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의 채소편식 감소와 정서지능 향상을 위한 컬러푸드 원예활동
Horticultural Activities Using Colorful Food for the Improve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Reduction of Unbalanced Vegetable Diet of Young Children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33 no.5, 2015년, pp.772 - 783  

손효정 (건국대학교 농축대학원 원예치료학과) ,  송종은 (건국대학교 농축대학원 원예치료학과) ,  손기철 (건국대학교 보건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컬러푸드 채소류를 활용한 원예활동과 영양교육을 실시하여 채소편식을 감소시키고 정서지능을 향상 시키고자 하였다. 컬러푸드 채소류 원예활동은 유치원 7차 교육과정의 건강생활영역을 기초로 하여 영양교육의 요소들을 적용하였고, 유아의 지속적인 식습관의 개선과 효과를 위해 가정과 연계한 학부모교육 프로그램을 통합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만 4세반 유아들로 총 7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원예활동 영양교육군은 컬러푸드 채소류 원예활동과 영양교육을 실시하였고, 영양교육군은 영양교육만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은 원예활동과 영양교육 모두를 실시하지 않았다. 연구기간은 2011년 9월부터 12월까지 주 1회 60분씩 총 12회 실시하였다. 유아용 영양지식검사 결과는 대조군에 비해 영양교육군과 원예활동 영양교육군의 영양지식은 향상되었으며, 특히 원예활동 영양교육군에서 더욱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편식행동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원예활동 영양교육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또한 채소선호도에서도 원예활동 영양교육군은 채소류의 선호도 증가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정서지능에서는 하위항목인 자기인식, 자기조절, 타인인식, 타인조절에서 자기인식과 타인인식에서는 대조군, 영양교육군과 원예활동 영양교육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반면 자기조절에서 대조군에 비해 영양교육군과 원예활동 영양교육군의 점수가 높았지만, 영양교육군과 원예활동 영양교육군의 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타인조절에서는 원예활동 영양교육군이 영양교육군 보다 매우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영양교육만을 실시한 유아들 보다 원예활동을 실시한 유아들이 채소와 과일의 색에 자연스럽게 반응하고 즐거워하는 정서적 감성과 컬러푸드 채소를 직접 키워보는 원예활동을 통해 자발적인 섭취를 하게 되어 채소편식이 감소되는 결과를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연구의 컬러푸드 채소류 원예활동은 채소 편식으로 인한 유아의 건강의 불균형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ocuses on horticultural activities using colorful food to reduce diets unbalanced in vegetables and to increase emotional intelligence. Horticultural activities using colorful food vegetables were based on 'Health in Daily Life' in the '7th Kindergarten Curriculum'; to improve the diet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컬러푸드의 개념을 원예활동에 도입하여 유아들에게 채소 색깔에 대한 흥미유발와 정서 향상에 도움을 주는 원예활동을 실시하였으며, 각 컬러별 채소와 과일에 대한 영양교육을 동시에 실시함으로써 통합적 원예활동을 시도하였다. 더불어 학부모 교육과 식생활 실천활동을 통하여 가정과 연계한 컬러푸드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유아들의 정서지능 향상과 채소편식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컬러푸드의 개념을 원예활동에 도입하여 유아들에게 채소 색깔에 대한 흥미유발와 정서 향상에 도움을 주는 원예활동을 실시하였으며, 각 컬러별 채소와 과일에 대한 영양교육을 동시에 실시함으로써 통합적 원예활동을 시도하였다. 더불어 학부모 교육과 식생활 실천활동을 통하여 가정과 연계한 컬러푸드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유아들의 정서지능 향상과 채소편식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들이 채소를 싫어하는 이유는? 유아들이 채소를 싫어하는 이유들을 살펴보면 질감, 딱딱한 음식, 색깔 그리고 먹어보지 않았기 때문으로 나타나고 있다(Park, 2000; Yang et al., 1993).
유아의 식습관 개선은 어떤 방법이 효과적인가? 그러므로 유아의 식습관 개선을 위해서는 부모의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가 함께 이루어져야만 효과를 볼 수 있다(Moon, 1991). 유아의 식습관 개선은 이론 중심의 강의식 영양교육 보다 직접 경험을 통한 체험학습의 활동교육이 더욱 효과적라고 하였다(Byrne and Nitzke, 2002). 텃밭을 이용한 원예활동 체험은 유아들에게 채소를 직접 가꾸고 수확하는 경험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수확한 채소를 활용한 요리활동을 통해 신선한 채소가 지닌 자연의 맛을 느끼게 함으로써 식습관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Lineberger and Zajicek, 2000, Park and Huh, 2009).
칼라푸드 운동은 어떤 운동인가? 이러한 유아들의 채소 편식을 없애기 위해 최근 5가지 색의 채소와 과일을 섭취해서 더 건강해지자는 칼라푸드 운동이 확대되고 있다. 이는 항암효과가 있는 다섯가지 색의 분류 기준을 둔 채소와 과일을 섭취해서 더 건강해지자는 운동이다(Kim, 2011). 유아 들은 채소와 과일이 가지는 다양한 색채로 인해 자연스럽게 색채에 반응하고 즐거워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0)

