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1 no.3, 2011년, pp.703 - 718
Team-Based Learning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gifted education, because that improve decision making, coordination and problem-solving ability through shapely team activity. So, when a program that founded on Team-Based Learning applied to gifted students, investigated the improved effects of c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팀기반학습은 무엇을 위해 개발되었는가? | 팀기반학습은 팀구성원이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협력을 바탕으로 자신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팀을 계발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또한 팀기반학습은 팀의 특성을 학습과 연관시키고 구조화된 설계와 팀구성원의 상호협력을 통해 최상의 성과물을 만들어내는 교수·학습전략이다. | |
팀기반학습의 이점은 무엇인가? | 또한 팀기반학습은 팀의 특성을 학습과 연관시키고 구조화된 설계와 팀구성원의 상호협력을 통해 최상의 성과물을 만들어내는 교수·학습전략이다. 이러한 팀기반학습의 이점으로 학습자간의 상호의존성 강화, 리더십의 분산, 비판적 의사결정과정 체험, 문제해결 능력의 강화를 들 수 있다(Michaelsen, 2004). 팀기반학습은 학습활동의 특별한 결합과 순서로 구성되어 있는 교수 전략으로, 전체 교육과정을 주요 주제에 맞추어 4∼7개의 단위로 나누어 재구조화하고 각각의 주제단위의 범위 안에서 <표 1>과 같이 준비, 개념적용 및 문제해결, 정리의 3단계 순서로 진행된다(Michaelsen, 2009). | |
팀기반학습에서는 시기별로 팀의 구성을 변경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 팀기반학습에서는 시기별로 팀의 구성을 변경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팀 내의 구성원들을 파악하고 구성원들이 능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한 학기 정도의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팀기반학습에서는 팀을 구성할 때 가능한 이질 집단으로 5∼7명을 권장한다. |
교육인적자원부 (2007). 과학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 2007-79호 〔별책 9〕. 서울: 대한교과서(주).
김미숙 (2005). 중학생 영재와 일반학생의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교육심리연구, 19(2), 477-504.
김민주 (2010). 팀 기반 학습이 사회과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 교과 흥미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4학년 사회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박은숙 (2010). 팀 커뮤니케이션 향상을 위한 팀기반학습의 대학수업에서의 적용. 기독교교육정보, 27, 171-199.
설단희 (2010). 수학영재의 자기보고식 행동특성검사 점수와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신재필 (2003). STAD 협동학습이 과학 학습태도와 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심미자 (2009). 팀기반학습 전략. 공학교육연구, 16(3), 57-60.
이수진, 배진호, 김은진 (2007). 초등 과학 영재와 일반 아동의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사고 유형 및 특성. 초등과학교육, 25(5), 567-581.
이유미 (2008). 학습양식에 따른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성취목표지향성 및 창의적문제해결력의 차이 비교.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조형정, 이영민 (2008). 학습과정과 성과개선을 위한 팀 기반 학습의 개념적 탐색. 교육종합연구, 6(2), 27-42.
정은영 (2008). Squeak Etoys 기반정보교육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정한호 (2011). 대학수준 팀 기반 학습에서 공유정신모형의 선행변인과 팀 성과. 교육공학연구, 27(1), 37-73.
포항공대신문 2004. 11. 24일자 특집기사: 거대학과학의 과학사적 의미.
한국교육개발원 (2003). 수탁연구 RM 2004-4 교육청영재 심화 교수-학습 자료.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Fink, L. D. (2004). Beyond small groups: Harnessing the extraordinary power of learning teams. In L. K. Michaelsen, A. B. Knight, & L. D. Fink (Eds.), Team-based learning: A transformative use of small groups in college teaching (pp. 3-26). Sterling, VA: Stylus Publishing, LLC.
Kurtzberg, T. R. (2005). Feeling creative, being creative: An empirical study of diversity and creativity in teams.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3, 285-294.
Michaelsen, L. K. (2004). Team-Based Learning in large classes. In L. K. Michaelsen, A. ht Knight, & L. D. Fink (Eds.), Team-based learning: A transformative use of small groups in college teaching (pp. 153-168). Sterling, VA: Stylus.
Michaelsen, L. K., Knight, A. B., & Fink, L. D. (2009). 팀기반학습 [이영민, 전도근 역]. 서울: 학지사. (원본출간년도: 2004).
Paulus, P. B. (2000). Groups, teams, and creativity: The creative potential of idea-generating groups.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49(2), 237-262.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