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 사진 이미지의 존재론에 관한 연구 -들뢰즈와 보드리야르의 시뮬라크르 개념을 중심으로
A Study on Ontology of Digital Photo Image Focused on a Simulacre Concept of Deleuze & Baudrillard 원문보기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no.51, 2018년, pp.391 - 411  

권오상 (청주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질 들뢰즈와 장 보드리야르시뮬라크르 개념을 바탕으로 디지털 사진 이미지의 존재론에 관해 살펴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통적으로 아날로그 사진 이미지는 원본 대상과의 유사성으로 재현의 논리를 따른다. 따라서 아날로그 사진 이미지의 시각적 현실은 주관적 시각에서 조명되고 해석되며 묘사될 수 있지만 해석된 그 현실을 벗어나지는 못한다. 그러나 디지털 사진 이미지는 물질적으로는 존재하지 않고 디지털 알고리즘인 수학적 데이터로 구성된 정보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디지털 사진 이미지는 모든 재현에 나타나는 현재성인, 즉 '한때 거기 존재했었음'이라는 피사체의 본질이 이제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외부의 대상을 지시하거나 재현하지 않는다. 따라서 디지털 이미지는 유사성이 존재하지 않고 더 이상 지표적 지시 능력을 지니지 않는다. 이러한 디지털 사진 이미지는 가상의 영역으로 전환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이미 존재하는 것의 재현이 아닌, 아직 존재하지 않는 것의 현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사진 이미지의 비실재성은 현실과 실재 그리고 가상에 대한 이해를 변화시킨다. 이제는 무엇이 실재이고 가상인지 구분하는 것 자체가 무의미하게 되고, 이는 기술의 발달로 디지털 이미지가 발생한 것이 아닌, 기존의 이미지와는 근본적으로 완전히 다른 새로운 이미지라는 것이다. 결국, 오늘날의 디지털 이미지는 존재했으니 대상을 가시화하는 단계를 넘어, 이제는 존재하지 않았던 것들이 가시화되고 있으며, 현실도 가상으로 작동한다는 것이다. 이는 디지털 이미지가 우리 현실을 재현한 것이 아니라 다른 현실을 사실적으로 재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대상과 아무런 관련이 없는 이미지 생성을 하는 가상적 재현, 즉 시뮬라크르라 할 수 있다. 가상으로서의 시뮬레이션 된 세계에서 현실은 무한한 가능성을 가질 수 있고 그것은 과거나 현재의 모습이 아닌 고정되지 않고 무한히 변화할 수 있는 아직 현실화되지 않은 무한한 잠재태로서의 가능성을 가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ontology of digital photo image based on a Simulacre concept of Gilles Deleuze & Jean Baudrillard. Traditionally, analog image follows the logic of reproduction with a similarity with original target. Therefore, visual reality of analog image is illumina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시뮬라크르는 이러한 이데아를 두 번 복사한 것, 즉 복사물의 복사물로서 안정적인 로고스의 세계인 이데아를 혼란에 빠트리는 존재이다. 5) 따라서 플라톤의 관점에서 시뮬라크르는 나쁜 복사물이므로 억압해야 하는 존재인데, 들뢰즈는 이러한 시뮬라크르들이 가지고 있는 의미를 사유하고자 한다. 들뢰즈에 의해 영원한 것을 찾으려는 열망으로부터 시작된 서구 사유가 사유의 구석으로 밀쳐놓은 시뮬라크르를 사유하고자 하게 된다.
  • 5) 따라서 플라톤의 관점에서 시뮬라크르는 나쁜 복사물이므로 억압해야 하는 존재인데, 들뢰즈는 이러한 시뮬라크르들이 가지고 있는 의미를 사유하고자 한다. 들뢰즈에 의해 영원한 것을 찾으려는 열망으로부터 시작된 서구 사유가 사유의 구석으로 밀쳐놓은 시뮬라크르를 사유하고자 하게 된다. 6)
  •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현상들에 대해 질 들뢰즈(Gilles Deleuze, 1925~1995)와 장 보드리야르(Jean Baudrillard)의 ‘시뮬라크르(simulacre)’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플라톤에게 있어서 좋은 복사물이란 이데아에 대한 내적인 ‘유사’를 가지고 있는 존재들이지만, 시뮬라크르는 ‘상사’에 기반을 두는 존재들이기 때문에, 플라톤의 변증법적 방법은 그 둘을 구분하고 올바른 혈통을 지닌 복사물들을 선별함으로써 시뮬라르크들을 배제하는데 목적이 있다.

