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직장암 데이터에 대한 위험률 함수 추정 및 위험률 변화점 추정
Estimation of hazard function and hazard change-point for the rectal cancer data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6 no.6, 2015년, pp.1225 - 1238  

이시은 (덕성여자대학교 정보통계학과) ,  심병용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  김재희 (덕성여자대학교 정보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직장암 환자들의 수술 후 재발까지의 시간 데이터에 대해 집단 간 생존함수 양상에 차이가 있는지 로그 순위 검정 결과 유의수준 10%에서 포도당 단일수송체 (GLUT1)의 수준, 수술 전 병기 (cstage), 수술 후 병기 (ypstage)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며, Cox 비례위험률 모형을 이용하여 검정한 결과 가장 유의한 공변량은 포도당 단일수송체와 수술 후 병기였다. 지수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할 경우, 우도함수를 기반한 여러 가지 위험률 변화점을 추정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research, we fit various survival models and conduct tests and estimation for the hazard change-point with the rectal cancer data. By the log-rank tests, at significance level ${\alpha}=0.10$, survival function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uniporter of glucose (G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Matthews 등 (1982)과 Henderson (1990)은 우도함수에 근거한 변화 검정법을 제안하였으며 본 논문의 데이터에 대해 변화검정을 하고자한다. 두 방법 모두 관측데이터에 대한 방법이므로 직장암 데이터에 대해 절단성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와 고려한 경우에 대해 각각 적용해 보고자한다.
  • 본 연구에서는 수술 후 부터 재발까지의 시간인 무재발 생존시간 (recurrence free survival; RFS) 변수를 생존시간으로 사용하여 직장암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분석에서는 통계 시스템 R을 사용하였으며 패키지로는 survival과 ISwR을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직장암 (rectal cancer) 생존시간 데이터에 대한 생존분석과 위험률의 변화존재 여부에 대한 검정을 하고자한다. 2절에서는 분석에 사용하는 직장암 생존데이터를 소개하고 3절에서는 직장암 데이터에 대해 여러 가지 생존분석모형을 적합하고 집단 간 생존함수 양상에 차이가 있는지 로그 순위 검정을 한다.
  • 생존데이터에 대해 위험률에 변화가 존재하는지 검정해 보고자한다. 생존데이터 T1, · · · , Tn는 서로 독립이며 지수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한다.
  • 모형이 만족스럽다면 잔차의 움직임에서도 나타나게 되므로 잔차 그림을 통해 잔차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생존분석에서 여러 종류의 잔차가 제안되었으나 여기서는 마팅게일 잔차를 데이터분석에 활용하고자한다.
  • Loader (1991)는 위험률 변화점에 대한 우도비 과정에 기반하여 변화 여부에 대한 검정통계량을 제안하였다. 임의 중도절단 (random censoring) 이 있는 경우에도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유의수준 조절에 대해 언급하였다.

가설 설정

  • H0 : 비례위험률 모형에서 공변량에 대한 회귀계수가 모두 0이다. 대 H1 : not H0.
  • H0 : 위험률의 변화가 없다. 대 H1 : 위험률의 변화가 있다.
  • 생존데이터 T1, · · · , Tn는 서로 독립이며 지수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한다. RFS에 대해 (t, -logS(t)) 그림을 그려본 결과 어느 순간까지 지수분포를 크게 벗어나지 않아 보이므로 지수분포를 가정한 위험률 변화점 추정을 하고자 한다.
  • : 위험률의 변화가 없다. 대 H1 : 위험률의 변화가 있다.
  • Zik가 한 단위 증가할 때마다 exp(βk) 만큼 위험률이 증가하게 된다. 비례위험 회귀모형을 가정하고 공변량을 다르게 고려하여 모형을 적합하였다. 모형적합도 검정의 귀무가설과 대립가설은 다음과 같다.
  • 사건 (사망)이 D개의 시점 t1 < t2 < · · · < tD에서 발생했다고 가정한다.
  • 생존데이터 T1, · · · , Tn는 서로 독립이며 지수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한다.
  • 재발시간이 지수분포를 따른다는 가정 하에, 위험률 변화가 존재하는지 검정한 결과 변화점 존재가 유의하였다. 그러므로 변화점 추정 문제가 대두되어 한 개 변화점을 추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장암이란 무엇인가? 직장암이란 직장에 생긴 암세포로 이루어진 악성 종양을 말한다. 대장은 크게 결장과 직장으로 구분되는데, 암이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결장에 생기는 암을 결장암, 직장에 생기는 암을 직장암이라고 하며, 이를 통칭하여 대장암 혹은 결장 직장암이라고 한다.
생존분석은 암 연구에서 어디에 이용되는가? 생존분석은 생존기간을 분석하여 생존함수 (survival function) 또는 생존곡선 (survival curve)을 추정하는 통계기법으로서 암 연구에서는 치료방법이나 예후인자, 그리고 폭로인자 등이 생존에 미치는 효과 등을 추정하는데 이용된다. 생존분석에서는 사건의 발생 여부에 대해 불완전한 관측값인 중도절단된 데이터(censored data)가 포함되어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생존분석의 예시로는 무엇이 있는가? 생존분석 (survival analysis)은 어떤 사건이 발생할 때까지의 시간 (time to event)이 관심 있는 반응 변수이다. 예를 들어, 기계부품의 고장, 환자의 죽음, 실직 후 재 구직 같은 사건 발생 시간 등이 있다. 이러한 생존시간에 대한 분포뿐만 아니라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설명변수들의 효과에도 관심이 많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hn, J. E. (2010). Statistical analysis of biomedical data using SPSS 18.0, Hannarae Publishing, Seoul. 

