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골육종 환자에서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재건술의 치료결과
Outcome of Tumor Prosthetic Reconstruction in Osteosarcoma Patient 원문보기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Korean Bone and Joint Tumor Society, v.17 no.2, 2011년, pp.79 - 86  

김재도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정형외과) ,  김충규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정형외과) ,  정소학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정형외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골육종 치료에 있어서 사지 구제술이 보편화되었다. 이 중 수술 수기가 간편하고, 기능적인 회복이 빠른 종양 대치물을 재건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생물학적 구제술이나 관절 고정술 등의 합병증으로 인하여 이차적으로 종양 대치술을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광범위 절제술 이후, 일차적으로 종양 대치술을 시행하는 방법의 장기 추시상 결과를 환자 및 종양 대치물의 생존, 기능적 결과, 합병증 측면에서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89년 2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본원에서 골육종으로 진단받은 158예 중, 5년 이상 추시관찰이 가능하고 일차적으로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재건술을 시행하였던 4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추시 기간은 최소 60개월에서 최대 179개월이었다. 남자 28예, 여자 20예 였으며, 평균 나이는 22.4 (11-71세)였다. 병리학적 분류상 전형적인 중심성 골육종 46예, 골막성 2예이었다. 골육종 부위는 근위 경골 26예, 원위 대퇴골 20예, 대퇴골 간부, 경골 간부 각 1예이었다. 종양 대치물의 종류는 41예에서 조립형 종양 대치물을, 7예에서는 확장형 종양 대치물을 이용하여 재건술을 시행하였다. 술 후 기능적 평가를 위해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MSTS) Grading System을 이용하였으며, 환자 및 종양 대치물의 생존율, 합병증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의 5년 전체 생존율은 77.7%이었고, 5년 무병 생존율은 68.9%이었다. 종양 대치물의 생존율은 68%이었다. 일차적 치환술을 시행한 48예 중 총 20예에서 합병증이 발생하였으며, 감염이 10예로 가장 많았다. 수술적 치료 술 후 MSTS 기능적 평가는 74.1%이었다. 결론: 일차적 종양 대치술의 장기 추시 결과상 골종양 절제 후 재건 방법으로 생존율, 기능적 평가 및 합병증 측면에서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Modular tumor prosthesis is the most popular recontructive modality after resection of malignat tumor in extremity. Complications and survival of tumor prosthesis reconstruction are well-known. however, reports on the long-term outcome of tumor prosthesis in osteosarcoma patientss are sca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골육종 환자들의 생존율이 높아짐에 따라 사지 구제술식 자체의 내구성이 중요하게 되었으며, 광범위 절제술 이후 일차적으로 종양대치물을 이용한 재건술의 치료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슬관절 주위에 발생한 골육종의 진단이 늦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슬관절 주위에 발생한 골육종은 통증, 부종 이외에는 다른 악성 골종양에 비해 특이한 증상이 없어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과거에는 종양의 완전 제거를 위해 절단술이 보편적인 치료였다.1) 그러나 효과적인 항암화학약물의 개발, 고해상도 정밀 영상진단 기법 및 수술기술의 발달로 현재는 사지 재건술의 방법이 보편화되었다.
골육종의 치료에는 어떤 방법이 있는가? 골육종의 치료에 사용되는 사지 구제술은 항암 화학 요법의 발달과 영상기기들의 발전으로 정확한 진단 및 병기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고, 절단술과 비교하여 생존율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점차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6) 이에는 자가골 또는 동종골을 이식하는 것과 고온 고압 또는 저온 처리, 체외 방사선 조사 재활용된 자가골을 이식하는 방법의 생물학적 재건술과 종양 대치물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동종골은 적절한 크기나 모양의 이식물 획득이 용이하고 연부조직 부착이 가능하므로 관절 기능 회복에 장점이 있고 공여부의 손상이 없으나, 전염병의 전염 가능성, 조직거부 반응, 골 유합의 저하, 높은 감염율 등의 단점이 있다.
대치물을 이용한 재건술의 장점은 무엇인가? 1) 그러나 효과적인 항암화학약물의 개발, 고해상도 정밀 영상진단 기법 및 수술기술의 발달로 현재는 사지 재건술의 방법이 보편화되었다. 여러 가지 방법 중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재건술은 수술 수기가 간편하고, 골 결손이 많은 경우라도 즉시 재건할 수 있으며, 다른 술식에 비해 조기에 보행 및 재활치료가 가능한 장점으로 인하여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싸고, 종양이 침범되지 않은 관절 및 성장판의 희생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으며, 감염, 대치물의 해리와 같은 합병증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budu A, Carter SR, Grimer RJ. The outcome and functional results of diaphyseal endoprosheses after tumor excision. J Bone and Joint Surg. 1996;78B:652-7. 

  2. Rougraff BT, Simmon MA, Kneisl JS, Greenberg DB, Mankin HJ. Limb salvge compaired with amputation for osteosarcoma of the distal end of the femur: a long-term oncological, functional, and quality of life study. J Bone and Joint Surg. 1994;76:649. 

