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자아통합감이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Ego Integrity on Death Anxiety of the Elderl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20 no.5, 2011년, pp.917 - 926  

장경은 (대구보건대학 사회복지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ego integrity on death anxiety of the elderly, mediated by depression based on Erikson theory(1963). For this study, 313 elderly over 60 years old in Daegu city participated in a survey. The data of the survey was analyzed using SPSS 15.0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자아통합감이 우울을 매개로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가?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죽음불안이론 중에서 Erikson의 심리사회이론을 근거하여 우울을 매개로 자아통합감이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는 Erikson의 노년기 심리사회이론이 한국사회문화적 맥락에서 한국노인에게도 적용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여 이론적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고, 실천적으로는 노년기의 인생과업인 자아통합감과 노인에게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우울을 잘 조절 ·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죽음불안의 해소를 통해 노인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 넷째, 잠재변인 간 상관관계분석을 하였고, 잠재변인간의 다중공선성문제를 확인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통해 VIF값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구모델을 검증하기 이전에 잠재변인의 정규성을 검토하여 구조방정식의 전제조건을 충족하는지 확인하였다. 다섯째,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해 측정모델과 연구모델을 검증하였다.
  • 우울을 매개변수로 설정한 이유는 우울증세들 중에서 절망감도 포함되므로(Haight etal, 1998) Erikson이론을 적용할 수 있고, 많은 한국노인이 일상적으로 겪고 있는 중요한 심리현상을 반영할 수 있으며, 우울을 매개로 자아통합감과 죽음불안의 인과관계를 살펴본 연구가 없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죽음불안에 초점을 두므로 삶의 종착지인 죽음에 대한 불안을 해소하여 좋은 죽음(well-dying)을 맞이하기 위한 실천적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자아통합감이 우울을 매개로 죽음불안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그림 1]과 같은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자아통합감이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자아통합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이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자아통합감이 우울을 매개로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 노년기 불안의 핵심인 죽음불안을 연구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노인의 현재의 삶을 더 의미있게 잘 보내기 위한 방안을 찾아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Erikson의 사회심리이론을 근거로 노인의 자아통합감이 우울을 매개로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는 Erikson의 노년기 심리사회이론이 한국사회문화적 맥락에서 한국노인에게도 적용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여 이론적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고, 실천적으로는 노년기의 인생과업인 자아통합감과 노인에게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우울을 잘 조절 ·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죽음불안의 해소를 통해 노인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 이상의 연구들은 자아통합감과 우울, 우울과 죽음불안의 관계를 단선적으로 파악하거나 성공적 노화(자아통합감)에 초점을 두어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자아통합감이 우울을 매개로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노년기 심리적 영역의 삶에 대한 인과관계를 보여주고자 한다. 우울을 매개변수로 설정한 이유는 우울증세들 중에서 절망감도 포함되므로(Haight etal, 1998) Erikson이론을 적용할 수 있고, 많은 한국노인이 일상적으로 겪고 있는 중요한 심리현상을 반영할 수 있으며, 우울을 매개로 자아통합감과 죽음불안의 인과관계를 살펴본 연구가 없기 때문이다.
  • 이상과 같이 Erikson의 노년기 심리사회이론에서 자아통합감과 죽음불안의 관계, 자아통합감, 절망감, 죽음불안간의 관계는 노인의 현재의 삶과 과거의 경험에 대한 인 지적 평가를 바탕으로 인과적으로 제시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년기의 발달과정에서 나타나는 절망감으로 나타나는 우울을 매개로 자아통합감과 죽음불안의 인과관계를 확인하여 노년기의 심리적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고 치료방법도 제시하여 노년기의 삶의 문제를 해소하고 인생의 아름다운 마무리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한다.
  • 측정모형 분석은 측정변인들이 잠재변인들을 적절하게 잘 반영하고 있는지를 검토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노인의 자아통합감, 우울, 죽음불안 등은 잠재변인의 하위개념 항목을 합산하여 사용하였다.

가설 설정

  • 첫째, 자아통합감은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의 죽음불안을 잘 설명하는 이론은 무엇인가? 노인의 죽음불안을 잘 설명하는 이론은 Erikson(1963)의 심리사회적 이론이라 할 수 있다. Erikson의 이론은 폭넓은 인간발달에 대한 견해를 제공하였는데, 특히 노년기 죽음불안의 기능뿐만 아니라 죽음두려움에 힘겨워하는 인간의 마지막 운명에 대해서도 중요한 의미를 준다(Tomer, 1994).
노인의 우울은 어떤 이유로 인해 발생하는가? 또한 자아통합에 실패하게 되면 절망감에 빠지는 데, 이러한 절망감으로 나타나는 정서가 우울이다(Haight et al, 1998). 노인의 우울은 신체적 질병, 배우자 죽음, 경제적 약화, 사회나 가족으로부터의 고립, 지나간 세월에 대한 회한 등으로 노인들 간에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대부분이 우울을 경험한다. 노년기의 우울은 심리적 불안과 동반하는 죽음불안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노인 생애의 최종점인 죽음을 편안하고 긍정적으로 맞이하기 위해서는 죽음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노인들이 ‘죽을 준비가 되었다’고 생각하고 노인 자신도 신체적 쇠약, 질병, 사회적 역할상실 등을 경험하면서 죽음을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것이라 인식한다. 그러나 실제 노인들도 다른 어떤 연령과 마찬가지로 불안하고 분노하고 부정한다(최영희 외, 1999). 노인이 갖는 죽음불안은 과거의 삶에 대한 후회스러움이나 경험할 수 없는 죽음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 등으로 나타나는데 이것은 현재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노인 생애의 최종점인 죽음을 편안하고 긍정적으로 맞이하기 위해서는 죽음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권오균. (2008). 노인복지시설 거주노인의 죽음불안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41, 27-50. 

