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비수리(Lespedeza cuneata G. Don)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분획된 용매분획물의 항산화활성과 α-Glucosidase 저해활성
Antioxidant and α-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ies of Solvent Fractions from Methanolic Extract of Sericea Lespedeza (Lespedeza cuneata G. Do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11, 2012년, pp.1508 - 1514  

김현영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고지연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송석보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김정인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서혜인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이재생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곽도연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정태욱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김기영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오인석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정헌상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우관식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비수리의 식품학적 이용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항산화성분항산화활성, superoxide dismutase 유사활성,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 등에 대해 검토하였다. 비수리 메탄올 추출물과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및 물 분획 등 순차적 용매분획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12.44, 3.61, 6.39, 27.11, 20.00 및 9.32 mg GAE/g extract residue(ER)로 나타났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94, 9.92, 7.77, 9.27, 5.11 및 2.66 mg CE/g ER, 총 탄닌 함량은 각각 8.75, 10.04, 7.42, 17.32, 11.65 및 7.61 mg TAE/g ER, 총 프로안토시아니딘의 함량은 346.09, 63.50, 103.76, 288.62, 231.99 및 $358.48{\mu}g$ CE/g ER로 나타났다. 비수리 메탄올 추출물과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및 물 분획물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각각 20.62, 5.16, 9.29, 20.80, 20.00 및 20.79 mg TE/g ER,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각각 33.86, 9.24, 17.36, 33.76, 33.49 및 33.86 mg TE/g ER로 나타났다. SOD 유사활성은 각각 4.12, 0.61, 2.01, 9.89, 13.47 및 11.82 unit/mL의 활성을 보여 butanol 분획과 물 분획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은 물 분획 50 및 $25{\mu}g/mL$에서 각각 93.85 및 61.64%로 높은 저해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비수리 추출물은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 SOD 유사활성,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을 가지는 물질을 함유한 것으로 보이며, 체내 및 식품에서 활성산소 종 제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oxidant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olvent fractions from methanolic extract of sericea lespedeza. To determine the antioxidant compounds in solvent fractions from methanolic extract, total polyphenolic, flavonoid, tannin, and proanthocya...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비수리 지상부 메탄올 추출물과 순차적 용매분획물의 α-glucos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여 향후 혈당상승 억제제로 활용될 수 있는 소재 활용성을 검토하였다.
  • 비수리의 식품학적 이용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활성, superoxide dismutase 유사활성, αglucosidase 저해활성 등에 대해 검토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예로부터 약용 또는 식용으로 사용되어온 비수리의 식품학적 활용으로 이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비수리 지상부를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분획된 용매분획물의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 superoxide dismutase 유사활성, α-glucosidase 저해활성 등에 대해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활성산소의 독성을 억제하기 위한 항산화 물질은 어떤 것이 있는가? 다만 최근의 현상학적 연구를 통해 노화와 노화 관련 각종 퇴행성질환 및 생활습관성질환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으며, 그 원인이 활성산소에 기인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superoxide, nitric oxide, nitrogen dioxide, hydroxyl, peroxynitrite 등과 같은 활성산소 종들은 인간의 대사과정 중에 끊임없이 발생되어 노화 및 관련 질병의 주요 인자로 작용하고 있다(3). 이런 활성산소의 독성을 억제하기 위한 항산화 활성 물질로서 아스코르빈산, 토코페롤, 카로티노이드, 플라보노이드, 탄닌 등의 천연 항산화제와 함께 butylated hydroxy anisol(BHA) 및 butylated hydroxy tolunen (BHT) 등의 합성 항산화제가 개발되었으며, 천연 항산화제들은 항산화력이 비교적 낮고 합성 항산화제의 경우는 생체 효소 및 지방의 변이원성 및 독성으로 인체에 암을 유발할수 있다는 보고가 있어(4), 보다 안전하고 강한 항산화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각종 생약 추출물 등에서 보다 안전하고 항산화효과가 뛰어난 천연 항산화제를 개발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5).
합성 항산화제는 어떤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는가? 다만 최근의 현상학적 연구를 통해 노화와 노화 관련 각종 퇴행성질환 및 생활습관성질환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으며, 그 원인이 활성산소에 기인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superoxide, nitric oxide, nitrogen dioxide, hydroxyl, peroxynitrite 등과 같은 활성산소 종들은 인간의 대사과정 중에 끊임없이 발생되어 노화 및 관련 질병의 주요 인자로 작용하고 있다(3). 이런 활성산소의 독성을 억제하기 위한 항산화 활성 물질로서 아스코르빈산, 토코페롤, 카로티노이드, 플라보노이드, 탄닌 등의 천연 항산화제와 함께 butylated hydroxy anisol(BHA) 및 butylated hydroxy tolunen (BHT) 등의 합성 항산화제가 개발되었으며, 천연 항산화제들은 항산화력이 비교적 낮고 합성 항산화제의 경우는 생체 효소 및 지방의 변이원성 및 독성으로 인체에 암을 유발할수 있다는 보고가 있어(4), 보다 안전하고 강한 항산화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각종 생약 추출물 등에서 보다 안전하고 항산화효과가 뛰어난 천연 항산화제를 개발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5).
비수리는 민간에서 어떤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가? 농업 분야에서는 절개 사면의 지피식물이나 지력증진, 녹화용 식물로 연구되고 있다(2). 예로부터 민간에서는 간과 콩팥의 기능을 보호해 주고, 폐를 강화시키므로 해수, 천식, 유방염, 종기, 시력 강화 작용에 뛰어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8-10). 지금까지 비수리에 관한 연구로서는 종자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활성과 미네랄, 아미노산, 비타민 분석이 보고되었으며, 잎 추출물에는 C-glycosylflavone 화합물인 isoorientin, isovitexin 등과 quercetin, kaempferol, vitexin, avicularin, juglanin 등이 보고되어 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Ding JL, Lim IJ, Lee HD, Cha WS. 2006. Analysis of minerals, amino acids and vitamin of Lespedeza cuneata. Korean J Biotechnol Bioeng 21: 414-417. 

