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아에서의 성장 예측: 골종양의 치료와 관련된 소아 하지 부동
Growth Expectation in Children: Leg Length Discrepancy Related with Bone Tumor in Children 원문보기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Korean Bone and Joint Tumor Society, v.17 no.1, 2011년, pp.1 - 10  

정성택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정광철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박형원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악성 골종양의 치료의 주된 목적은 장기 생존기간을 연장 및 삶의 질적 개선이나, 소아의 경우 골격 성장이 지속되어 종양 치료 후 성장 완료 시 나타나는 하지 부동(leg length discrepancy)이 치료에 있어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이다. 성장기 소아의 하지 부동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먼저 소아의 정상적인 성장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며, 성장 과정에서의 하지 부동의 정도를 예측하는 것은 이에 대한 수술적 치료의 시기 및 방법의 선택에 있어 필수적이다. 또한 이러한 성장 예측 방법들을 적절히 사용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추시 관찰이 필수적이므로 환아의 부모와의 긴밀한 협조 또한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in goals of treatment of malignant bone tumor are the prolongation of life survival and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In growing children, however, leg length discrepancy (LLD) is one of major problem in the treatment of malignant bone tumors. Therefore, the precise understanding of gro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대상 데이터

  • Case 2. 6세 여아로, 2년 전 우측 대퇴골 원위부 성장판 손상으로 인해 발생한 하지 부동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정상 측 대퇴골의 길이는 28 cm, 환측 대퇴골 길이는 26 cm로 현재 2 cm의 하지 부동 보이고 있다.
  • Case 1. 7년 6개월 여아로 우측 근위 대퇴골에 발생한 골육종에 대해 광범위 절제술 및 종양 대치물(tumor prosthesis)을 이용한 재건술을 시행받았으며, 당시 정상 측 대퇴골의 길이는 33.5 cm였다(Fig. 8).
  • Case 3. 8세 남아로 원위 대퇴골에 발생한 골육종에 대해 광범위 절제 및 동종골을 이용한 재건술을 시행하였다(Fig. 11). 당시 반대측의 정상 대퇴골의 길이는 35 cm이었으며, 8세 남아의 Multiplier 값은 1.
  • 6세 여아로, 2년 전 우측 대퇴골 원위부 성장판 손상으로 인해 발생한 하지 부동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정상 측 대퇴골의 길이는 28 cm, 환측 대퇴골 길이는 26 cm로 현재 2 cm의 하지 부동 보이고 있다. 1년 전 정상측 대퇴골의 길이는 26 cm, 환측의 대퇴골 길이는 25 cm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태아기의 성장에 따른 신체적 변화의 특징은? 소아의 성장은 이미 태생 이전에 시작이 되며, 연령에 따른 성장의 양상은 그 특징에 따라 태아기, 5세 이전, 5세 이후, 사춘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Table 1). 태아기의 성장은 첫 6개월간에 길이 성장이 주로 일어나게 되어 이 시기에 출생 시 신장의 70%에 해당하는 신장을 보이며, 체중 증가는 마지막 3개월간 가장 활발히 일어나게 된다. 태생 이후의 성장은 그 시기에 따라 하지의 성장과 앉은 키의 성장의 비율에 차이를 보이며 태생 후 5세까지는 이 두 성장이 같은 비율로 성장하나 5세 이후 사춘기까지 전체 성장의 2/3가 하지의 성장이 차지하고 사춘기가 되면서 반대로 앉은 키의 성장이 전체 성장의 2/3를 차지하게 된다.
Arithmetic 방법은 어떤 전제 조건을 바탕으로 시행되나? 이 방법은 Menelaus와 Westh16,17)에 의해 소개된 방법으로 주로 하지 부동의 치료를 위한 골단판 유합술의 시기를 결정하기 위해 고안되었으며, 몇 가지 전제 조건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첫째, 여아는 역 연령 14세, 남아는 16세에 성장이 멈춘다. 둘째, 근위 대퇴골의 성장판은 1년에 4 mm씩, 원위 대퇴골의 성장판은 1년에 10 mm씩, 근위 경골의 성장판은 1년에 6 mm씩, 원위 경골의 성장판은 1년에 5 mm씩 성장한다. 그러나, 이러한 전제 조건은 성장이 끝나가는 소아에서는 비교적 정확하나 좀 더 어린 소아에서는 부정확하며, 역 연령을 이용한다는 점에서도 문제가 있다.
연령에 따른 성장의 양상은 어떻게 나뉘나? 소아의 정상적인 성장에 대한 이해는 하지 부동의 치료에 있어 필수적인 과정이다. 소아의 성장은 이미 태생 이전에 시작이 되며, 연령에 따른 성장의 양상은 그 특징에 따라 태아기, 5세 이전, 5세 이후, 사춘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Table 1). 태아기의 성장은 첫 6개월간에 길이 성장이 주로 일어나게 되어 이 시기에 출생 시 신장의 70%에 해당하는 신장을 보이며, 체중 증가는 마지막 3개월간 가장 활발히 일어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Liu XC, Fabry G, Molenaers G, Lammens J, Moens P. Kinematic and kinetic asymmetry in patients with leg-length discrepancy. J Pediatr Orthop. 1998;18:187-189. 

