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의 우울 유무에 따른 재활동기, 가족지지 및 재활이행 간의 비교
Comparison of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Family Support and Adherence to Rehabilitation between Depressive and Non-depressive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재활간호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19 no.2, 2016년, pp.138 - 147  

박안숙 (효드림 요양병원) ,  고은 (국립순천대학교 생명산업과학대학 간호학과) ,  강희순 (국립순천대학교 생명산업과학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family support and adherence to rehabilitation and identify factors predicting adherence to rehabilitation between depressive and non-depressive stroke patients. Methods: Stroke patients admitted to rehabilitation hosp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뇌졸중 환자의 재활은 뇌졸중으로 인한 장애를 최소화하고 삶의 질을 극대화하여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함을 목표로 한다. 뇌졸중 환자는 오랜 시간 재활치료를 받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의료인에 의한 치료 이상으로 환자 스스로의 참여가 필수적이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우울 유무에 따른 재활동기, 가족지지 및 재활이행의 정도를 비교하여, 뇌졸중 환자의 재활이행을 높이기 위한 간호중재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우울한 환자와 그렇지 않은 환자의 재활동기, 가족지지 및 재활이행 간의 관계를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비교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우울 정도를 파악하고, 우울한 뇌졸중 환자와 비우울 뇌졸중 환자로 구분하여 재활동기, 가족지지 및 재활이행 정도를 비교하여, 뇌졸중 환자의 재활이행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 뇌졸중 환자의 62.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우울 유무에 따른 재활동기, 가족지지 및 재활이행의 정도를 비교하고, 재활이행 예측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우울 정도를 파악하고, 우울 유무에 따른 재활동기, 가족지지 및 재활이행의 정도를 비교하여, 재활이행 예측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뇌졸중 환자의 6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 환자의 재활목적은 무엇입니까? 뇌졸중 환자의 재활은 뇌졸중으로 인한 장애를 최소화하고 삶의 질을 극대화하여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함을 목표로 한다. 뇌졸중 환자는 오랜 시간 재활치료를 받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의료인에 의한 치료 이상으로 환자 스스로의 참여가 필수적이다.
뇌졸중 환자 스스로 재활하고자 하는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입니까? 뇌졸중 환자 스스로 재활하고자 하는 의지가 없다면 재활을 위한 행위가 오히려 부담이 될 수 있으며 긍정적인 재활의 성과를 기대하기 어렵다(Park & Kweon, 2002). 즉 성공적인 재활을 위해서는 변화의 핵심요소인 재활동기가 중요하며, 우울은 재활동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Choi, Lee, & Cho, 2016; Moon, 2010). 또한 재활과정 중 가족이나 주위사람들로부터 자신에 대한 믿음과 신뢰감을 가질 때 환자의 재활의욕도 높아지며, 재활동기는 가족의 부담, 사회적 지지와 같은 외부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Karahan et al., 2014), 가족지지와 재활이행 역시 관련이 있다. 현재까지 뇌졸중 환자의 우울, 재활동기 및 가족지지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는 연구들은 있었으나(Moon, 2010; Moon & Cho, 2011), 이들 변인들과 재활이행과의 관련성을 통합적으로 제시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뇌졸중으로 인한 신체적피해는 어떠합니까? 뇌졸중은 일단 발생하면 환자의 9%만이 질병이전의 기능 상태로 완전히 회복되고 73%의 환자들은 불안전하게 회복된다. 뇌손상 부위에 따라 편마비, 언어, 감각 및 인지 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기능장애가 발생하며, 신체적, 정신적 문제를 복합적으로 경험하게 된다(Kumar, Selim, & Caplan, 2010). 뇌졸중 환자는 발병 후 6개월이 경과된 이후에도 48%는 편마비, 24~53%는 완전 또는 부분적 의존, 12~18%는 언어장애가 남게되어(Leyes, 2001), 신경학적 장애를 가지고 살아가야 하기 때문에 장기적인 재활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ushnell, C. D., Olson, D. M., Shao, X., Pan, W., Zimmer, L. O., Goldstein, L. B., et al. (2011). Secondary preventive medication persistence and adherence 1 year after stroke. Neurology, 77(12), 1182-1905. 

  2. Carter, A. C. (2004). Post stroke depression.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56, 634. 

  3. Cho, S. H., & Yun, K. S. (2016). Influence of uncertainty, physiologic risk factors, self-efficacy on self-management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3(2), 114-124. http://dx.doi.org/10.5953/JMJH.2016.23.2.114 

  4. Choi, E. S., Lee, E. N., & Cho, J. L. (2016).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on depression and rehabilitation motivation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3(1), 19-27. http://dx.doi.org/10.5953/JMJH.2016.23.1.19 

  5. Chung, E. J., & Lee, B. H. (2012). A comparison of balanc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s with depression and those without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Exercise Rehabilitation, 8(3), 61-69. 

