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가를 위한 특집2 - 치과의사-노인환자 커뮤니케이션
Communication of dentists with geriatric dental patients 원문보기

大韓齒科醫師協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v.49 no.10, 2011년, pp.599 - 608  

강명신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정책관리학과 보건의료법윤리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ntist-patient communication has long been recognized as an important part of dental care. It has many positive outcomes, including reducing patient dental anxiety and increasing patient satisfaction and patient compliance. Above all, the need to communicate through conversation with dentist must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잠시 노인 치의학을 중심으로 미래 치의학을 보고 노인환자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생각을 짚고 넘어가려고 한다. 의료인력양성 및 훈련 정책은 인구역학을 기반으로 하며, 치과대학 교육에서 미래의 치과의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의 개발도 이에 따라야 한다.

가설 설정

  • - 치과의사는 나를 지지해준다.
  • 치과의사와 다른 의료분과 즉, 적어도 이비인후과와 종양내과, 종합병원 치과, 소아과, 노인의학등의 5개과에 일찍 노출시켜 교육을 받게 할 텐데, 특별히 병원환경과 노인환자의 경험이 이때 이루어질 것이다. 3) 미니-모듈로 구성된 교육과정을 통해 다양한학제간 경험을 쌓게 될 것이다. 유전적이상으로 발생한두경부이상이라든지, 악안면 보철, 악관절 이상, 안면손상환자의 재건수술, HIV 감염, 약물 남용, 심리사회-행동 이슈, 지역사회 예방 서비스 등을 학제간 교육으로 받게 될 것이다.
  • 4) 기술적 숙련도는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환자가 인식한다.

  • 둘째, 의사-환자의 관계에서 의사의온정적 간섭주의(paternalism)가 주가 되는 경우와환자의 자기결정권과 자율성 (patient autonomy) 이 존중되는 경우에 따라, 대화의 양상도 달라진다. 간섭주의 모델의 가정은, 의사는 환자에게 무엇이 좋은지 알고 있다는 것과, 환자 대신 의사가 환자에게 최선의 이익이 되도록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후자는정보제공 모형으로 의사는 환자에게 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환자가 대안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다.
  • 셋째, 구체적으로 노인치과환자와의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요소들을 몇 가지살펴본다. 넷째, 인폼드 컨센트 이슈에서 노인치과환자의 문제를 짚어볼 것이다. 다섯째, 대화 자체가 환자에게 주는 근본적인 의미를 살펴본다.
  • 치과문제에 대해서는 환자들이 수치와 공포를 동시에 느끼는 경우가많으니 대화에서도 참고할 필요가 있다. 둘째, 환자에대한 케어(care)와 컴패션(compassion)이다. 누군가가, 특히 전문가가 환자 본인의 고통을 알아주길 바란다.
  • 필요한 경우 환자의 가족이 읽어볼 내용을 적어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셋째, 질병에 대한 지배(mastery)와 컨트롤(control)이다. 의사에게 진료를 받고 의사가 권하는 대로 하면 무슨 방도가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갖길 원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Rozier RG, Horowitz AM, Podschun G. Dentist-patient communication techniques used in the United States: the results of a national study. JADA. 2011;142(5):518-530. 

  2. Jacquot J, Bauer J. Trust in the dentist-patient relationship: a review. The Journal of Young Investigators. 2005;12(6): 

  3. Chambers DW. The role of dentists in dentistry. Journal of Dental Education. 2001;65:1430-1440. 1)에 서 재인용. 

  4. Christensen GJ. The credibility of dentists. 2001;132:1163-1165. 

  5. Rouse RA, Hamilton MA. Dentists' technical competence, communication, and personality as predictors of dental patient anxiety.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1990;13(3):307-319. 서론의 문헌고찰 참고. 

  6. Corah NL. Development of a dental anxiety scale. Journal of Dental Research. 1969;48:596. 4)에서 재인용. 

  7. Spielberger CD. Gorsuch RL, Lushene RE. STAI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970. 4)에서 재인용. 

  8. Lee SJ, Nelson LP, Lin J et al. Today's dental student is training for tomorrow's elderly baby boomer. 2001;21(3): 95-97. 

  9. Hendricson WD, Cohen PA. Oral health care in the 21st century:implications for dental and medical education. Academic Medicine. 2001;76(12):1181-1206. 

  10. Geriatric syndromes: clinical, research, and policy implications of a core geriatric concept.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 Society. 2007;55:780-791. 

  11. Riley JL, Gilbert GH, Heft MW. Orofacial pain-related communication patterns: sex and residential setting differences among community-dwelling adults. Pain. 2002;99(3):415-422. 

  12. ter Horst G, de Wit CA. Review of bahavioral research in dentistry 1987-1992: dental aanxiety, dentist-patient relationship, compliance and dental attendance. International Dental journal. 1993;43(3 suppl 1):265-278. 

  13. Hultvall MM, Lundgren J, Gabre P. Factors of importance to maintaining regular dental care after a behavioral intervention for adults with dental fear: a qualitative study. Acta Odontologica Scandinavica. 2010;68:335-343. 

  14. 토머스머, 쿠시너 지음, 김완구 등 옮김. "노화", 탄생에서 죽음까지. 문예출판사. 2003:243-244. 

  15. Sheiham A, Steele JG, Marcenes W et al. Prevalence of impacts of dental and oral disorders and their effects on eating among older people; a national survey in Great Britain. Community Dentistry Oral Epidemiology. 2001;29(3):195-203. 

  16. Locker D. The burden of oral disorders in a population of older adults. Community Dental Health. 1992;9(2):109-124. 

  17. 조안 데스몬드, 래니 코플랜드 지음, 송정민 옮김. 진료시간 3분, 30분처럼 쓰기. 청년의사. 2009: 279-300. 

  18. Graves CE, portnoy EJ. Identifying hearing impairment among older adults. Journal of Dental Hygiene. 1991;65(3):138-142. 

  19. Bakke M, Larsen SL, Lautrup C et al. Orofacial function and oral health in patients with Parkinson' s disease. European Journal of Oral Science. 2011;119(1):27-32. 

  20. Rudd R, Horowitz AM. The role of health literacy in achieving oral health for elders. Journal of Dental Education. 2005;69(9):1018-1021. 

  21. 하워드 브로디 지음, 김성수, 백승완 옮김. 의학과 문학의 만남, 그리고 의료윤리와 힘. 보문각 2006. 80쪽. 

  22. Engel GL. How much longer must medicine's science be bound by a seventeenth century world view?. The Task of Medicine: Dialogue at Wickenburg, ed. by White KL. Kaiser Family Foundation. 1988. 

  23. Rozier RG, Horowitz AM, Podschun G. Dentistpatient communication techniques used in the United States: the results of a national study. JADA. 2011;142(5):518-530.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