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보건소 금연클리닉 6개월 금연성공자의 금연지속 실패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Failure in The Continuity of Smoking Cessation Among 6 Month's Smoking Cessation Succeses in the Smoking Cessation Clinic of Public Health Center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3 no.10, 2012년, pp.4653 - 4659  

최현순 (밀양시 보건소) ,  손혜숙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김윤희 (부경대학교 간호학과) ,  이명진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보건소 금연클리닉의 6개월 금연성공자의 금연지속 실패와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는 6개월 금연성공자 347명으로부터 보건소 금연클리닉 등록카드와 전화설문 조사를 통하여 수집되었으며, 생명표법과 Cox-proportional hazard model로 분석하였다. 금연지속 실패와 관련된 요인은 주거지가 읍 면인 경우(HR 2.50, 95% CI 1.69-3.68), 만성질환이 없는 경우(HR 1.92, 95% CI 1.21-3.04), 동거가족 흡연자가 없는 경우(HR 1.93, 95% CI 1.21-3.09) 금연보조제를 사용한 경우(HR 2.17, 95% CI 1.01-4.68)로 나타났다. 누적 금연지속 실패율은 6개월까지가 28.6%, 24개월은 36.1%로 나타났다. 이에 보건소 금연클리닉은 금연성공 및 금연 지속률을 높이기 위하여 대상자의 금연의지를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중재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related failure in continuity of smoking cessation among persons who were initially successful in quitting smoking for at least 6 months in smoking cessation clinic of public health center. Data were collected with the telephone questionnaire sur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보건소 금연클리닉 6개월 금연성공자의 금연지속 실패요인을 규명하여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효과적인 금연중재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금연지속 실패와 관련된 요인은 주거지가 읍 · 면인 경우, 만성질환이 없는 경우, 동거가족 흡연자가 없는 경우, 금연보조제를 사용한 경우로 나타났으며 누적 금연지속 실패율은 6개월까지가 28.
  • 본 연구는 보건소 금연클리닉에서 6개월 금연성공자를 대상으로 금연지속 실패와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보건소 금연클리닉의 6개월 금연성공자를 대상으로 금연지속 실패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는 도농복합도시의 금연클리닉 6개월 금연성공자를 대상으로 금연이 얼마나 지속되는지, 금연지속 실패와 관련된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함으로써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효과적인 금연중재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보건소 금연클리닉의 실제적인 흡연율 감소에 기여하고자 수행되었다.
  • 금연은 한 번의 성공으로 지속되지 않으므로 금연지속의 실패 즉 재흡연의 시기와 관련요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시기에 관련요인에 근거한 선택적 개입이 금연클리닉을 통한 흡연율 감소의 효과를 최대화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건소 금연클리닉 6개월 금연성공자를 대상으로 금연 성공 이후의 흡연상태를 6개월 이상 추적하여 금연지속 실패와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여, 6개월 금연성공자가 금연을 장기적으로 지속 유지하는데 필요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건강행위 특성 및 흡연 및 금연관련 특성은 대상자가 금연클리닉에 등록당시에 작성한 등록카드를 바탕으로 전산 입력된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금연지속실패 여부와 금연지속 기간은 2010년 1월부터 3월까지 전화설문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전화설문시 연구결과는 연구목적으로만 활용될 것이라는 설명을 충분히 하여 동의를 구하였고 연구에 참여하지 않아도 대상자에게 불이익이 없음을 설명하였으며 대상자의 이름은 부호화하여 입력하여 개인 정보는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연구의 윤리성을 확보하고자 노력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건소 금연클리닉의 목표는 무엇인가? 보건소 금연클리닉의 목표는 지역사회 흡연자를 대상으로 상담 및 금연지원 서비스를 제공하여 금연 실천율을 높여 흡연율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금연클리닉 등록자의 약 40%가 6개월간 금연에 성공하는 것으로 나타나[4] 금연클리닉은 일차적인 목표를 달성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흡연자 금연지원 정책의 궁극적 목표가 흡연자의 평생금연임을 고려해 볼 때 금연클리닉 6개월 금연성공자가 얼마나 오랫동안 금연을 지속하는지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보건소 금연클리닉 6개월 금연성공자의 금연지속 실패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보건소 금연클리닉 6개월 금연성공자의 금연지속 실패요인을 규명하여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효과적인 금연중재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금연지속 실패와 관련된 요인은 주거지가 읍·면인 경우, 만성질환이 없는 경우, 동거가족 흡연자가 없는 경우, 금연보조제를 사용한 경우로 나타났으며 누적 금연지속 실패율은 6개월까지가 28.6%, 24개월은 36.1%로 나타났다. 금연사업 대상지역이 도농복합지역인 경우에는 금연지속을 위해 개입 시 동과 읍·면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며, 만성질환관리 사업과 금연클리닉 사업의 연계가 사업의 효과 및 효율성을 높일 것으로 사료된다.
2005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한국의 금연정책은 무엇인가? 한국의 금연정책은 1995년 국민 건강증진법 제정과 함께 금연구역을 설정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2005년부터 전국의 모든 보건소에서 금연클리닉이 운영오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history of the WHO Framework Convention on Tobacco Control", Retrieved Oct 10, 2011 from http://www.who.int/fctc/about/history/en/ , 2009. 

