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야관문 에탄올 추출물의 자외선 조사에 의한 피부 광노화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Lespedeza cuneata Ethanol Extract on Ultraviolet-Induced Photo Aging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11, 2012년, pp.1540 - 1545  

김혜정 (경운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김길수 (경북대학교 수의과대학) ,  김대익 ((재)대구테크노파크 한방산업지원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야관문 추출물의 UVB에 의한 피부노화 억제활성을 살펴보고자 야관문 추출물을 대상으로 피부 홍반도, 유수분 함량, 형태학 조직학적 검사, GSH, TBARS의 함량 그리고 XO, SOD, CAT 활성을 측정하였다. 피부 홍반도는 야관문 추출물 3% 도포군이 대조군에 비해 9.3% 홍반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유수분 함량은 야관문 추출물 3% 도포군이 대조군에 비해 각각 70%와 29%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형태학적으로 야관문 추출물 도포한 군에서 피부의 주름이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조직학적 검사에서도 표피 및 진피의 화농과 염증의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야관문 추출물 3% 도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GSH는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TBARS와 XO의 활성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항산화 효소인 SOD, CAT 활성은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에 UVB 조사로 노화가 유발된 hairless mouse에서 야관문 추출물의 도포는 노화된 피부에 염증반응을 약화시키며 유수분 함량을 증가시켜 피부장벽의 손상을 방지하며, 항산화효소의 활성을 증가시켜 노화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야관문 추출물은 피부노화 예방 및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 사용 가능성을 제시하는 바이며 사용 농도는 3%가 효능적인 면에서 유익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the inhibitory effects of Lespedeza cuneataextract (LC) on photo aging, skin aging was induced by UVB irradiation of hairless mice for 5 weeks. The skin erythema indices for the positive control (PC) and Lespedeza cuneata extract (LC-1%, 3%, and 5%) groups were lower than that of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항산화 효과가 있는 야관문 추출물을 이용하여 활성 산소로 인해 발생되는 노화의 관계와 방어체계인 항산화 효소의 변화를 관찰해보고 자외선 조사로 인한 피부조직 내 광노화의 억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피부 광노화현상의 원인이 되는 활성산소의 종류는? 결과적으로 피부에 발생한 산화스트레스는 피부 광노화현상(photoaging)을 촉진하게 되는 것이다(4). 광노화의 원인이 되는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는 생체의 산소대사 과정 중 탐식세포 또는 산소 분자의 환원으로 인해 발생하며 그 종류로는 superoxide radical(O2-․), singlet oxygen(1O2), hydroxy radical(OH-), hydrogen peroxide(H2O2) 등이 있다(5). 이러한 활성산소는 mitochondria, endoplasmic reticulum 등의 세포내 구조와 세포막에 손상을 일으키게 되며 피부노화를 촉진하게 된다.
피부가 자외선을 항상 접하게 되는 이유는? 피부는 외부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기관으로 일광 등의 자외선을 항상 접하게 된다. 이러한 피부에 자외선이 과도하게 가해지면 생체반응으로 염증 및 조직손상, 면역억제, DNA 및 결합조직의 손실 등을 초래하며 collagen의 분해 촉진, 주름의 형성, 노화의 촉진 등 피부변화를 가져온다(1).
피부에 자외선이 과도하게 가해질 때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은? 피부는 외부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기관으로 일광 등의 자외선을 항상 접하게 된다. 이러한 피부에 자외선이 과도하게 가해지면 생체반응으로 염증 및 조직손상, 면역억제, DNA 및 결합조직의 손실 등을 초래하며 collagen의 분해 촉진, 주름의 형성, 노화의 촉진 등 피부변화를 가져온다(1). Ultraviolet-B(UVB)와 같은 자외선은 생체 내 자유라디칼(free radicals)의 생산과 항산화 방어체계(antioxidant defense system)의 균형을 깨뜨려 피부조직 내 활성산소의 과다 생성으로 세포내 구조와 세포막에 손상을 일으키며 산화스트레스를 유발하게 된다(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Ichihashi M, Ueda M, Budiyanto A, Bito T, Oka M, Fukunaga M, Tsuru K, Horikawa T. 2003. UV-induced skin damage. Toxicology 189: 21-39. 

  2. Lim AK, Jung YJ, Kim KS, Kim YH, Kwak JH, Hong JH, Kim HY, Kim DI. 2010. Skin UVB photo aging effect from extract of fermented Reynoutria elliptic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369-375. 

