이 차세대 미디어로 발전하고 있는 방송서비스 중 어느 분야에서 최적화 서비스되어 질 수 있을까 에 대한 물음에서 출발하고 있다. 증강현실이 미래 방송을 위한 killer contents와 killer application으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스마트TV나 차세대 DMB와 같이 양방향이거나 이동성을 갖추는 등 기반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위치기반으로 현재 real 스크린 화면에 상대방을 증강현실로 덧씌워 networking하는 것을 의미하며, Social TV로서의 역할에 증강현실기술을 접목하는 것이다. PC 이후의 post PC가 컴퓨터와 휴대폰이 결합한 스마트폰이라면, post 스마트폰은 스마트TV 혹은 인텔리전스TV로 naming될 수 있는 Social TV로 발전되지 않을까 전망해 보면서 본 고를 마치고자 한다.
  • 본 고는 최근 각광받고 있는 증강현실 기술이 과연 어떠한 모습으로 방송서비스에 적용되어 서비스되어 질 수 있을까에 대한 물음에서 출발하였다. 따라서, 현재는 어떠한 것들이 증강현실로서 방송서비스로 응용되는 것들이 있을까를 파악하는 것이 우선일 것이다.
  • 이에 본 논문에서는 그 이유는 무엇일까? 왜 스마트폰에 비하여 방송에서는 증강현실을 응용한 서비스가 다양하지 않을까? 어떤 종류의 방송서비스가 증강현실과 어울릴까? 등의 여러 가지 이슈를 던져주고자 한다. 이들 물음에 답하기 위해서는 우선 증강현실이란 무엇이며, 어떠한 기본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것이 과연 우리가 기본적으로 생각하는 방송서비스와 잘 어울릴 수 있는가를 먼저 파악해야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증강현실 기술 발전에 여건이 된 것은? 증강현실 기술은 2000년대 중반까지 연구 개발 및 시험 적용 단계에 머물러 있다 최근 기술적 환경이 뒷받침 되면서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실용화 되고 있다. 컴퓨터와 카메라의 결합. 빠른 속도의 광대역 무선통신을 지원하는 휴대용 단말, 그리고 GPS 기능을 갖춘 스마트폰이 등장하면서 여건이 조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으로 주변 환경을 비추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알려주는 I need coffee, Daum Maps, Scan Search, Layer 등 모바일용 증강현실 프로그램이 2008년 이후 잇따라 등장하고 있는 것이다.
증강현실은 어떤 기술인가? Paul Milgram(1994)은 증강현실을 실제와 가상현실의 혼합이라고 정의하였다3). 증강현실은 실제와 가상 사이의 영역인 혼합현실4)의 한 종류로써 현실의 정보에 가상의 정보를 추가하여 “증강”시키는 기술을 의미한다. 증강현실의 본질은 이용자 주변의 상황을 컴퓨터가 인지하여 최적의 정보를 제공하는 Context Aware Computing 실현을 위한 하나의 인터페이스이기도 하다5).
SNS란? 증강현실의 차세대 방송서비스에서의 응용은 Social Network Service와 접목하는 것으로 나타날 것이다. SNS(Social Network Service)는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고 정보공유, 인맥관리, 자기표현 등을 통해 타인과의 관계를 관리하는 서비스이다. 최근 SNS 이용자 수가 증가하면서 광고, 마케팅 등 중요한 비즈니스 시장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특히 사용자간 끈끈한 연대라는 측면에서 온라인 광고계에 블루칩으로 등장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권오상, 문준서, 증강현실을 이용한 방송서비스의 미래전개 방향, 2010 한국방송공학회 춘계 워크샵 발표자료 

  2. 방송통신 메가트렌드,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방송통신연구부 내부 자료 

  3. Seri 경영노트, "증강현실이 가져올 미래변화", 2010 

  4. Milgram, P., et al. (1994) "Augmented reality: A Class of displays on the reality-virtuality continum," Telemanipulator and Telepresence, 2351, 282-292 

  5. Ronald Azuma,(1997) "A Survey of Augmented Reality Presence: Teleoperators and Virtual Environments" 

  6. 방준성, 최은주, "증강현실 국내외 기술동향과 발전전망," KISTI, 2008 

  7. 방송법, 인터넷멀티미디어방송사업법 

  8. Gartner, Economist 등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