  2. Kim, S. J., & Kwon, S. M., "The social cost of smoking in Korea", Korean Journal of Policy Analysis and Evaluation, 18(4), pp. 119-140, 2008.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National tobacco control and smoking cessation program guideline, Seoul, 2010. 

  4. Song, T. M., "Changes in smoking rates of male adults in Korea and smoking cessation policy: Focus on smoking cessation clinics", Health Welfare Policy forum, 3, pp. 55-63, 2011. 

  5. Son, H. K., Jung, U. Y., Park, K. S., Kam, S., Park, S. K., & Lee, W. K., "The factors implicated when an individual starts to smoke again after a 6 Month cessatio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42(1), pp. 42-48, 2009. 

  6. Kim, M. J., & Jung, I. S., "Smoking relapse and related factors within one year among successes of the smoking cessation clinics of public health centers",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44(2), pp. 84-92, 2011. 

  7.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ommunity health survey", Seoul, 2009. 

  8. Heatherton, T. F., Kozlowski, L. T., Frecker, R. C., "The fagerstrom test for nicotine dependence: A revision of the fagerstrom tolerance questionnaire", British Journal of Addiction, 86(9), pp. 1119-1127, 1991. 

  9. Piasecki, T. M., "Relapse to smoking", Clinical Psychology Review, 26(2), pp. 196-215, 2006 

  10.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Death statistics", Retrieved Oct 10, 2011 from http://kosis.kr/gen_etl/start.jsp?orgId101&tblIdDT_1B34E07&conn_pathI2&pathNSI 

  11. Roh, S. Y., & Yoon, S. W., "A forecasting model for prospective 5-year medical expenditure and benefit expense of Medical Aid program, Korean Association of Public Policy, 10(1), pp. 61-87, 2008. 

  12. Kim, C. H., & Seo, H. G.,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 of smoking cessation at smoking-cessation clinic",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2(11), pp. 1603-1611, 2001. 

  13. Sim, J. Y., Han, N. Y., Cheong, Y. S., Yoo, S. M., & Park, E. W.,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 of smoking cessation at smoking-cessation clinic",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3(3), pp. 325-333, 2002. 

  14. Kirscht, J. P., Brock, B. M., & Hawthorne, V. M., "Cigarette smoking and changes in smoking among a Cohort of Michigan Adult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77(4), pp. 501-502, 1987. 

  15. Yoo, S. H.,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hort term success of smoking-cessation at public health centers smoking-cessation clinic",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06. 

  16. Gu, G. H.,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moking cessation in the public health cent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2006. 

  17. Kim, E. Y.,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ful smoking cess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006. 

  18. Moon, K. O., "Contributing factors to quit smoking at smoking-cessation clinic in public health center of Jeonnam provi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2007. 

  19. Lee, J. S., Kang, S. M., Kim, H. J., Lee, K. Y., Cho, B., & Goh, E., "Long-term maintenance of smoking cessation and related factors of relap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30(3), pp. 203-209, 2009 

  20. Kim, S . O., "Predictive factors of tobacco cessation behavi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8(3), pp. 231-239, 2009. 

  21. Krall, E. A., Garvey, A. J., & Garcia, R. I., "Smoking relapse after 2 years of abstinence :findings from the VA Normative Aging Study", Nicotine & Tobacco Research, 4, PP. 95-100,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