  3. Darr D, Fridovich I. 1994. Free radical in cutaneous biology. J Invest Dermatol 102: 671-675. 

  4. Sies H. 1986. Biochemistry of oxidative stress. Angewandte Chem 25: 1058-1071. 

  5. Niwa Y, Kasama T, Kawai S, Komura J, Sakane T, Kanoh T, Miyachi Y. 1988. The effect of aging on cutaneous lipid peroxide levels and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in guinea pigs and patients with burns. Life Sci 42: 351-356. 

  6. Cho SH. 2009. Inhibitory effect of PME88 melonSOD on the ultraviolet-induced photo-ag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401-408. 

  7. Cao G, Alessio HM, Cutler RG. 1993. Oxygen-radical absorbance capacity assay for antioxidants. Free Radical Biol Med 14: 303-311. 

  8. Lee HJ, Lim GN, Park MA, Park SN. 2011.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Lespedeza cuneata G. Don extract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9: 63-69. 

  9. Shigemori H, Sakai N, Miyoshi E, Shizuri Y, Yamamura S. 1990. Bioactive substances from Lespedeza cuneata L.G. Don and their biological activities. Tetrahedron 46: 383-394. 

  10. Numata A, Hokimoto K, Yamaguchi H. 1980. C-Glycoylflavones in Lespedeza cuneata. Chem Pharm Bull 28: 964-965. 

  11. Kim SJ, Kim DW. 2007. Antioxidative activity of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Lespedeza cuneata seeds. Korean J Food Preserv 14: 332-335. 

  12. Ellman GL. 1959. Tissue sulfhydryl group. Arch Biochem Biophys 82: 70-77. 

  13. Ohkawa H, Ohishi N, Yake K. 1979. Acid reaction. Anal Biochem 95: 351-358. 

  14. Stripe F, Della CE. 1969. The regulation of rat liver xanthine oxidase. Conversion in vitro of the enzyme activity from dehydrogenase (type D) oxidase (type O). J Biol Chem 244: 3855-3863. 

  15. Martin JP Jr, Dailey M, Sugarman E. 1987. Negative and positive assays of superoxide dismutase based on hematoxylin autoxidation. Arch Biochem Biophys 255: 329-336. 

  16. Aebi H. 1974. Catalase. In Methods of Enzymatic Analysis. Bergmeyer HU, ed. Academic press, New York, NY, USA. Vol 2, p 673. 

  17. Soter NA. 1990. Acute effects of ultraviolet radiation on the skin. Semin Dermatol 9: 11-15. 

  18. Kwon MH, Min KJ, Kim YC. 2009. Inhibitory effects of Peonia japonica water extract on skin aging ( I ) - focussed on alleviative effects of inflammation and skin barrier damage - . J Environ Toxicol 24: 159-167. 

  19. Chiba K, Kawakami K, Sone T, Onoue M. 2003. Characteristics of skin wrinkling and dermal changes induced by repeated application of squalene monohydroperoxide to hairless mouse skin. Skin Pharmacol Appl Skin Physiol 16: 242-251. 

  20. Fisher GJ, Kang S, Varani J, Bata-Csorgo Z, Wan Y, Datta S, Voorhees JJ. 2002. Mechanisms of photoaging and chronological skin aging. Arch Dermatol 138: 1462-1470. 

  21. Kligman LH, Crosby MJ, Higley H. 1993. The UVB-irradiated hairless mouse as a model for the evaluation of injectable collagen implant. J Dermatol Treat 4: 27-31. 

  22. Kaneto H, Fujii J, Suzuki K, Kasai H, Kawamori R, Kamada T, Taniguchi N. 1994. DNA cleavage induced by glycation of Cu, Zn-superoxide dismutase. Biochemical J 304: 219-225. 

  23. Im MJ, Manson PN, Bulkley GB, Hoopes JE. 1985. Effects of superoxide dismutase and allopurinol on the survival of acute island skin flaps. Ann Surg 201: 357-359. 

  24. Manson PN, Anthenelli RM, Im MJ, Bulkley GB, Hoopes JE. 1983. The role of oxygen-free radicals in ischemic tissue injury in island skin flaps. Ann Surgery 198: 87-90. 

  25. Deisseroth A, Dounce AL. 1970. Catalas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mechanism of catalysis, and physiological role. Physiol Rev 50: 319-375. 

  26. Eun JS. 2011. Effect of Lespedeza cuneata G. Don on the activity of murine immune cells.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5: 837-842. 

  27. Kim BY. 2010. Studies on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Lespedeza cuneata and development of fermented products prepared from Lespedeza cuneata. MS Thesis. Daegu Haany University, Gyeongbuk, Korea. p 4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