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50인 미만 노인복지시설의 급식 현황 및 급식업무 종사자들의 위생지식 및 실천도 평가
Foodservice Management and Food Safety Knowledge and Practices of Employees in Elderly Welfare Facilities 원문보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17 no.3, 2011년, pp.287 - 301  

서선희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윤나라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foodservice management in elderly welfare facilities and evaluated food service workers' food safety practices and knowledge. For this, the directors of 20 elderly welfare facilities (each with fewer than 50 residents) located in Seoul were interviewed and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50인 미만 노인복지시설에 입소한 노인들에게 안전하고 위생적인 급식을 제공하기 위하여 50인 미만 노인복지시설의 급식업무와 위생관리 현황을 파악하고 급식업무 종사자의 위생관리 실천도와 위생지식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50인 미만 노인복지시설은 총 20개소였으며, 20개소의 급식소 모두 직영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 본 연구는 서울지역 50인 미만 노인복지시설 20개소의 급식업무와 위생관리 현황을 파악하고 20개소 노인복지시설에 근무하는 급식업무 종사자 40명을 대상으로 위생관리 실천도와 위생지식을 조사하여 위생관리 실천도와 위생지식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지금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노인 급식과 관련된 최근의 연구(Nam 등 2000; Chung 2000; Suh 등 2004; Chang 2008)들을 살펴보면 최근 들어 재가 노인 급식서비스에서의 위생관리에 관련한 연구(Yi 등 2009)가 수행되었지만 아직까지 입소노인을 위한 노인복지시설에서의 급식서비스나 위생관리에 대한 연구는 부재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50인 미만 노인복지시설 급식업무와 위생관리 현황을 파악하고 급식업무 종사자들의 위생관리 실천도와 위생지식을 평가하여 50인 미만 노인복지시설에 입소한 노인들의 급식 위생관리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고령 사회에 도달함에 따라 정부가 세운 대책은 무엇인가? 8%로 초고령 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Statistics Korea 2006). 노인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정부에서는 노인복지법 개정(2010) 및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의 제정(2007) 등 법령 개선 노력과 함께 2009년 노인복지 관련 예산을 10년 전에 비해 약 16.3배 정도 증가한 3조 1,259억 원으로 전체 보건복지부 예산의 16.2%를 책정하였다(보건복지부 2010a). 이에 2006년에 815개소였던 노인복지시설의 수가 2009년에는 1,642개소로 늘어나 지속적인 확충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시설에 입소한 노인 수 또한 40,589명에서 82,271명으로 2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노인 인구 수 증가에 따른 노인 인구를 수용할 노인 관련 복지 시설들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보건복지부 2010a). 노인복지시설과 노인 복지관련 사업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여 지자체에서는 노인요양 및 건강보장을 위한 재가노인복지사업, 치매상담센터 설치사업, 노후소득 및 여가활동 보장을 위한 노인일자리 사업, 경로당과 노인복지관 설치 ․ 운영 사업, 소외된 노인보호를 위한 사업인 노인돌봄서비스와 노인보호전문기관 설치 운영 사업, 결식 우려 노인 무료급식 지원 사업 등이 실시되고 있다(보건복지부 2010b).
우리나라가 빠른 속도로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우리나라는 생활수준의 향상과 의료기술 발달로 평균 수명이 늘어나고, 여성의 사회진출이 활발해짐에 따라 출산율이 저하되어 빠른 속도로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0년에 65세 이상 인구가 337만 명으로 총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7.
우리나라의 2000년에 65세 이상 인구는 몇 명인가? 최근 우리나라는 생활수준의 향상과 의료기술 발달로 평균 수명이 늘어나고, 여성의 사회진출이 활발해짐에 따라 출산율이 저하되어 빠른 속도로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0년에 65세 이상 인구가 337만 명으로 총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7.1%를 넘어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으며 2018년에는 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보건복지부 (2010a): 2009 보건복지백서. 문영사. 서울. pp.889-891 

  2. 보건복지부 (2010b): 노인보건복지사업안내. Available from: http://www.mw.go.kr. Accessed September 3, 2010 

  3. Chang HJ (2008): Strategies for the improvement of customer satisfaction on foodservice through identifying the foodservice quality factors in senior care facilities. Korean J Community Nutr 13(1):69-79 