  2. Gofton JP, Trueman GE. Studies in osteoarthritis of the hip. II. Osteoarthritis of the hip and leg-length disparity. Can Med Assoc J. 1971;104:791-799. 

  3. Kujala UM, Friberg O, Aalto T, Kvist M, Osterman K. Lower limb asymmetry and patellofemoral joint incongruence in the etiology of knee exertion injuries in athletes. Int J Sports Med. 1987;8:214-220. 

  4. Giles LG, Taylor JR. The effect of postural scoliosis on lumbar apophyseal joints. Scand J Rheumatol. 1984;13:209-220. 

  5. Dimeglio A. Growth in pediatric orthopaedics. J Pediatr Orthop. 2001;21:549-555. 

  6. Tanner JM, Davies PS. Clinical longitudinal standards for height and height velocity for North American children. J Pediatr Orthop. 1985;107:317-329. 

  7. Tanner JM, Whitehouse RH. Clinical longitudinal standards for height, weight, height velocity, weight velocity, and stages of puberty. Arch Dis Child. 1976;51:170-179. 

  8. Moseley RT, Weinstein SL. Lovell and Winter's Pediatirc Orthopaedics. 6th ed.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2006. 

  9. Greulich WW, Pyle SI. Radiographic atlas of skeletal development of the hand and wrist. 2nd ed.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1959. 

  10. Sauvegrain J, Nahum H, Bronstein H. Study of bone maturation of the elbow. Ann Radiol (Paris). 1962;5:542-550. 

  11. Risser JC. The Iliac apophysis; an invaluable sign in the management of scoliosis. Clin Orthop Relat Res. 1958;11:111-119. 

  12. Anderson M, Messner MB, Green WT. Distribution of lengths of the normal femur and tibia in children from one to eighteen years of age. J Bone Joint Surg Am. 1964;46:1197-1202. 

  13. Ha JH, Choi IH, Chung CY, et al. Distribution of lengths of the normal femur and tibia in Korean children from three to sixteen years of age. J Korean Med Sci. 2003;18:715-721. 

  14. Anderson M, Green WT, Messner MB. Growth and predictions of growth in the lower extremities. J Bone Joint Surg Am. 1963;45:1-14. 

  15. Tupman GS. A study of bone growth in normal children and its relationship to skeletal maturation. J Bone Joint Surg Br. 1962;44:42-67. 

  16. Menelaus MB. Correction of leg length discrepancy by epiphysial arrest. J Bone Joint Surg Br. 1966;48:336-339. 

  17. Westh RN, Menelaus MB. A simple calculation for the timing of epiphysial arrest: a further report. J Bone Joint Surg Br. 1981;63:117-119. 

  18. Moseley CF. A straight-line graph for leg-length discrepancies. J Bone Joint Surg Am. 1977;59:174-179. 

  19. Moseley CF. A straight line graph for leg length discrepancies. Clin Orthop Relat Res. 1978;136:33-40. 

  20. Paley D, Bhave A, Herzenberg JE, Bowen JR. Multiplier method for predicting limb-length discrepancy. J Bone Joint Surg Am. 2000;82:1432-1446. 

  21. Cool WP, Carter SR, Grimer RJ, Tillman RM, Walker PS. Growth after extendible endoprosthetic replacement of the distal femur. J Bone Joint Surg Br. 1997;79:938-942. 

  22. Dominkus M, Krepler P, Schwameis E, Windhager R, Kotz R. Growth prediction in extendable tumor prostheses in children. Clin Orthop Relat Res. 2001;390:212-220. 

  23. Neel MD, Heck R, Britton L, Daw N, Rao BN. Use of a smooth press-fit stem preserves physeal growth after tumor resection. Clin Orthop Relat Res. 2004;426:125-128. 

  24. Key JA, Ford LT. A study of experimental trauma to the distal femoral epiphysis in rabbits. II. J Bone Joint Surg Am. 1958;40:887-896. 

  25. Siffert RS. The effect of staples and longitudinal wires on epiphyseal growth; an experimental study. J Bone Joint Surg Am. 1956;38:1077-10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Hybrid)

저자가 APC(Article Processing Charge)를 지불한 논문에 한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hybrid 저널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