  1. An, H.S. and H.J. Im. 1994. Nutrition awareness of the infancy children and relevant factor analysis nutrition recognition evaluation and the degree of participation eating. J. Korean Food Cult. 9:311-321. 

  2. Birch, L.L. and J.O. Fisher. 1997. Food intake regulation in children: fat and sugar substitutes and intake. Ann. N. Y. Acad. Sci. 819:194-220. 

  3. Briggs, M., S. Safaii, and D.L. Beall. 2003. Position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society for nutrition education, and American school food service association-nutrition services: an essential component of comprehensive school health programs. J. Am. Diet. Assoc. 103:505-514. 

  4. Brown, J.E., J.S. Isaacs, U.B. Krinke, M.A. Murtaugh, C. Sharbaugh, J. Stang, and N.H. Wooldridge. 2008. Nutrition trough the life cycle (3th ed). Thomason Wadsworth, CA. 

  5. Byne, E. and S. Nitzke. 2002. Preschool children's acceptance of a novel vegetable following exposure to messages in a storybook. J. Nutr. Educ. Behav. 34:211-214. 

  6. Chae, I.S. 1993. The development and effect-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for preschool children and day-care providers in child care centers. MS Thesis, Yonsei Univ., Seoul, Korea. 

  7. Choi, M.J. 2002. The effect of an unbalanced diet intervention by cooking program for young children with multiple disabilities. MS Thesis, Dankuk Univ., Cheonan, Korea. 

  8. Choi, M.J and Y.S. Jung. 2006. The status of eating habits and nutrient intakes of preschool children in Kyungjoo. Korean J. Community Nutr. 11:3-13. 

  9. Choi, M.S. 2007. A study on color preference according to gender of a child: focused in the 5-7 year old children in Seoul. MS Thesis, Kyunghee Univ., Seoul, Korea. 

  10. Choi, Y.A. and K.C. Son. 1999. Development and its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for children. Kor. J. Hort. Sci. Technol. 17(Suppl 1):623. (Abstr.) 

  11. Gang, S.J. and C.K. Song. 2010. Jeju revitalize agriculture using five agricultural food crops around five basic research focused on. Jeju Dev. Inst. 6:1-10. 

  12. Gillespie, A.H. 1981. A theorietical framework for studying school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J. Nutr. Educ. 13:150-152. 

  13. Goleman, D. 1995. Emotional intelligence. Bantam Books, NY. 

  14. Gottman, J.M. and L.F. Katz. 1989. Effects of marital discord on young children's peer interaction and health. Dev. Psychol. 25:378-382. 