  2. Kim YH, Ryu SN. 2008.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from aerial parts in Lespedeza cuneata G. Don. Korean J Crop Sci 53: 121-123. 

  3. Shim JS, Kim SD, Kim TS, Kim KN. 2005. Biological activities of flavonoid glycosides isolated from Angelica keiskei.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78-83. 

  4. Branen AL. 1975. Toxicology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 anisole and bytylated hydoxytoluane. J Oil Chem Soc 52: 59-62. 

  5. Masaki H, Sakaki S, Atsumi T, Sakurai H. 1995. Activeoxygen scavenging activity of plants extracts. Biol Pharm Bull 18: 162-166. 

  6. Kim SJ, Kim DW. 2007. Antioxidative activity of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Lespedeza cuneata seeds. Korean J Food Preserv 14: 332-335. 

  7. Lee HJ, Lim GN, Park MA, Park SN. 2011.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Lespedeza cuneata G. Don extract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9: 63-69. 

  8. Kwon DJ, Kim JK, Ham YH, Bae YS. 2007. Flavone glycosides from the aerial parts of Lespeseza cuneata G. Don.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0: 344-347. 

  9. Kwon DJ, Bae YS. 2009. Flavonoids from the aerial parts of Lespedeza cuneata. Biochem Syst Ecol 37: 46-48. 

  10. Deng F, Chang J, Zhang JS. 2007. New flavonoids and other constituents from Lespedeza cuneata. J Asian Nat Prod Res 9: 655-658. 

  11. Kim JS, Kim MJ. 2010.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Lespedezea cuneata methanol extracts. J Med Plants Res 4: 674-679. 

