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가 지각한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재활 동기와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Rehabilitation Motivation, Perceived Stress and Social Support in Stroke Survivors 원문보기

재활간호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14 no.1, 2011년, pp.24 - 31  

문지영 (조선간호대학) ,  조복희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전남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lated factors of stress, social support and rehabilitation motivation of stroke survivors and analyze their relationship. Method: A sample of 106 stroke survivors completed face-to-face interviews. The levels of stress, social support and rehabi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재활 동기의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 그 관계를 분석하여,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커다란 변화를 겪으면서 위기 상황에 처해있는 뇌졸중 환자의 재활간호 제공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뇌졸중은 발병 후 회복이 되었다 하더라도 장애가 남고 재발의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지속적인 재활치료가 중요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뇌졸중 대상자가 지각한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재활 동기의 요인을 파악하고 그 관계를 규명하여, 재활간호 제공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으며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가 지각한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재활 동기를 파악하고, 그 관계를 규명하고자 시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진단받고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대상자 106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재활 동기의 관련 요인을 분석하고 그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관련된 요인은 배우자 유무이고, 재활 동기와 관련된 요인은 교육정도, 배우자 유무, 월 소득, 수입 만족도, 유병기간 및 언어장애로 나타났다.
  • 따라서 변수들을 하나의 순환 고리로 여기는 통합적 간호와 함께 배우자의 존재가 세 변수 모두에서 의미가 있는 만큼 재활과정에 배우자 참여를 높이는 중재적 노력으로 재활의 성과를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겠다. 본 연구의 결과는 표집 지역이 한 곳에 국한되었다는 연구의 제한점이 있지만 뇌졸중 재활에 도움을 주는 간호의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겠으며,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가 지각한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재활 동기를 파악하고, 그 관계를 규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의 사망률의 추세는 어떠한가? 뇌졸중은 뇌혈관의 이상에 의해서 야기 되어 신경학적 기능장애를 동반하는 흔한 질환으로 성인 3대 사망원인의 하나이다. 뇌졸중의 사망률은 10년 전 인구 10만명 당 73.6명이었던 것이 2008년에는 56.5명으로 점점 감소하고 있으나(Korea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08), 재활이 필요한 뇌 병변 등록 장애인 수는 해마다 약 5% 이상 증가하고 있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8). 이는 뇌졸중으로 인한 만성질환자가 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 가족 및 국가적 차원에서 큰 부담으로 작용하게 된다.
뇌졸중이란 무엇인가? 뇌졸중은 뇌혈관의 이상에 의해서 야기 되어 신경학적 기능장애를 동반하는 흔한 질환으로 성인 3대 사망원인의 하나이다. 뇌졸중의 사망률은 10년 전 인구 10만명 당 73.
뇌졸중으로 진단받고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대상자 106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재활 동기의 관련 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진단받고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대상자 106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재활 동기의 관련 요인을 분석하고 그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관련된 요인은 배우자 유무이고, 재활 동기와 관련된 요인은 교육정도, 배우자 유무, 월 소득, 수입 만족도, 유병기간 및 언어장애로 나타났다. 스트레스와 재활 동기,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는 부적관계, 사회적 지지와 재활 동기는 정적관계가 나타났다. 따라서 변수들을 하나의 순환 고리로 여기는 통합적 간호와 함께 배우자의 존재가 세 변수 모두에서 의미가 있는 만큼 재활과정에 배우자 참여를 높이는 중재적 노력으로 재활의 성과를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겠다. 본 연구의 결과는 표집 지역이 한 곳에 국한되었다는 연구의 제한점이 있지만 뇌졸중 재활에 도움을 주는 간호의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겠으며,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yeon, S. H. (2000). Study on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desire of patients in medical rehabilitation for stroke patient. Social Welfare, 146, 147-174. 

  2. Choi, I. S. (2001). A study on the need for social welfare service in stroke patients: relationship to stress fact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Taegu University, Taegu. 