  15. Hughes, R., B.A. Tingle, and D.B. Sawin. 1981. Development of empathic understanding in children. Child Dev. 52:122-128. 

  16. Jeon, J.Y. 2007. Study on the expansion of the traditional five color food. MS Thesis, Sukmyeong Univ., Seoul, Korea. 

  17. Kim, J. 1984. Children and art education. p. 80. Iljisa, Korea. 

  18. Kim, H.S. 2011. Development of cooking exercise program for elementary reactive activities curriculum. J. Kor. Practical Arts Educ. 24:205-223. 

  19. Kim, K.O. and O.H. Shim. 1995. Eating behaviors and physical development, cognitive abilities and study on the association between hyperactivity. J. Kor. Soc. Diet. Cult. 10(4):255-263. 

  20. Kim, S.S., S.A. Park, and K.C. Son. 2014. Improving peer rela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a school gardening program. HortTechnology 24:181-187. 

  21. Koch, S., T.M. Waliczek, and J.M. Zajicek. 2006. The effect of a summet garden program on the nutritional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of children. HortTechnology 16:620-625. 

  22. Korean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9.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ir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2). 

  23. Lee, B.R. 1997. The relation between parent's psychological attitudes and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PhD Diss., Chung-ang Univ., Seoul, Korea. 

  24. Lee, E.S. 2005. Effect of horticultural activity on the improvement of dietary habi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MS Thesis, Seoul National Education Univ., Seoul, Korea. 

  25. Lee, H.J. and J.H. Chun. 1989.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ood habits, food preferences and personality traits of children. J. Kor. Home Econ. Assn. 27:85-95. 

  26. Lee, J.C. 2012. Improvement of yo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scientific exploration ability according to surrounding environment and gardening environment of kindergartens. MS Thesis, Konkuk Univ., Seoul, Korea. 

  27. Lee, M.S. 2003.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f elementary students on social develop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MS Thesis, Kyunghee Univ., Seoul, Korea. 

  28. Lee, S.Y., S.O. Lee, H.Y. Min, Y.M. Lee, Y.J. Han, Y.E. Jan, N.A. Chio, J.H. Kim, J.K. Kim, and H.S. Jeong. 2008. Health education of infants and toddlers. Hakjisa, Korea. 

  29. Lineberger, S.E. and J.M. Zajicek. 2000. School gardens. Can a hands-on teaching tool affect students' attitudes and behaviors regarding fruit and vegetables. HortTechnology 10:593-597. 

  30. Mayer, J.D. and P. Salovey, 1996. '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al Implications. p. 3-34. New York Basic Books. 

  3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Revision of dietary guidelines for Koreans - infants, children, and adolescents. http://www.mw.go.kr/front_new/jb/sjb030301vw. 

  32. McAleese, J.D. and L.L. Rankin. 2007. Garden-based nutrition education affects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in sixth-grade adolescents. J. Am. Diet. Assoc. 107:662-665. 

  33. Moon, S.J. 1991. Infancy nutirition, eating habits. Suhaksa, Korea. 

  34. Moore, R.C. 1996. Compact nature: The role of playing and learning garden on chilren's lives. J. Ther. Hortic. 8:72-82. 

  35. Morgan, B. 1993. Growing together: activities to use your horticulture and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for children. Pittsburgh Civic Garden Center, Pittsburgh, USA. 

  36. Morris, J.L., K.L. Koumjian, M. Briggs, and S. Zidenberg-Cherr. 2002. Nutrition to Grow On: A garden-enhanced nutrition education curriculum for upper-elementary school children. J. Nutr. Educ. Behav. 34:175-176. 

  37. Nelms, M.N. 1997. Influential factors of caregiver behavior at mealtime: A study of 24 child-care programs. J. Am. Diet. Assoc. 97:505-509. 

  38. Nicklas, T. and R. Johnson. 2004. Position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Dietary guidelines for healthy children ages 2 to 11 years. J. Am. Diet. Assoc. 104:660-677. 

