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 급식소의 위생관리 실태 조사 및 방문지도에 따른 위생관리 개선 효과 분석
The Assessment of Food Safety Practices and the Effect of Visiting Education on Food Safety Improvement in Children's Foodservice Facilities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1 no.6, 2015년, pp.764 - 772  

백재은 (부천대학교 식품영양과) ,  이현아 (부천시 제2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  배현주 (대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어린이 급식소의 위생 안전관리 실태를 조사하고, 경기 남부지역 소재 총 102개소의 어린이 급식소를 대상으로 1년 동안 순회방문지도를 실시한 결과 위생 안전관리 수준이 어느 정도 개선되었는지를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평가 대상 급식소는 어린이집이 84.3%, 유치원과 지역아동센터가 각각 7.8%였다. 그리고 운영주체는 민간이 70.6%, 국공립이 19.6%, 법인이 9.8%였다. 급식 원아수는 50명 미만이 46.1%, 50명 이상 100명 미만인 곳이 53.9%였다. 위생 안전관리 실태 평가 결과 총점은 평균 84.09점이었고, 위생 안전관리 평가 총점은 급식소 구분에 따라서는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비해 지역아동센터의 평가 점수가 유의적으로 낮았다(p<0.01). 또한 급식소 운영주체에 따라서는 국공립으로 운영하는 곳이 민간에서 운영하는 곳에 비해 위생 안전관리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01). 그리고, 급식 원아수가 50명 이상인 경우가 50명 미만인 경우에 비해 위생 안전관리 총점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1). 한편, 위생 안전관리 수행도가 90% 이상 되는 항목은 전체의 41.0%, 수행도가 60%미만인 항목은 전체의 15.4%였다. 이 중 수행도가 가장 낮은 항목은 '채소와 과일의 세척 소독 실시'(26.5%)였다. 또한 순회방문지도 평가 회차에 따른 위생 안전관리 평가 총점의 차이 분석을 실시한 결과 1, 2회차 때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다가 3회차에서는 1, 2회차에 비해 평가 점수가 유의적으로 상승하였다. 그리고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 위생 안전관리 총점은 급식소 구 분(F=21.730, p<0.001)과 순회방문지도 회차(F=7.968, p<0.001)에 따라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고, 급식소 운영주체(F=31.387, p<0.001)와 순회방문지도 회차(F=7.507, p<0.001)에 따라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또한 급식 원아수(F=17.133, p<0.001)와 순회방문지도 회차(F=17.065, p<0.001)에 따라서도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이 결과를 종합해볼 때 어린이 급식관리지원센터의 순회방문지도는 어린이 급식소의 위생 안전관리 수행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데 기여했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food safety management practices at children's foodservice facilities and evaluate the effect of visiting education by Center for Child-care Foodservice Management (CCFSM) for food safety improvement. The subjects of evaluation included child care centers (84....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어린이 급식관리지원센터에서 등록· 관리하고 있는 경기 일부 지역의 어린이 급식소를 대상으로 위생·안전관리 실태를 조사하고, 1년 동안 순회방문 지도를 통해 위생·안전관리가 각 영역별로, 급식소의 운영특성별로 어느 정도 개선되었는지를 비교·분석하여 어린이 급식관리지원센터 순회방문지도의 효과를 평가해보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어린이 급식소의 위생·안전관리 실태를 조사하고, 경기 남부지역 소재 총 102개소의 어린이 급식소를 대상으로 1년 동안 순회방문지도를 실시한 결과 위생· 안전관리 수준이 어느 정도 개선되었는지를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1)Mean: The total food safety management score is 100 point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녀 양육이 사회적 문제로 커진 원인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증가와 더불어 가족구조의 핵가족화 등으로 인해 자녀 양육이 가정에서만 해결할 수 없는 사회문제로 확대되었을 뿐만 아니라 저출산 시대에 대응하여 자녀의 양육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관련 부처에서는 아동보육시설 확대와 환경개선 사업을 정책적으로 지원해왔고 그 결과 전국적으로 어린이집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Lee MS 등 2006, Bae HJ 등 2009, Park HS 등 2009).
보육통계에 조사한 2004년과 비교한 2014년 어린이집의 수는? 보육통계(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에 따르면 전국의 어린이집 수는 2014년 기준으로 43,742개소로, 10년 전 2004년 기준으로 26,903개소였던 것에 비해 약 1.6배 증가하였다. 또한 어린이집 이용 아동 수도 2014년 기준으로 1,496,671명으로, 2004년 기준으로 전국적으로 930,252명이었던 것에 비해 60.
어린이 급식소의 질적 성장이 낮은 이유는? 반일제, 종일제 등으로 운영되고 있는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서는 시설의 어린이들에게 간식과 급식을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어린이는 면역 체계가 약해 감염성 질환에 대한 감수성이 다른 연령층에 비해 높고 신체 성장발육이 왕성하므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급식의 품질관리는 매우 중요하나 어린이 급식소의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성장은 미흡한 실정이다(Lee YM & Oh YJ 2005). 선행 연구(Lee MS 등 2006, Chang HJ 등 2008, Bae HJ 등 2009) 결과에 의하면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급식의 문제점은 비전문가에 의한 식단관리, 식당시설의 미확보, 영양사의 낮은 배치율, 교차오염 방지 시설 부족, 조리실 및 식품보관실의 온·습도 관리 미흡 등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ae HJ, Lee HY, Ryu K. 2009. Field assessment of food safety management at preschool foodservice establishments. Korean J Food Cook Sci 25(3):283-296 