  3. Grimmer RJ, Carter SR, Tillman RM, et al. Endoprosthetic replacement of the proximal tibia. J Bone Joint Surg. 1999;81B:488-94. 

  4. Kabukcuoglu Y, Grimmer RJ, Tillmann RM, Carter SR. Endoprosthetic replacement for primary maligant tumors of the proximal femur. Clin Orthop. 1999;358:8-14. 

  5. Kawai A, Muschler GF, Lane JM, Otis JC, Healey JH. Prosthetic knee replacement after resection of maligant tumor of the distal part of the femur. J Bone Joint Surg Am. 1998;80:636-47. 

  6. Lee SH, Oh JH, Yoo KH, et al. Evaluation of Prosthetic Reconstruction in Lower Extremity. J Korean Bone Joint Tumor Soc. 2002;8:46-9. 

  7. Chung SH, Cho Y, Kim JD. Recycling total joint autotransplantation in osteosarcoma around knee joint. J Korean Bone Joint Tumor Soc. 2007;13:31-6. 

  8. Dick HM, Malinin TI, Mnaymn WA. Massive allograft implantations following radical resection of high-grade tumors requiring adjuvant chemotherapy treatment. Clin Orthop Relat Res. 1985;197:88-95. 

  9. Gosheger G, Gebert C, Ahrens H, Streitbuerger A, Winkelmann W, Hardes J. Endoprosthetic reconstruction in 250 patients with osteosarcoma. Clin Orthop Relat Res. 2006;450:164-71. 

  10. Hardes J, Gebert C, Schwappach A, et al. Characteristic and outcome of infections associated with tumor endoprostheses. Arch Orthop Trauma Surg. 2006;126:289-96. 

  11. Hillmann A, Hoffmann C, Gosheger G, Krakau H, Winkelmann W. Malignant tumor of the distal part of the femur or the proximal part of the tibia: endoprosthetic replacement or rotationplasty. Functional outcome and quality-of life measurements. J Bone Joint Surg Am. 1999;81:462-8. 

  12. Lindner NJ, RAMM O, Hillmann A, et al. Limb salvage and outcome of osteosarcoma. The University of Muenster experience. Clin Orthop. 1999;358:83-9. 

  13. Quill G, Gitelis S, Morton T, Piasecki P.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limb salvage for extremity sarcomas and their management. Clin Orthop. 1990;260:242-50. 

  14. Sanjayy BK, Moreau PG. Limb salvage surgery in bone tumor with modular endoprosthesis. Int Orthop. 1999;23:41-6. 

  15. Eckardt JJ, Kabo MK, Kelly CM, et al. Expandible endoprosthesis reconstruction in skeletally immature patients with tumors. Clin Orthop. 2000;373:51-61. 

  16. Hornicek FJ, Gebhardt MC, Sorger JI, Mankin HJ. Tumor reconstruction. Orthop Clin N AM. 1999;30:673-84. 

  17. Kneisl JS, Finn HA, Simon MA. Mobile knee reconstruction after resection of malignant tumors of the distal femur. Orthop Clin N Am. 1991;22:105-19. 

  18. Enneking WF, Mindell ER. Observations on massive retrieved human allografts. J Bone Joint Surg. 1991;73:1123-42. 

  19. Jensen KL, Johnston JO. Proximal humeral reconstruction after excision of a primary sarcoma. Clin Orthop Relat Res. 1995;(311):164-75. 

  20. Kohler P, Kreicberg A. Chondrosarcoma treated by reimplantation of resected bone aft er autoclaving and supplement with allogenic bone matrix. Clin Orthop Relat Res. 1993;(294):281-4. 

  21. Unwin PS, Cobb JP, Walker PS. Distal femoral arthroplsty using custom-made prostheses. The first 218 cases. J Arthroplasty. 1993;8:259-68. 

  22. Eckardt JJ, Paebody TD. Complications of Prostehtic Reconstructions. Surgery for Bone and Soft tissue Tumors. 1998;467-79. 

  23. Tsuchiya H, Tomita K. Prognosis of osteosarcoma treated by limb-salvage surgey: the ten-year intergroup study in Japan Jpn J Clin Oncol. 1992;22:347-53. 

  24. Schiller C, Windhager R, Fellinger EJ, Salzer-Kuntschik M, Kalder A, Kotz R. Extendable tumour endoprostheses for the leg in children. J Bone Joint Surg Br. 1995;77:608-14. 

  25. Malawer MM, Chou LB. Prosthetic survival and clinical results with use of large-segment replacements in the treatment of high-grade bone sarcomas. J Bone Joint Surg. 1995;77:1154-65. 

  26. Enneking WF, Dunham W, Gebhardt MC, Malawar M, Pritchard DJ. A system for the functional evaluation of reconstructive procedures after surgical treatment of tumors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Clin Orthop Relat Res. 1993;(286):241-6. 

  27. Robert P, Chan D, Grimmer RJ, Sneath RS, Scales JT. Prosthetic replacement of the distal femur for primary bone tumors. J Bone Joint Surg. 1991;73:762-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