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임의중도절단자료에 대한 로그정규성 검정
Testing Log Normality for Randomly Censored Data 원문보기

응용통계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24 no.5, 2011년, pp.883 - 891  

김남현 (홍익대학교 기초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명시간에 대한 모형으로 로그정규분포가 자주 사용되며, 이는 자료의 변환에 의하여 정규성 검정과 동일한 문제로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자료의 로그정규성 검정을 위하여, 정규성 검정에 자주 이용되는 Shapiro-Wilk 형태의 검정통계량을 Kaplan-Meier의 product limit 경험분포함수를 이용하여 임의중도절단자료로 일반화한다. Cram er von Mises 통계량을 임의중도절단자료로 일반화한 Koziol과 Green (1976)의 통계량과 비교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단순귀무가설을 가정하였다. 중도절단분포에 대한 모형으로는 Koziol과 Green (1976)에서 제시한 모형과 이와 유사한 다른 모형 두 가지를 고려하였다. 검정력 비교 결과 제시한 통계량이 로그정규성 또는 정규성 검정에 더 좋은 검정력을 보여주었으며 검정력은 중도절단분포 모형보다는 자료의 중도절단비율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survival data we sometimes want to test a log normality hypothesis that can be changed into normality by transforming the survival data. Hence the Shapiro-Wilk type statistic for normality is generalized to randomly censored data based on the Kaplan-Meier product limit estimate of the distribu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중도절단 자료에서도 마찬가지이다 (D’Agostino와 Stephens, 1986). 본 논문에서는 정규성 검정에 자주 쓰이는 Shapiro-Wilk 통계량과 관계 깊은 de Wet과 Venter 통계량을 Kaplan-Meier product limit 경험분포함수를 이용하여 임의중도절단자료(randomly censored data)에 대해서 일반화하고자 한다.
  • 정규성 검정을 위한 통계량으로 많이 이용되는 것으로 Shapiro와 Wilk (1965), Shapiro와 Francia (1972) 통계량 등을 들 수 있고 de Wet과 Venter (1972) 통계량도 이들과 관계가 깊은 통계량이다. 우선 중도절단이 없는 경우를 간단히 살펴보자. Y1, .

가설 설정

  • 만일 첫 번째 성분의 고장분포가 관심의 대상이고 두 번째 성분이 β개의 부성분(subcomponents)으로 직렬 연결되어 있고 각각의 부성분의 분포가 F와 동일하다고 가정하자.
  • 본 논문에서는 Koziol-Green 통계량과 비교하기 위해서 Koziol과 Green (1976)과 같이 단순귀무가설을 가정하였다. 제안한 통계량은 복합귀무가설의 경우 식 (2.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Koziol-Green 통계량과의 비교를 위하여 우선 정규분포의 단순귀무가설을 가정하였다. 이 경우 일반성을 잃지 않고 µ = 0, σ = 1이라고 가정해도 되고, 모수 추정의 문제는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 4)의 Koziol-Green의 #을 비교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중도절단분포 G는 식 (2.5)의 Koziol-Green 모형과 식 (2.6)의 P 모형을 가정하였다. 두 가지 중도절단모형에서 각 통계량의 기각값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구하였고 그 결과 표 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규성 검정에 자주 쓰이는 것은? 이는 중도절단 자료에서도 마찬가지이다 (D’Agostino와 Stephens, 1986). 본 논문에서는 정규성 검정에 자주 쓰이는 Shapiro-Wilk 통계량과 관계 깊은 de Wet과 Venter 통계량을 Kaplan-Meier product limit 경험분포함수를 이용하여 임의중도절단자료(randomly censored data)에 대해서 일반화하고자 한다.
Shapiro-Wilk 통계량과 관련이 깊은 통계량은? 이는 중도절단 자료에서도 마찬가지이다 (D’Agostino와 Stephens, 1986). 본 논문에서는 정규성 검정에 자주 쓰이는 Shapiro-Wilk 통계량과 관계 깊은 de Wet과 Venter 통계량을 Kaplan-Meier product limit 경험분포함수를 이용하여 임의중도절단자료(randomly censored data)에 대해서 일반화하고자 한다.
기존 임의중도절단자료에 대한 적합도 검정 연구에서 사용한 방식은? 임의중도절단자료에 대한 적합도 검정은 제 1종 중도절단(Type I censoring)이나 제 2종 중도절단(Type II censoring)에 비해서 그리 많은 연구가 되지는 않았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Koziol과 Green (1976), Koziol (1980)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적합도 검정에 자주 쓰이는 Cram´er-von Mises 통계량, Kolmogorov-Smirnov 통계량 등을 임의중도절단 자료로 확장하였다. 이러한 통계량들은 경험분포함수(empirical distribution function)에 기반한 통계량이다. 또한 Chen (1984)은 임의중도절단자료의 복합귀무가설에서 Shapiro-Francia 통계량과 유사한 상관계수 통계량을 일반화하고 주로 지수분포에 적용하였다. Chen 등 (1983)도 임의중도절단자료에 대한 검정을 다루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lom, G. (1958). Statistical Estimates and Transformed Beta Variates, New York, Wiley. 

  2. Breslow, N. and Crowley, J. (1974). A large sample study of the life table and product limit estimates under random censorships, The Annals of Statistics, 2, 437-453. 

  3. Chen, C. (1984). A correlation goodness-of-fit test for randomly censored data, Biometrika, 71, 315-322. 

  4. Chen, Y. Y., Hollander, M. and Langberg, N. A. (1982). Small-sample results for the Kaplan Meier estimator,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77, 141-144. 

  5. Chen, Y. Y., Hollander, M. and Langberg, N. A. (1983). Testing whether new is better than used with randomly censored data, The Annals of Statistics, 11, 267-274. Correction(1983), 11, 1267. 

  6. Csorgo, S. and Horvath, L. (1981). On the Koziol-Green Model for random censorship, Biometrika, 68, 391-401. 

  7. D'Agositno, R. B. and Stephens, M. A. (1986). Goodness-of-Fit Techniques, Marcel Dekker, New York. 

  8. de Wet, T. and Venter, J. H. (1972). Asymptotic distributions of certain test criteria of normality, South African Statistical Journal, 6, 135-149. 

  9. Efron, B. (1967). The two sample problem with censored data, Proceeding 5th Berkeley Symposium , 4, 831-853. 

  10. Kaplan, E. L. and Meier, P. (1958). Nonparametric estimation from incomplete observation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53, 457-481 

  11. Kim, N. (2011). The limit distribution of a modi ed Shapiro-Wilk statistic for normality to Type II censored data. Journal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40, 257-266. 

  12. Koziol, J. A. (1980). Goodness-of-fit tests for randomly censored data, Biometrika, 67, 693-696. 

  13. Koziol, J. A. and Green, S. B. (1976). A Cramer-von Mises statistic for randomly censored data. Biometrika, 63, 465-474. 

  14. Meier, P. (1975). Estimation of a distribution function from incomplete observations. In Perspectives in Probability and Statistics, Ed. J. Gani, 67-87, Academic Press, London. 

  15. Shapiro, S. S. and Francia, R. S. (1972). An approximate analysis of variance test for normality.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67, 215-216, 

  16. Shapiro, S. S. and Wilk, M. B. (1965). An analysis of variance test for normality (complete samples), Biometrika, 52, 591-611. 

  17. Verrill, S. and Johnson, R. A. (1988). Tables and large sample distribution theory for censored data correlation statistics for testing normality,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83, 1192-119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