  2. Collectt, D. (1994). Modelling Survival Data in Medical Research. Chapman & Hall, New York. 

  3. Cox, D. R. and Snell, E. J. (1968). A general definition of residuals.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B (Methodological), 30, 248-275. 

  4. Fleming, T. R. and Harrington, D. P. (1991). Counting processes and survival analysis. Wiley, New York. 

  5. Han, M. H. and Jeong, K. M. (1998). Estimation for change-point model of hazard rate. Korean Communications in Statistics, 477-489. 

  6. Henderson, R. (1990). A problem with the likelihood ratio test for a change-point hazard rate model. Biometrika, 77, 835-843. 

  7. James, B., James, K. L. and Siegmund, D. (1987). Tests for a change-point, Biometrika, 74, 71-83. 

  8. Jung, S. W., Park, J. Y., Kiim, Y. S., Jeen, Y. T., Lee, H. S., Chun, H. J., Um, S. H., Lee, S. W., Choi, J. H., Kim, C. D., Ryu, H. S. and Hyun, J. H. (2005). Survival analysis according to treatment modality in pancreatic cancer patients.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46, 120-128. 

  9. Kim, J. (2009). A change-point estimator with the hazard ratio. Journal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38, 377-382. 

  10. Kim, Y. J. (2013). Survival analysis, Free Academy, Seoul. 

  11. Klein, J. P. and Moeschberger, M. L. (1997). Survival analysis, Springer, New York. 

  12. Loader, C. R. (1991). Inference for a hazard rate change point. Biometrika, 78, 749-757. 

  13. Maas, M., Nelemans, P. J., Valentini, V., Das, P., Rodel, C., Kuo, L.-J., Calvo, F. A., Garcia-Aguilar, J., Glynne-Jones, R., Haustermans, K., Mohiuddin, M., Pucciarelli, S., William Small, W. Jr., Suarez, J., Theodoropoulos, G., Biondo, S., Beets-Tan, R. G. and Beets, G. L. (2010). Long-term outcome in patients with a pathological complete response after chemoradiation for rectal cancer: A pooled analysis of individual patient data. Lancet Oncology, 11, 835-844. 

  14. Matthews, D. E. and Farewell, V. T. (1982). On testing for constant hazard against a change-point alternative. Biometrics, 38, 463-468. 

  15. Nguyen, H. T., Rogers, G. S. and Walker, E. A. (1984). Estimation in change-point hazard rate models. Biometrika, 71, 299-304. 

  16. Oh, J. S. and Lee, S. Y. (2014). An extension of multifactor dimensionality reduction method for detecting gene-gene interactions with the survival time.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5, 1057-1067. 

  17. Pettit, A. N. (1980). A simple cumulative sum type statistic for the change point problem with zero-one observations. Biometrika, 67, 79-84. 

  18. Seo, M. R., Lee, E. B., Yang, W. S., Kim, S. B., Park, S. K., Lee, S. G., Park, J. S. and Hong, C. G. (2002). Survival analysis of hemodialysis patients - A single center study.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21, 636-644. 

  19. Shim, B. Y., Jung, J. H., Lee, K. M., Kim, H. J., Hong, S. H., Kim, S. H., Sun, D. S. and Cho, H. M. (2013). Glucose transporter 1 (GLUT1) of anaerobic glycolysis as laparoscopic surgery for locally advanced rectal cancer. International Journal of Colorectal Disease, 28, 375-383. 

  20. Shin, S. B. and Kim, Y. J. (2014). Statistical analysis of recurrent gap time events with incomplete observation gap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5, 327-336. 

  21. Worsley, K. J. (1988). Exact percentage points of the likelihood-ratio test for a change-point hazard-rate model. Biometrika, 44, 259-263. 

  22. Yao, Y. C. (1986).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in hazard rate models with change-point. Communications in Statistics A, 15, 2455-2466. 

  23. Zhang, W., Qian, L. and Li, Y. (2014). Semiparametric sequential testing for multiple change points in piecewise constant hazard functions with long-term survivors. Communications in Statistics - Simulation and Computation, 43, 1685-169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