  2. Chang HJ, Park YJ, Ko ES. 2008. Current and future foodservice management performance in child-care centers. Korean J Diet Assoc 14(3):229-242 

  3. Jeong YH, Chae YH, Yang IS, Kim HY, Lee HY. 2013. Analysis of relative importance of key performance indicators for center for child-care foodservice management through analytic hierarchy process. Korean J Community Nutr 18(2):154-164 

  4. Jo CY, Kim JH, Han JS. 2015. Study on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for preschool children in association with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child care facilities and hom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5(2):372-385 

  5. Kim HY, Yang IS, Chae IS, Yi BS, Park MK, Kim HY, Kang TS, Leem DG, Lee JH, Lee HY. 2013. Effectiveness of center for child-care foodservice management for menu management and dietary variety. Korean J Community Nutr 18(3): 243-256 

  6. Kim JA, Lee YM. 2014. The effect of a periodic visiting education program on food safety knowledge of cooks in children's foodservice facilities. J Korean Diet Assoc 20(1):36-49 

  7. Kim SH, Oh EY, Han JS. 2014. Effects of food safety management support of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on foodservice facilities for children in Busan a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4(2):261-274 

  8. Kim SY, Yang IS, Yi BS, Baek SH, Shin SY, Lee HY, Park MK, Kim YS. 2011. Child-care facility and kindergarten's demands on foodservice support by center for child-care foodservice management in Seoul and Gyeonggido. Korean J Community Nutr 16(6):730-739 

  9. Lee MS, Lee JY, Yoon SH. 2006. Assessment of foodservice management performance at child care centers. Korean J Community Nutr 11(2):229-239 

  10. Lee YM, Oh YJ. 2005. Parents' perception and attitudes to the school meal service program (SMSP) in kindergarten. Korean J Community Nutr 10(2): 141-150 

  1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Child care statistics. Available from: http://stat.mw.go.kr/stat/data/cm_data_view.jsp?menu_codeMN01020602&cont_seq18457&page1&search_key&search_word. Accessed October 30, 2015 

  12.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4. Detailed operating guideline for CCFSM in 2014. Available from: http://ccfsm.foodnara.go.kr/home/?menuno164. Accessed October 30, 2015 

  1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5. Plan of central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http://www.mfds.go.kr/index.do?mid675&seq29825. Accessed December 17, 2015 

  14. Park EH, Lee YE. 2015.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employees' perception of difficulties in performing task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4):619-634 

  15. Park HS, Lee KM, Seol HR, Park KH, Ryu K. 2009. Evaluation of foodservice managers' perception on safety management in child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Korean J Community Nutr 14(1):87-9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