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천궁 및 당귀를 함유한 한방처방제 휘발성 향기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s of Volatile Flavor Extract from Herbal Medicinal Prescriptions Including Cnidium officinale Makino and Angelica gigas Nakai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37 no.3, 2011년, pp.199 - 210  

임현희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은옥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서미자 (하늘호수) ,  최상원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항염증 효능을 가지는 한방처방제 휘발성 향기추출물을 이용하여 염증질환 치료 한방화장품 기능성 소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먼저 전보에서 항염증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천궁, 당귀, 박하 및 애엽을 비롯하여 5가지 생약(적작약, 숙지황, 황금, 인삼 및 감초)으로 구성된 4가지 한방처방제(HH-1: 천궁, 당귀, 적작약, 숙지황, HH-2: 천궁, 당귀, 적작약, 숙지황, 황금, 인삼, 감초, HH-3: 천궁, 당귀, 박하, 애엽, HH-4: 천궁, 당귀, 박하, 애엽, 황금, 인삼, 감초)를 선정한 후 연속수증기증류법(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extraction, SDE)을 이용하여 추출한 휘발성 향기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및 soybean lipoxygenase (SLO)를 이용하여 각각 측정한 결과, HH-2가 다소 높은 항산화 활성뿐 아니라 SLO 저해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항염증 활성이 강한 HH-2의 항염증 효능을 보다 상세하게 확인하기 위해 lipopolysaccharide (LPS) 유발한 RAW 264.7 세포를 이용하여 염증 유발매개인자인 nitric oxide (NO)와 prostaglandin $E_2$ ($PGE_2$) 및 interleukin-6 (IL-6) 생성 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HH-2가 강한 NO 생성 억제 효과뿐 아니라 $PGE_2$ 및 IL-6를 강하게 억제하여 우수한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염증 활성이 높은 HH-2의 휘발성향기성분을 GC-MS로 분석한 결과, eugenol, paeonol, butyl phthalide, ${\beta}$-eudesmol 및 butylidene dihydrophthalide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로부터 항산화뿐만 아니라 항염증활성이 높은 HH-2를 피부노화 및 염증질환 치료용 한방화장품의 기능성 소재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functional sources of herbal cosmetics for treatment of skin aging and inflammatory disorders using volatile flavor extracts of four different herbal medicinal prescriptions including Cnidium officinale Makino (COM), Angelica gigas Nakai (AGN), Mentha arvense 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항염증 효능을 가지는 천궁 및 당귀를 주 베이스로한 한방처방제 휘발성 향기추출물을 이용하여 염증질환 억제 한방화장품 기능성 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항염증 활성을 지닌 천궁, 당귀, 박하 및 애엽을 비롯하여 5가지 생약(적작약, 숙지황, 황금, 인삼 및 감초)으로 구성된 4가지 한방처방제를 선정하고 SDE를 이용하여 추출한 휘발성 향기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검증과 GC-MS를 이용하여 휘발성향기성분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피부 염증질환 치료용 한방화장품 기능성 소재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항염증 효능을 가지는 천궁 및 당귀를 함유한 한방처방제의 향기증류추출물을 이용하여 피부 염증 관련 질환 치료용 한방화장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에 대해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먼저 사전연구결과와 한방에서 보고된 항염증 활성 생약을 바탕으로 4가지 한방처 방제(HH-1 : 천궁, 당귀, 적작약, 숙지황, HH-2 : 천궁, 당귀, 적작약, 숙지황, 황금, 인삼, 감초, HH-3 : 천궁, 당귀, 박하, 애엽, HH-4 : 천궁, 당귀, 박하, 애엽, 황금, 인삼, 감초)을 선정하였고, 이들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DPPH 라디컬 및 SLO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100 µg/mL의 농도에서 HH-3와 HH-4가 가장 높은 DPPH 라디컬 소거활성을 나타났으며, HH-2도 다소 높은 항산화 활성과 더불어 가장 높은 SLO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귀는 무엇인가? 한편, 당귀(當歸, Angelica gigas Nakai)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1 ~ 2년된 뿌리를 가을에 채취 하여 건조한 것을 이용하고 있다[15]. 당귀는 보혈제의 대표적인 생약으로 혈을 보하여 주고 청열작용과 혈의 흐름을 좋게 하므로 빈혈이나 어혈로 인한 혈행 장애에 크게 활용하고 있으며 월경불순, 월경정지, 신체허약, 두 통, 복통 및 변비에 널리 응용된다.
당귀가 함유하고 있는 생리활성성분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당귀는 보혈제의 대표적인 생약으로 혈을 보하여 주고 청열작용과 혈의 흐름을 좋게 하므로 빈혈이나 어혈로 인한 혈행 장애에 크게 활용하고 있으며 월경불순, 월경정지, 신체허약, 두 통, 복통 및 변비에 널리 응용된다. 당귀의 생리활성성분 으로는 pyranocoumarin계 화합물인 decursin, decursinol 및 nodakenin과 휘발성 향기성분인 α- pinene, β-eudesmol 등을 함유하고 있다[16,17]. 당귀의 주요 생리적 활성에 관한 연구로 면역부활[18] 효과 뿐만 아니라 항 산화[19], 항암[20], 항염증[21] 및 항당뇨 효과[22] 등 다양한 생리적 효능이 보고되어 있다.
식물로부터 휘발성 essential oil을 추출하는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한편, 동․식물이 지니는 고유한 향기성분 또는 essential oil은 예로부터 식품, 향료, 의약품 및 화장품의 다양 한 기능성 원료로서 널리 사용되어져 왔으며, 특히 최근 천연 지향적인 소비자들의 요구에 따라 합성 유래 향기 성분보다 여러 생약 및 허브 유래 향기성분을 추출하여 기능성 소재로 널리 이용하고 있다. 식물로부터 휘발성 향기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에는 크게 용매추출법(SE, solvent extraction)[5,6], headspace법, 연속수증기증류 법(SDE,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extraction) 및 고체상미세추출법(SPME, solid-phase microextraction) 등[7]이 있는데, 비교적 열에 안정한 향기성분을 대량 추 출할 때는 SDE법을 많이 이용하고 있고, SPME법은 향 기성분의 대량 추출보다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적은 양의 시료를 간단하게 전처리하여 향기성분을 분석할 때 주로 사용되고 있다[8-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S. S. Jew, O. N. Bae, and J. H. Chung, Anti-inflammatory effects of asiaticoside on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cyclooxygenase-2 in RAW 264.7 cell line, J. Toxicol. Pub. Health, 19, 33 (2003). 