  2. 권현수. (2009). 노인문제음주가 우울,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빈곤노인과 비빈곤 노인집단에 대한 잠재평균분석의 적용. 한국노년학, 29(4), 1521-1538. 

  3. 김경희.권혜진.최미혜.박윤자.김수강. (2010). 심리적 영적 요인이 재가노인의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지, 19(1), 96-105. 

  4. 김정우. (1995), 죽음의 이해. 대구: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영성신학연구소. 

  5. 김주환, 김민규, 홍세희. (2009). 구조방정식으로 논문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6. 문남숙, 남기민. (2008). 노인의 죽음준비도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 우울 및 죽음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8(4), 1227-1248. 

  7. 문수백. (2009).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8. 배강대. (2006). 회상을 활용한 지지적 집단상담이 노인의 자아통합감, 무력감, 죽음불안,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송양순. (2001). 재가노인 우울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산정논총, 2, 193-226. 

  10. 양병화. (1998). 다변량 자료분석의 이해와 활용. 서울: 학지사. 

  11. 오미나, 최외선. (2005). 재가노인과 시설노인의 자아존중감, 죽음불안 및 우울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1), 162-175. 

  12. 윤진. (1985). 성인 노인심리학.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13. 이묘숙. (2010). 노인의 우울수준이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및 생활만족도 조절효과 연구. 노인복지연구, 49, 241-266. 

  14. 이정인, 김순이. (2011). 노인의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5(1), 28-37. 

  15. 이한나, 강은나, 김세원. (2010). 노년기 죽음불안 영향요인 연구: 가족기능, 영적안녕감 및 자아통합감의 효과검증. 노인복지연구, 49, 311-332. 

  16. 정동호. (1994). 죽음에 대한 철학적 성찰, 정동호 외, 철학, 죽음을 말하다. 고양: 산해. 

  17. 정순둘, 구미정. (2011). 우울영향요인: 베이비부머, 예비노인, 현재노인의 비교. 노인복지연구, 52, 305-324. 

  18. 최영희, 신경림, 고성희, 공수자, 공은숙, 김명애 외. (1999). 노인과 건강. 서울: 현문사. 

  19. 최외선. (2007). 노인의 자아통합감과 죽음불안에 대한 연구. 한국노년학, 27(4), 755-773. 

  20. 홍주연. (2000). 성격과 자아통합감이 노인회상기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1. 노인 우울증 환자 5년새 65% 증가. (2011.3.13.). 연합뉴스. 

  22. Brink, T. L., Yesavage, J. A., Lum, O., Heersema, P., Adey, M. B., & Rose, T. L. (1982). Screening tests for Geriatric Depression. Clinical Gerontologist, 1, 37-44 

  23. Durlak, J. A. (2002). Death anxiety, In D. J. Ekerdt, Encyclopedia of aging, New York: Macmillan Reference. pp.318-319. 

  24. Erikson, E. H. (1963). Childhood and Society(2nd Ed.), New York: Norton. 

  25. Fishman, S. (1992). Relationships among an older adult's life review, ego integrity, and death anxiety.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4(2), 267-277. 

  26. Fortner, B. V., & Neimeyer, R. A. (1999). Death anxiety in old adults: A quantitative review. Death Studies, 23(5), 387-411. 

  27. Hamachek, D. (1990). Evaluating self-concept and ego status in Erikson's last three psychosocial stages,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68, 677-683. 

  28. Haight, B. K., Michel, Y., & Hendrix, S. (1998). Life review: preventing despair in newly relocated nursing home residents: Short and long term effects.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47(2), 119-142. 

  29. Hintze, J., Templer, D. I., Cappelletty, G. G., & Frederick, W. (1994). Death depression and death anxiety in HIV-infected Males, In R. A. Neimeyer(Ed.), Death anxiety handbook: research, instrumentation, and application, Washington, DC: Taylor & Francis, pp.193-200. 

  30. James, J. B., & Zarrett, N. (2006). Ego integrity in the lives of older women, Journal of Adult Development, 13(2), 61-74. 

  31. Martin, L. M., Fleming, K. C., & Evans, J. M. (1995). Recognition and management of anxiety and depression in elderly patients. Mayo Clin Proc, 70, 999-1006. 

  32. Rylands, K J. & Rickwood, D.J. (2001). Ego-integrity verse ego-despair: the effect of "accepting the past" on depression in older women. International Journal Aging Human Development, 53(1), 75-89. 

  33. Templer, D. I. (1979). Death anxiety as related to depression and heath of retired persons, Journal of Gerontology, 26(4), 521-523. 

  34. Tomer, A. (1994). Death anxiety in adult life: Theoretical perspectives, In R. A. Neimeyer(Ed.), Death anxiety handbook: research, instrumentation, and application, Washington, DC: Taylor & Francis, pp. 3-28. 

  35. West, S. G., Finch, J. F., & Curran, P. J.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 Thousand Oak, CA: Sage Public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