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뮬라크르의 전형(典型)으로서 매트릭스(Matrix)의 가상 세계
The Cyber world of the Matrix as a typical type of 'Simulacre' 원문보기

디자인學硏究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v.17 no.1, 2004년, pp.339 - 346  

이종한 (호서대학교 디지털문화예술학부 애니메이션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가상현실을 비교적 치밀하게 다룬 워쇼스키 형제 감독의 영화 ‘매트릭스(Matrix)'는 영화 개봉 이후 많은 매니아 층을 확보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문화 상품으로 차용되었다. 여타의 영화나 방송 프로그램에서 패러디됨은 물론이고 영화 속에 차용된 의상이나 소품 등은 문화의 트렌디로 상품화되었다. 이런 인기의 원인은 영화의 세련된 영상미와 주인공들의 매력적인 외모 덕도 있었겠지만, 무엇보다도 영화 내용의 신선함이 많은 반향을 일으켰기 때문이다. 주인공이 실재라고 믿어 왔던 세계가 진실이 아니라는 데서 오는 혼동, 그리고 그 진실을 파헤치고 다른 이들을 허상의 세계에서 구원하려는 자유에의 의지, 육체의 감각이 받아들이는 진실과 마음(정신)의 진실들 사이에서 갈등하는 주인공의 모습은 이데아를 갈망하며 살아가는 영화 밖 사람들의 이야기와 맞물려 있다. 결국 실재에 대한 확신이 없어지고 현실과 비현실의 차이가 무의미해진 첨단 기술의 시대의 위조된 이미지의 전복이 일어나는 상황을 제시하면서 많은 이들에게 공감을 얻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것을 쟝 보드리야르가 강조하는 ‘파생실재, 과도실재(hypereel)’와 연관시켜 실재의 이미지가 그 이상으로 과도하게 복사되어 소비되는 현실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매트릭스의 세계에서는 현실의 대상이 기술적인 프로그래밍으로 대체되면서 본질이 이미지에게 살해당하는 이미지 폭력이 일어나고 있다. 현실보다 더 현실적인 재현, 원본 보다 더 원본의 행세를 하는 세계에서는 오로지 기호만 소비되고 생산된다. 즉, 모든 것이 완벽하게 프로그래밍 되고 조작되는 이미지들은 지시 대상, 즉 목적이 없기 때문에 조작된 위기와 같은 저지 전략으로 생산된다. 그것이 실재를 인위적으로 부활시키는 시뮬라시옹의 단계인 것이다. 본 연구는 매트릭스의 가상 세계에 대한 분석을 통해 현실과 위조된 모사 사이의 경계가 흐려지거나 사라진 현재의 포스트모던적 상황을 보드리야르의 시뮬라크르 이론에 기반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trix, produced by Larry & Andy Wachowski, was relatively precisely dealt with the cyber world. After the movie was released, it had a mania for the movie and was adopted into a various forms of cultural products. It was remade not only into the parodies of the other movies and TV programs, but al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전 까지 기표에 대해 기의는 항상 절대적 우위를 차지하고, 기의는 신적인 면을 향해 존재했었다. 그것이 전복되어 기호가 지시믈의 권한을 갈취하여, 혹은 완전하게 대체하여 스스로 지시믈적인 위치에 오롱을 주목하고자 한다.
  • 영화 매트릭스는 너무나 방대한 양의 철학 이른과 맞믈려 있어 어느 점에 중점을 두느냐에 따라 다양한 철학적 해석 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보드리야르의 시믈라시옹 이른 에 입각하여 논의를 시작하려 했다. 매트릭스의 영화가 동장 하게 된 것과 그 대중적 인기는 아마 현실의 삶과 무관하지 않으리라 본다.
  • 본인이 선택한 시믈라시옹은 이미지가 과잉으로 소비되는 현재 가장 많이 논의되고 있는 이른으로 플라톤적인 절대적인 실재가 지상의 허무적인 그림자와의 힘 겨루기에서 전복되는 지점에서 논의를 시작해 보았다. 이전 까지 기표에 대해 기의는 항상 절대적 우위를 차지하고, 기의는 신적인 면을 향해 존재했었다.
  • 매트릭스의 영화가 동장 하게 된 것과 그 대중적 인기는 아마 현실의 삶과 무관하지 않으리라 본다. 이런 이유에서 본 연구는 기존의 형이상학적 이상향에 중점을 둔 데카르트적 사상들의 위치 변화하는 현 상황을 매트릭스의 가상 세계, 즉, 진짜가 아니라고 간과했던 서〕계, 타자에 대한 의미 부여에 일조하는데 그 목적 이 있다.
  • 있다. 이에 시각 예술이 단순히 보기 좋은 외양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철학적 내용을 적절히 순화시켜 보다 진보적 이고 새로운 문화 담론을 펼칠 수 있는 풍토를 이루는데 본 논문이 일조했으면 하는 바이다.

가설 설정

  • 이 대립의 축 중 후자는 원칙적으로 본질적인 전자로부터 유래한 변형믈이거나 반영믈에 불과하다. 1) 여기서 본질적인 것으로부터 이미지라는 추상믈을뽑아내는 작업이 추상 작업이다. 이것은 현실의 이미지가 아니라 어디까지나 원본이 있는 실체의 그림자로 모든 기호와 예술 활동은 일종의 추상 작업이라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