  2. M. Higuchi, N. Higashi, H. Taki, and T. Osawa, Cytolytic mechanism of activated macrophages. tumor necrosis factor and L-arginine dependent mechanism acts as synergistically as the major cytolytic mechanism of activated macrophages, J. Immunol., 144, 1425 (1990). 

  3. D. E. Lee, J. R. Lee, T. W. Kim, Y. K. Kwon, S. H. Byun, S. W. Shin, S. I. Suh, T. K. Kwon, J. S. Byun, and S. C. Kim, Inhibition of lipopolysaccharide-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TNF- $\alpha$ , IL-1 $\beta$ and COX-2 expression by flower and whole plant of Lonicera japonica,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19, 481 (2005). 

  4. Y. P. Cheon, M. L. Mollah, C. H. Park, J. H. Hong, G. D. Lee, J. C. Song, and K. S. Kim, Inhibition effects of water extract of Bulnesia sarmienti on inflammatory responce in LPS-induced RAW 264.7 cell line, J. Life Science, 19, 479 (2009). 

  5. M. K. Yoon, A. Choi, I. H. Cho, M. J. You, J. W. Kim, M. S. Cho, J. M. Lee, and Y. S. Kim, Characterization of volatile components in Eoyuk-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9(4), 366 (2007). 

  6. M. K. Yoon, M. J. Kwon, S. M. Lee, J. W. Kim, M. S. Cho, J. M. Lee, and Y. S. Kim, Characterization of volatile components according to fermentation periods in Gamdongchotmoo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40(5), 497 (2008). 

  7. G. A. Reineccius, Flavour-isolation techniques. In flavours and fragrances: Chemistry, bioprocessing and sustainability, berger RG, ed., 409, Springer-Verlag, Heidelberg (2007). 

  8. K. S. Yun, J. H. Hong, and Y. H. Choi, Characteristics of Elsholtzia splendens extracts on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extraction conditions, Korean J. Food Preserv., 13, 623 (2006). 

  9. J. G. Lee, H. J. Jang, J. J. Kwang, and D. W. Lee, Comparison of the volatile components of Korean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by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Korean J. Food Nutr., 13, 66 (2000). 

  10. C. L. Arthur, L. M. Killam, K. D. Buchholz, J. Pawliszyn, and J. R. Berg, Automation and aptimization of solid-phase microextraction, Anal. Chem., 64, 1960 (1992). 

  11. K. S. Nam, O. L. Son, K. H. Lee, H. J. Cho, and Y. H. Shon, Effect of Cnidii rhizoma on proliferation of breast cancer cell, nitric oxide production and ornithine decarboxylase activity, Kor. J. Pharmacogn., 35(4), 283 (2004). 

  12. S. H. Kim and I. C. Kim, Antioxidant properties and whitening effects of the Eucommiae cortex, Salviae miltiorrhizae Radix, Aurantii nobilis pericarpium and Cnidii rhizom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4), 618 (2008). 

  13. J. H. Lee, H. S. Choi, M. S. Chung, and M. S. Lee, Volatile flavor components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nidium officinale, Korean J. Food Sci. Technol., 34(2), 330 (2002). 

  14. Y. Y. Lee, S. H. Lee, J. L. Jin, and H. S. Yun-Choi, Platelet anti-aggregatory effects of coumarins from the roots of Angelica genuflexa and A. gigas, Arch. Pharm. Res., 26(9), 723 (2003). 

  15. G. S. Kim, C. G. Park, T. S. Jeong, S. W. Cha, N. I. Baek, and K. S. Song, ACAT(Acyl-CoA:cholesterol acyltransferase) inhibitory effect and quantification of pyranocurmarin in different parts of Angelica gigas Nakai, J. Appl. Biol. Chem., 52(4), 187 (2009). 