  4. Chung MG (2000): A study on the status of the meal service program for the aged - the case of the free meal kitchens in Kyunggi province. Masters degree thesis. Kangnam University. pp.1-98 

  5. Han EH, Yang HS, Shon HS, Rho JO (2005): A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sanitary knowledge and practice level of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in Jeonju.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8):1210-1218 

  6. Hong WS, Yim JM, Choi YS (2008): Sanitary performance and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in Seoul. J Korean Diet Assoc 14(4):382-395 

  7. Kim GJ, Park SS (2008): A study on sanitation education and knowledge for each types of employees in food-service facility. J Foodservice Management 11(4):115-137 

  8. Kim JG (2004): Studies on the food hygiene & safety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of kitchen employees in school food-service programs-part 1. Korean J Environ Health 30(2):173-183 

  9. Kim SH (2009): Evaluation of sanitation knowledge and sanitary managing performance among hospital foodservice dieticians and cooks in Chonnam. Masters degree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p.41-46 

  10. Kim SO, Oh MS (2005): Sanitary management performance and knowledge of employees in hospital food service. J Korean Home Econo Assoc 43(11):127-140 

  11. Kim WY, Yang EJ, Won HS (1997): Management of foodservice and health care in long-term care in Korea. Korean J Dietary Culture 12(3):331-339 

  12. Lee KE, Ryu K (2004): Influence of school food service employees' food safety training on food safety knowledge and practices. Korean J Community Nutr 9(5):597-604 

  13. Lee KE, Yi NY, Park JY (2009): Food safety knowledge and home food safety practices of home-delivered meal service recipi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5):618-625 

  14. Lee KM (2008): Analyzing the current management practice of elderly foodservice program in Jeju. Masters degree thesis. Cheju National University. pp.25 

  15. Lee YE (2006):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practice of sanitation training program at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in Chungbuk province. J Korean Diet Assoc 12(1):68-81 

  16. Lee YJ (2003): A comparative study on sanitary practices and perception of employees in elementary school, hospital and industry food service in the Inchon area. J Korean Diet Assoc 9(1):22-31 

  17. McCabe-Sellers BJ, Beattie SE (2004): Food safety: emerging trends in foodborne illness surveillance and prevention. J Am Diet Assoc 104:1708-1717 

  18. Nam HW, Lee YM, Myung CO, Lee KW, Park YS (2000):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oward free congregate meal service. Korean J Community Nutr 5(1):74-82 

  19. Park HS, Lee KM, Seol HR, Park KH, Ryu K (2009): Evaluation of foodservice managers perception on safety management in child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Korean J Community Nutr 14(1):87-99 

  20. Park SH (2007):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food hygiene education for food handlers in restaurant operations. Masters degree thesis. Younsei University. pp.95-110 

  21. Rho JO, Lee EP, Lee JS (2009): Assessment of food service management practices in child care centers operated by various types of foundations in the Chonbuk area of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1):74-83 

  22. Ryu K (2009): Development of food safety manual and education contents for foodborne illness prevention in foodservice operations. Report of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pp.105-109. 

  23. Statistics Korea (2006):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Accessed September 3, 2010 

  24. Song ES, Kim EG (2009): A survey on the foodservice management system of the child care centers in Chungnam Asan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4(6):846-860 

  25. Song IS (2007): The analysis of the school foodserive employees' knowledge and performance degree in HACCP system. Masters degree thesis. Cheju National University. pp.44-58 

  26. Suh HJ, Lee YN, Jang YA, Kim BH, Lee HS, Kim CI (2004): Current status and management of congregate meal service program for the elderly at community centers. J Korean Diet Assoc 10(3):333-344 

  27. Yang IS, Lee JM, Chai IS, Yoon G (1996): Foodservice management systems at elder-care sites for the improvement of elderly welfare policies in Korea. Korean J Nutr 29(7): 830-838 

  28. Yang JW (2008): Survey on the current condition of meal service environment and kitchen facilities in cafeteria of the Korean elderly welfare center. Masters degree thesis. Chung-Ang University. pp.26-27 

  29. Yi NY, Lee KE, Park JY (2009): Evaluation of foodservice worker's food safety knowledge and practices at senior welfare centers. Korean J Food Cookery Sci 25(6):677-689 

  30. Yun HM (2008): Influence of hygienic knowledges and eating habits of housewives on degrees of hygienic performance. Masters degree thesis. Kosin University. pp.53-5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