  39. Oh, Y.J. and Y.G. Jang. 2006. Research about unbalanced diet parents attitude and status unbalanced diet of the infant. Korean J. Nutr. 39:184-191. 

  40. Park, H.S. and S.H. An. 2003. Eating habits and social behavior in korean preschool children. Korean J. Nutr. 36:298-305. 

  41. Park, I.H., S.H. Kim, and S.M. Moo. 1996. Principles of nutrition and diet. Press of Ewha Univ., Seoul, Korea. 

  42. Park, J.S. 200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connected with families and communities. PhD Diss., Duksung Women's Univ., Seoul, Korea. 

  43. Park, M.Y., K.S. Lee, and S.J. Park. 2010. Power food-Super food. Blue Happy. Korea. 

  44. Park, S.A., A.Y. Lee, K.S. Lee, and K.C. Son. 2014. Comparison of the metabolic costs of gardening and common physical activities in children. Kor. J. Hort. Sci. Technol. 32:123-128. 

  45. Park. S.H. and M.R. Huh. 2009. Effect of a horticultural program with nutrition emphasis on preschool children to promote healthy eating habits. Kor. J. Hort. Sci. Technol. 27:497-502. 

  46. Park, S.J. 2000.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especially focused on being familiar with vegetables. J. Korean Diet. Assoc. 6:17-25. 

  47. Park, S.Y. 2010. Elements affecting preference for vegetable side dishes in toddlers in Kyung-Bok Province. MS Thesis, Keimyung Univ., Daegu, Korea. 

  48. Piaget, J. 1952. The origins of intelligence in children. p.357-419.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Oxford England. 

  49. Powers, A.R., B.J. Struempler, A. Guarino, and S.M. Parmer. 2005. Effect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n the dietary behavior and nutrition knowledge of second-grade and thirdgrade students. J. Sch. Health 75:129-133. 

  50. Ryou, H.J. 2007.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ooking activities on the children's nutrition knowledge and food habit. MS Thesis, Chung-ang Univ., Seoul, Korea. 

  51. Shin, E.G. and Y.Y. Lee. 2005. Evaluation and menu development through dietary habits and food preference of the child care infants. J. Korean Soc. Diet. Cult. 20:1-14. 

  52. Shin, G.Y., Y.Y. Yoo, and H.S. Park. 2005. The study about eating habits and physical development of the children in the preschool. Korean J. Nutr. 38:455-464. 

  53. Shin, E.K., H.S. Lee, and Y.K. Lee. 2004.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in obese children and their parents: focus on nutrition knowledge, eating behaviors, food habit and nutrient intakes. Korean J. Community Nutr. 9:578-588. 

  54. Son, K.C., M.K. Cho, J.E. Song, S.Y. Kim, and S.S. Lee. 2006. Practice of professional horticultural therapy. Kubook, Seoul. 

  55. Son, B.G. 2006. Nursery children's nutritional status and nutrition knowledge in some of Ulsan area. MS Thesis, Ulsan Univ., Ulsan, Korea. 

  56. Song, B.G. 2010. A study on the effect of home education programs for correcting unbalanced vegetable diet. M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 Seoul, Korea. 

  57. Stauss, R.S. and H.A. Pollack. 2001. Epidemic increase in childhood overweight, 1986-1998. JAMA. 286:2845-2848. 

  58. Yang, L.S. and E.G. Kim. 1997. Nutrition education for infant. Daumsedae Press, Seoul. 

  59. Yang, I.S, E.K. Kim, Y.H. Bae, S.J. Lee, and H.J. An. 1993. Evelopmen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hat promotes eating behavior of preschool children - especially focused on being familiar with vegetable. J. Korean Soc. Diet. Cult. 8:125-137. 

  60. Yoo, J.Y. and H.J. Kim. 2012. A study on the preference and acceptance of vegetables in menus for primary school students. J. Table Food Coord. 7:1-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