가설 설정

  • 1990년대 들어오면서 디지털 기술은 사진에 대한 접근과 조작을 일반 대중으로 확산시켜 사진은 이전의 의미인 사실적 기록과 멀어졌다. 10) 디지털 사진은 이전의 사진과는 달리 모델인 피사체를 요구하지 않는다. 디지털 사진이 만들어낸 이미지가 모델에 의한 것이라면, 모델은 현실에 존재하는 사물이나 대상을 모방할 수도 있고 안 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 이러한 점에서 우리가 경험하는 현실에서는 경험할 수 없는 시점과 이미지의 실현이 가능해지고, 더 나아가 현실보다 더 현실적인 시뮬레이션을 만들어낼 수도 있다. 20) 이는 현재화되지 않는 잠재태로서 존재한다는 것이다.
  • 즉 아날로그 사진이 포착하는 것은 언제나 과거의 찰나의 순간으로서, 시간이 사진 속에 담길 때, 그것은 언제나 이미 지나간 과거로서 현재의 흔적이다. 22) 사진에는 항상 사진이 찍힌 과거의 시간과 관람자가 사진을 감상하는 현재의 시간이 공존한다. 이는 시간의 가장 큰 특징으로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는 결코 동시에 존재할 수 없지만, 흔적으로서의 사진은 과거를 보여줌으로써 과거와 현재를 교차시킴과 동시에 동시적인 것으로 만든다는 것을 보여준다.
  • 즉 실시간으로도 이미지의 신빙성을 보장받는다. 26) 촬영의 시간과 재현의 시간은 일치하므로, 텔레비 전은 현재를 그대로 포착하는 것이고, 시청자는 실시간으로 직접 실재와 접촉하고 있다는 느낌을 갖는다. 따라서 텔레비전은 사진과 영화의 경우에 시간적 거리로서 확인할 수 있는 재현을 넘어서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보 이론적 측면에서 전통적인 아날로그 이미지와 디지털 이미지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정보 이론적 측면에서 전통적인 아날로그 이미지와 디지털 이미지의 차이점은 그 이미지들의 시간성이 기준이 될 수 있다. 21) 전통적으로 아날로그 이미지는 관습적인 이미지 생산 코드가 개입되어 있지 않다.
컴퓨터의 등장은 예술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가? 더욱이 컴퓨터의 발전은 인간의 사유방 식과 이미지 생성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고, 예술 또한 디지털 매체에 감각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컴퓨터의 등장은 단순히 표현수단의 변화만 가져온 것이 아니라 예술작품 자체의 성격과 특성, 생산방식과 수용방식에 있어 근본적인 변화를 초래하였 다. 그리고 이는 예술작품의 존재론적 위상을 흔들어 버렸다.
컴퓨터의 등장은 무엇을 흔들었는가? 이러한 컴퓨터의 등장은 단순히 표현수단의 변화만 가져온 것이 아니라 예술작품 자체의 성격과 특성, 생산방식과 수용방식에 있어 근본적인 변화를 초래하였 다. 그리고 이는 예술작품의 존재론적 위상을 흔들어 버렸다. 1) 따라서 이러한 기술혁명이 우리의 삶과 소통, 지식과 학문의 배경을 바꾸었기 때문에 예술과 인간과 사회를 재정립해야 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김상환, 해체론 시대의 철학, 문학과 지성사, 1996. 

  2. 김성재 외, 매체미학, 나남출판, 1998. 

  3. 김원방, 몸이 기계를 말하다, 예경, 2014. 

  4. 박명진, 이미지 문화와 시대 쟁점, 문학과 지성사, 2013. 

  5. 박성수, 디지털 영화의 미학, 문화과학사, 2001. 

  6. 박영욱, 보고 듣고 만지는 현대사상, 바다출판사, 2015. 

  7. 박영욱, 매체, 매체예술 그리고 철학, 향연, 2009. 

  8. 심혜련, 사이버 스페이스 시대의 미학, 살림, 2011. 

  9. 심혜련, 20세기의 매체철학, 그린비, 2013. 

  10. 이정우, 시뮬라르크의 시대, 거름, 2002. 

  11. 이진우, 테크노 인문학, 책세상, 2013. 

  12. 전혜숙, 20세기 말의 미술, 북코리아, 2013. 

  13. 진경아, 매체 미학과 영상 이미지,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4. 진중권, 이미지 인문학 1, 천년의 사상, 2014. 

  15. 레프 마노비치, 서정신 역, 뉴미디어의 언어, 생각의 나무, 2004. 

  16. 로널드 보그, 이정우 역, 들뢰즈와 가타리, 새길신서, 1995. 

  17. 롤랑 바르트, 김웅권 역, 밝은방, 동문선, 2006, 

  18. 윌리엄 미첼, 김은조 역, 디지털 이미지론, 아이비스 출판부, 1997. 

  19. 장 보드리야르, 하대완 역, 시뮬라시옹, 민음사, 1995, 

  20. 질 들뢰즈, 이정우 역, 의미의 논리, 민음사, 1998. 

  21. 크리스티앙 메츠, 이수진 역, 상상적 기표, 문학과지성사, 200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