  16. M. Konoshima, H. J. Chi, and K. Hata, Coumarins from the root of Angelica gigas Nakai, Chem. pharm. Bull., 16, 1139 (1968). 

  17. S. Y. Kang and Y. C. Kim, Neuroprotective coumarins from the root of Angelica gigas: structure- activity relationships, Arch. Pharm. Res., 30, 1368 (2007). 

  18. S. B. Han, Y. H. Kim, C. W. Lee, S. M. Park, H. Y. Lee, K. S. Ahn, I. H. Kim, and H. M. Kim, Characteristic immunostimulation by angelan isolated from Angelica gigas Nakai, Immunopharmacol., 40, 39 (1998). 

  19. S. A. Kang, J. A. Han, K. H. Jang, and R. W. Choue, DPPH radical scavenger activity and antioxidant effects of Cham-Dang-Gui(Angilica gig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112 (2004). 

  20. K. W. Park, S. R. Choi, M. Y. Shon, I. Y. Jeong, K. S. Kang, S. T. Lee, K. H. Shim, and K. I. Seo, Cytotoxic effects of decursin from Angelica gigas NaKai in human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385 (2007). 

  21. S. Shin, J. H. Jeon, D. Park, J. Y. Jang, S. S. Joo, B. Y. Hwang, S. Y. Choe, and Y. B. Kim, Anti-inflammatory effects of and ethanol extract of Angelica gigas in a carrageenan-airpouch inflammation model, Exp. Anim., 58, 431 (2009). 

  22. H. M. Kim, J. S. Kang, S. K. Park, K. Lee, J. Y. Kim, Y. J. Kim, J. T. Hong, Y. Kim, and S. B. Han, Antidiabetic activity of angelan isolated from Angelica gigas Nakai, Arch. Pharm. Res., 31, 1489 (2008). 

  23. H. H. Leem, Y. J. Lee, E. O. Kim, W. J. Lee, M. J. Seo, and S. W. Choi,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volatile extract of Cnidium officinale and Angelica gigas, Annual Meeting of Korean Society of Food Sci & Technology, Daegu, P11-140 (2011). 

  24. M, Kubo and A, Yoshikawa, Herbal medicine ? crude drug, Hirokawa Publishing Co., Tokyo, Japan (2003). 

  25. T. H. Schultz, R. A. Flath, T. R. Mon, S. B. Eggling, and R. Teranishi, Isolation of volatile components from a model system, J. Agric. Food Chem., 25, 446 (1977). 

  26. E. S. Sehagen, F. Abbrahansom, and W. Mclafferty, The Wiley/NBS registry of mass spectral data, John Wiley and Sons, NY, USA (1974). 

  27. M. Tagashira and Y. Ohtake, A new antioxidative 1,3-benzo-dioxole from Melisa offocinalis, Planta Med., 64, 555 (1988). 

  28. E. Block, R. Iyer, S. Grisoni, C. Saha, S. Belman, and P. Lossing, Lipoxygenase inhibitors from the essential oil of gaic. Markovnikov addition of the allydithio radical to olefins, J. Am. Chem. Soc., 110, 7813 (1988). 

  29. D. S. Bredt and S. H. Snyder, Nitric oxide: a physiologic messenger molecule, Ann. Rev. Biochem., 63, 175 (1994). 

  30. L. C. Green, D. A. Wagner, J. Glogowski, P. L. Skipper, J. S. Wishnok, and S. R. Tannenbaum, Analysis of nitrate, nitrite, and [15N]nitrate in biological fluids, Anal. Biochem., 126, 131 (1982). 

  31. SAS Institute, Inc. SAS User's statistical analysis system institute, Cary, NC, USA, (1985). 

  32. M. Ramalingam and P. Yong-Ki,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Cinidium officinale Makino and Ligusticum chuanxiong Hort. methanolic extracts, Pharmacogn. Mag., 6(24), 323 (2010). 

  33. H. Yoshigi, Physiological activity of essential oils, Fragrance J., 6, 88 (1986). 

  34. J. M. Jeong, Antioxidative and antiallergic effects of Aronia (Aronia melanocarpa)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9), 1109 (2008). 

  35. M. Yamashita, Analysis of the mechanism for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the anti-rheumatic drug auranofin, Yakugaku Zasshi., 120(3), 265 (2000). 

  36. H. H. Leem, E. O. Kim, and S. W. Choi,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eugenol derivatives of clove(Eugenia caryophyllata Thunb.), J. Korean Sco. Food Sci. Nutr., 2011 (in print). 

  37. M. R. Kim, A. M. A. El-Aty, J. H. Choi, K. B. Lee, and J. H. Shim, Identification of volatile components in Angelica species using supercritical-CO2 fluid extraction and solid phase microextraction coupled to gas chromatography-mass spectometry, Biomed. Chromatogr., 20, 1267 (2006). 

  38. H. J. Park and M. Y. Choi, In vitro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paeonol from the essential oil and its derivative methylpaeonol, Kor. J. Pharmacogn., 36(2), 116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