  12. Do JR, Kim KJ, Park SY, Lee OH, Kim BS, Kang SN. 2005. Antimicri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of medicinal plants. J Food Sci Nutr 10: 81-87. 

  13. Dewanto V, Xianzhong W, Liu RH. 2002. Processed sweet corn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 4959-4964. 

  14. Duval B, Shetty K. 2001. The stimulation of phenolic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pea (Pisum sativam) elicited by genetically transformed anise root extract. J Food Biochem 25: 361-377. 

  15. Baoshan S, Jorge M, Ricardo DS, Isabel S. 1998. Critical factors of vanillin assay for catechins and proanthocyanidins. J Agric Food Chem 46: 4267-4274. 

  16. Choi Y, Lee SM, Chun J, Lee HB, Lee J. 2006. Influence of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polyphenolic compounds of shiitake (Lentinus edodes) mushroom. Food Chem 99: 381-387. 

  17. Tibbot BK, Skadsen RW. 1996. Molecular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 gibberellin-inducible, putative ${\alpha}$ -glucosidase gene from barley. Plant Mol Biol 30: 229-241. 

  18. Rice-Evans CA, Miller N, Paganga G. 1997. Antioxidant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Trends Plant Sci 2: 152-159. 

  19. Middleton E, Kandaswami C. 1994. Potential health-promoting properties of citrus flavonoids. Food Techoni 48: 115-119. 

  20. Choi Y, Kim MH, Shin JJ, Park JM, Lee J. 2003.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ome commercial te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723-727. 

  21. Zielinski H, Kozlowska H. 2000.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in selected cereal grains and their different morphological fractions. J Agric Food Chem 48: 2008-2016. 

  22. Choi HS. 1994. Peroxide and nutrition of lipids. J Korean Soc Food Nutr 23: 867-878. 

  23. Lim SY, Lee JY, Lee CS, Jang YJ, Park JW, Yoon S. 2007. Antioxidant and cell proliferation effects of Acanthopanax senticosus extract in human osteoblast-like MG-63 cell l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6: 694-700. 

  24. Kim SM, Cho YS, Sung SK. 2001.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626-632. 

  25. Moreno MI,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 109-114. 

  26. Kim JE, Joo SI, Seo JH, Lee SP. 2009. Antioxidant and ${\alpha}$ -glucosidase inhibitory effect of tartary buckwheat extract obtained by the treatment of different solvents and enzym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989-995. 

  27. Klug D, Rabani J, Fridovich I. 1972. A direct demonstration of the catalytic action of superoxide dismutase through the use of pulse radiolysis. J Biol Chem 247: 4839-4842. 

  28. Kim HY, Yeo SI, Lee JT. 2011. Antioxidant effects of solvent fraction from Sanguisorbae officinalis L. with acetone. J Appl Biol Chem 54: 89-93. 

  29. Jung WY, Jeong JM. 2012. Change of antioxidative activity at different harvest time and improvement of atopic dermatitis effects for persimmon leaf extract. Kor J Herbology 27: 41-49. 

  30. Jeong KY, Kim ML. 2012. Physiological activities of Ulmus pumila K.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9: 104-109. 

  31. Jung SJ, Lee JH, Song HN, Seong NS, Lee SE, Baek NI. 2004.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 medicinal extract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135-140. 

  32. Harman D. 1982. Free radical in biology V. Academic Press, New York, NY, USA. p 255-275. 

  33. Lee BB, Park SR, Han CS, Han DY, Park EJ, Park HR, Lee SC. 2008.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ion activity against ${\alpha}$ -amylase and ${\alpha}$ -glucosidase of Viola mandshurica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405-409. 

  34. Kim HY, Lim SH, Park YH, Ham HJ, Lee KJ, Park DS, Kim KH, Kim S. 2011. Screening of ${\alpha}$ -amylase, ${\alpha}$ -glucosidase and lipase inhibitory activity with Gangwon-do wild plants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308-3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