  6. Hafen, K., Jastrebow, J., Nubling, R., & Bengel, J. (2001). Development of a patient questionnaire for assessment of rehabilitation motivation (PAREMO). Rehabilitation, 40, 3-11. 

  7. Im, J. H., Lee, K. S., Kim, K. Y., Hong, N. S., Lee, S. W., & Bae, H. J. (2011). Follow-up study on mortality in Korean stroke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4(11), 1199-1208. http://dx.doi.org/10.5124/jkma. 2011.54.11.1199 

  8. Intercollegiate Stroke Working Party. (2012). National clinical guideline for stroke. (4th ed). London, UK: Royal College of Physicians. 

  9. Ji, R., Liu, G., Shen, H., Wang, Y., Li, H., Peterson, E., et al. (2013). Persistence of secondary prevention medications after acute ischemic stroke or transient ischemic attack in Chinese population: Data from China National Stroke Registry. Neurological Esearch, 35(1), 29-36. http://dx.doi.org/10.1179/1743132812Y.0000000107 

  10. Kang, H. S. (1984).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s of reinforcement education for rehabilitation on hemiplegia patients' self-care activit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1. Karahan, A. Y., Kucuksen, S., Yilmaz, H., Salli, A., Gungor, T., & Sahin, M. (2014). Effects of rehabilitation services on anxiety, depression, care-giving burde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of stroke caregivers. Journal of Faculty of Medicine in Hradec Kra love, 57(2), 68-72. http://dx.doi.org/10.14712/18059694.2014.42 

  12. Kim, A. L. (2010). An explanatory model for patient adherence of rehabilitation in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2(1), 90-102. 

  13. Kim, D. Y., & Jeong, H. (2009). Influencing factors of depression in stroke patients. Kosin Medical Journal, 24(2), 69-75. 

  14. Kim, E. J., Shin, Y. I., Kim, K. M., Park, M. S., Huh, S. C., Lee, H. I., et al. (2015). Longitudinal change and associated factors of poststroke depression-A prospective follow up study-.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19(4), 225-240. http://dx.doi.org/10.16884/JRR.2015.19.4.225 

  15. Kim, M. K., Lee, H. R., Kwon, J. Y., & Oh, H. S. (2013). Influencing and mediating factors in health behaviors among stroke pati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5(6),610-612. http://dx.doi.org/10.7475/kjan.2012.24.6.610 

  16. Kim, Y. T., Park, K. S., & Bae, S, G. (2015). Predictors of persistence and adherence with secondary preventive medication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40(1), 9-20. http://dx.doi.org/10.5393/JAMCH.2015.40.1.009 

  17. Kumar, S., Selim, M. H., & Caplan, L. R. (2010). Medical compliances after stroke. Lancet Neurology, 9(1), 105-118. http://dx.doi.org/10.1016/s1474-4422(09)70266-2. 

  18. Lee, Y., & Song, J. A. (1991).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BDI, SDS, and MMPI-D scale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0(1), 98-113. 

  19. Leyes, D. (2001). Atherothrombosis: A major health burden. Cerebrovascular Disease, 11(suppl 2), 1-4. 

  20. Moon, H. H. (2010). Relationship among depression, family support, and rehabilitation motive in patient with acute or subacute hemorrhagic strok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1. Moon, J. Y., & Cho, B. H. (2011). Relationships among rehabilitation motivation, perceived stress and social support in stroke survivor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14(1), 24-31. 

  22.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2012). Stroke rehabilitation treatment status and medical user needs analysis. Seoul: Author. 

  23. Park, A. S. (2014). Influencing factors on rehabilitation treatment adherence in stroke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Nambu University, Gwangju. 

  24. Park, E. Y., Shin, I. S., & Kim, J. H. (2012). A meta-analysis of the variables related to depression in Korean Patients with a stroke.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42(4), 537-548. http://dx.doi.org/10.4040/jkan.2012.42.4.537 

  25. Park, M. G., & Ha, Y. (2014). Effectiveness of a self-management program using goal setting based on a G-AP for patients after a stroke.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44(5), 581-591. http://dx.doi.org/10.4040/jkan.2014.44.5.481 

  26. Park, Y. S., & Kweon, S. S. (2002). Factors affecting stroke patients' rehabilitation-motivation.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28(1), 21-30. 

  27. Robinson, R. G., & Spalletta, G. (2010). Poststroke depression: A review. Canadian Journal Psychiatry, 55, 341-349. 

  28. Statistics Korea. (2016). Cause of death statistics, Retrieved November 8, 2016, from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M_01_01#SubCont 

  29. Whyte, E., & Mulsant, B. (2002). Post-stroke depression: Epidemiology, pathophysiology and biological treatment. Biological Psychiatry, 52(3), 253-264. 

  30. Yeo, H. N., & Kim, Y. K. (2012). Effects of a group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for stroke patients on their depression and motivation of rehabilitatio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8(3), 424-4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