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면의 과학>에 나타난 시뮬라시옹 표현기법 연구
Simulacra Theory as a Conceptu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Expression and Technology in 원문보기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no.24, 2011년, pp.135 - 154  

방윤경 (남서울대학교 애니메이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대상을 존재하는 것처럼 만들어놓은 인공물을 지칭하는 말인 시뮬라크르(Simulacra)는 본질의 원 실체를 가정하지 않고, 스스로 이미지를 창출하고 본질의 역할을 자청하는 독자적인 또 하나의 세계를 지칭하는 말이다. 많은 영화들이 무의식의 세계와 꿈을 넘어 시뮬라크르를 표현하는데 있어서 3D 애니메이션(3D Animation)을 포함한 CG(Computer Graphics)를 적극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CG를 최소화한 아날로그적 표현기법을 통해 신세계를 이미지화 하고, 영상화 하는데 초석 같은 역할을 하고 있는 영상의 마술사라 불리는 미셸 공드리(Michel Gondry)의 작품 <수면의 과학>의 표현 기법을 분석함으로서, 카메라 기법, 왜곡과 과장, 스톱 모션 등 다양한 아날로그적인 기법들이 뮤직비디오, 영화, 애니메이션 등에서 새로운 표현 영역을 넓히고, 창조의 효율을 극대화 시켜줌으로서 영상의 미학적 발전에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본질보다 기호가 더 중요시 되는 현실에서 시뮬라크르를 재현하거나 창조하고 있는 수많은 영화 및 다양한 영상 매체에서 그의 다양한 아날로그적 시도가 더욱더 새로운 기법을 탄생시킬 것 을 기대해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mulacra theory as propounded by Jean Baudrillard in his seminal treatise, "Simulacra and Simulation," explores the significance of images, media and art in contemporary culture. Its central theoretical premise is the simulacrum, a sign or symbol that plays a crucial role in constructing perceiv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0) 이러한 의미에서 은 어떠한 방법으로 이미지가 실체를 가정하지 않고, 스스로 실체인 이미지를 만듦으로서 새로운 세계를 창조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스테판 TV’의 스튜디오가 상상과 현실을 잇는 통로이듯이, 공작은 상상에서 현실로 나가고, 현실에서 상상으로 들어가는 아이들의 인터페이스다.41) 미셸 공드리는 어떠한 초현실적인 묘사로 시뮬라크르를 영상화 했는지 그 표현기법에 대해서 분석 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뮬라크르란 무엇인가? 시뮬라크르(Simulacra)는 흉내 낼 대상이 없는 이미지이며, 이 원본 없는 이미지가 그 자체로서 현실을 대체하고, 현실은 이 이미지에 의해서 지배받게 되므로 오히려 현실보다 더 현실적인 것이다.28)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것을 존재하는 것처럼 만들어 놓은 인공물들을 지칭하는 ‘시뮬라크르(동사형:시뮬라시옹)’는 독자적인 하나의 현실을 지칭하는 말로 이 상황이 역전된 현상을 이르는 말이다.
무의식 세계에는 두개의 축 전이와 집중에 의해 의식세계로 표출되는데 이 때 집중은 무엇인가? 그러므로 전이는 원래의 충동과 그 이미지화라는 이원적 재현 시스템을 따른다. 반면에 집중은, 무의식적 충동은 무수히 많고 그들을 담을 기호 즉 꿈의 이미지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이미지나 기호에 수많은 무의식적 충동이 응축되는 현상이다.48) 미셸 공드리는 이러한 무의식적 충동을 이미지 화 하기 위해 사물을 과장되고 왜곡된 형태로 등장시킨다.
프랑스 철학가 장 보드리야르가 주장하는 시뮬라크르는 무엇이며 그가 주장하는것은 무엇인가? 포스트모던 사회의 핵심을 꿰뚫음으로서, 특히 문화예술계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 프랑스 철학가 장 보드리야르(Jean Baudri-llard)는 모든 실재의 인위적인 대체물을 '시뮬라크르'(Simulacra)라고 부르며, “현대는 시뮬라크르들이 실재를 지배하고 대체하는 곳이라고 주장한다. 재현과 실재의 관계는 역전되며 더 이상 흉내 낼 대상, 원본이 없어진 시뮬라크르들이 더욱 실재 같은 극 실재를 생산해낸다” 라고 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