  3. Choi-Kwan, S., Han, S. W., Kwon, S. U., & Kim, J. S. (2005). Post stroke fatigue characteristics and related factors. Cerebrovascular Disease, 19(2), 84-90. 

  4. Cohen, S., & Wills, T. A. (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yschological Bulletin, 98(2), 310-357. 

  5. Glass, T. A., Matchar, D. B., Belyea, M. J., & Feussner, J. R. (1993). Impact of social support on outcome in first stroke. Stroke, 24(1), 64-70. 

  6. Gu, B. K., & Kim, H. S. (1983). A study on the change and level of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Rehabilitation Research, 9, 49-54. 

  7. Han, H. S., & Lim, N. Y. (2001).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in the disabled.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4(4), 554-563. 

  8. Ikeda, A., Iso, H., Kawachi, I., Yamagishi, K., Inoue, M., & Tsugane, S. (2008). Social support and stroke and coronary heart disease. Stroke, 39, 768-775. 

  9. Jang, S. H. (2004). Rehabilitation treatment of stroke. Cardiovascular Update, 6(2), 36-43. 

  10. Kim, H. S., Hang, Y. O., Yu, J. H., Jung, J. H., Woo, H. S., & Jung, H. S. (2009). The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activities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7(3), 41-53. 

  11. Kim, J. Y. (2003). Depression, stress and rehabilitation motive in cerebrovascular disease and spinal cord injury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eajeon. 

  12. Kim, K. O., & Cho, B. H. (2001).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hope of stroke survivor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4(1), 58-72. 

  13. Kim, K. S., Jeon, S. I., Oh, H. C., & Shin, J. B. (1995). A study of stress and depression in stroke patients : relationship to AD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ccupational Therapy, 3(1), 3-20. 

  14. Kim, O. S., & Baik, S. H. (2003). The relationships among loneliness, social support, and family function in elderly Korea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3), 425-432. 

  15. Kim, S. S. (1994). Experience of family caregivers caring for the patients with stroke. Korean Journal of Nursing Query, 3(1), 67-88. 

  16. Korea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08). Death and cause of death statistics, Retrieved December 5, 2009, from http:// www.kostat.go.kr 

  17. Kwan, E. H. (2005). A study on the relation of senile patients's family support and rehabilitation motive: focused on implications to rehabilitation care. Journal of Korean Local Government & Administration Studies, 19(3), 19-47. 

  18. Lee, D. G. (2007). A study on economic stress-related factors with stroke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Mokwon University, Daejeon. 

  19. Lee, J. H. (2009). The effects of meditation music with nature sound on stroke patients stress redu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20. Lee, M. H. (2009). Influencing factors of depression and stress in stroke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sin University, Pusan. 

  21. Madden, S., Hopman, W. M., Bagg, S., Verner, J., & O'Challaghan, C. J. (2006). Functional statu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during inpatient stroke rehabilitation.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85(10), 831-838. 

  2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8, April). Statistics of disabled people in 2008. Retrieved April 29, 2009, from http://www.mw.go.kr. 

  23.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0, August 9). Disease statistics. Retrieved August 9, 2010, from http:// www.nhic.or.kr/portal/site/main/menuitem 

  24. Neuman, B. (Eds.) (1982). The Neuman System Model: Application to nursing education and practice. Norwalk: Appletion- Century-Crofts. 

  25. Park, W. K. (1987). Perceive stress and depression in hemiplegia patients using Neuman stressors concepts fact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hwa Womans University, Seoul. 

  26. Park, Y. S., & Kwan, S. S. (2002). Factors affecting stroke patients` rehabilitation motivation.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Association, 28(1), 21-30. 

  27. So, H. Y., Cho, B. H., & Seo, Y. O. (2007). Rehabilitation nursing. Seoul: Hyunmoonsa. 

  28. Tse, S. H. (2006). The effects of aromatherapy on the depression and stress in patients with stroke.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29. Zimet, G. D., Dahlem, W., Zimet, S. G., & Farley, G. K. (1988).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2(1), 30-4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