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항산화성 높은 수수의 식품으로서의 이용기술을 개발하여 새로운 소비수요를 창출하고자 도정도가 다른 수수를 이용하여 볶음차를 제조하고 이러한 수수차 제조과정이 수수의 항산화성분항산화활성에 미치는 변화를 살펴보았다. 미도정(0%), 최소 도정(5%), 도정(20%)으로 도정 정도가 다른 수수를 1~10분간 볶음처리하여 항산화성분 및 활성 변화를 살펴본 결과 수수 볶음차의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탄닌 함량과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볶음시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다가 7~9분 사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고 이후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수수의 도정도별로는 미도정 수수를 볶음처리한 수수차에서 페놀성 화합물 및 항산화활성이 총 폴리페놀 12.95 mg GAE/g, 플라보노이드 7.43 mg CE/g 및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 19.97 및 33.11 mg TE/g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최소 도정 수수 볶음차, 도정 수수 볶음차의 순이었다. 이와는 다르게 도정도별 수수 볶음차의 열수 침출물의 항산화활성은 도정 수수 볶음차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최소 도정 수수 볶음차, 미도정 수수 볶음차의 순이었으며, 이는 수수 볶음차열수 침출액의 색도 및 탁도와 같은 경향으로 도정 수수 볶음차의 경우 종피의 손상에 의해 오히려 열수에 의한 색소 및 항산화성 물질의 용출이 증가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sorghum teas were prepared from Sorghum bicolor L. Moench subjected to different types of milling (no milling (0%), minimum milling (5%), and milling (20%)) and pan-firing times (1 to 10 minutes), and its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With regards to milling type, total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수수는 항산화성 등 생리적 기능성이 높은 식량자원으로 가공식품으로 개발하기에 이용가치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혼반용, 떡 및 두부에 첨가하여 사용하는 방법(9) 이외에는 새로운 이용기술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수수의 생리적 기능성을 높일 수 있는 식품가공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새로운 소비수요를 창출하고자 도정 정도가 다른 수수를 이용하여 볶음차를 제조하고, 이러한 수수차 제조과정이 수수의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에 미치는 변화를 살펴보았다.
  • 항산화성 높은 수수의 식품으로서의 이용기술을 개발하여 새로운 소비수요를 창출하고자 도정도가 다른 수수를 이용하여 볶음차를 제조하고 이러한 수수차 제조과정이 수수의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에 미치는 변화를 살펴보았다. 미도정(0%), 최소 도정(5%), 도정(20%)으로 도정 정도가 다른 수수를 1~10분간 볶음처리하여 항산화성분 및 활성 변화를 살펴본 결과 수수 볶음차의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탄닌 함량과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볶음시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다가 7~9분 사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고 이후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수에 함유되어 있는 페놀화합물의 대부분은 무엇으로 알려져 있는가? 수수는 밀, 옥수수, 쌀, 보리에 이어 세계에서 5번째로 중요한 식량작물로 식이섬유, 페놀화합물(phenolic compounds) 등의 유효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11). 페놀화합물(phenolic compounds)의 대부분은 플라보노이드(flavonoid)로 알려져 있고(12) 최근 수수의 생리적 기능성에 관한 여러 가지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수수의 폴리페놀(polyphenol) 추출물은 강한 항돌연변이성을 가지고(13), 강력한 항산화활성과 콜레스테롤 생합성 관련 효소인 HMG-Co A reductase 활성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4,15).
수수의 원산지는 어디인가? Moench, sorghum)는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한해살이풀로 주로 식용으로 소비되고 있다(7-9). 열대아프리카가 원산지로 건조지대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용도에 따라서 곡용수수(grain sorghum), 단수수(sorgo), 소경수수(장목수수; broom-corn)가 있으며, 아시아, 아프리카 및 중미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다(10). 수수는 밀, 옥수수, 쌀, 보리에 이어 세계에서 5번째로 중요한 식량작물로 식이섬유, 페놀화합물(phenolic compounds) 등의 유효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11).
체내에 축적된 활성산소는 무엇을 파괴하여 질병을 유발시키는가? 산업화의 발달에 따라 증가하는 환경오염과 흡연, 음주 등은 활성산소를 발생시키고 체내에 축적된 활성산소는 세포의 구성성분인 지질, 단백질, 당 및 DNA 등을 비가역적으로 파괴하여 질병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1-3). 이러한 활성산소를 억제시키기 위하여 여러가지 합성물질이 식품첨가제로서 이용되어 왔으나 합성식품첨가제를 과량 섭취할 경우 신장, 폐, 간, 위장점막, 순환계 등에 심각한 독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짐에 따라 보다 안전한 대체물질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4,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Reiter RJ. 1995. Oxidative process and antioxidative defense mechanism in the aging brain. FASEB J 9: 526-533. 

  2. Halliwell B, Gutteridge JM, Cross CE. 1992. Free radicals, antioxidants, and human disease: where are we now? J Lab Clin Med 119: 598-620. 

  3. Cao LH, Lee JK, Cho KH, Kang DG, Kwon TO, Kwon JW, Kim JS, Sohn EJ, Lee HS. 2006. Mechanism for the vascular relaxation induced by butanol extract of Agrimonai pilosa. Kor J Pharmacogn 37: 67-73. 

  4. Ode P. 1995. Herbal insights-a close look at active constituents of medicinal herbs. SOFW J 121: 8-11. 

  5. Choe SY, Yang KH. 1982. Toxicological studies of antioxidants, butylated hydroxyltoluene (BHT) and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Korean J Food Sci Technol 14: 283-288. 

  6. Arai S. 1996. Studies on function foods in Japan - state of art. Biosci Biotechnol Biochem 60: 9-15. 

  7. Kim KO, Kim HS, Ryu HS. 2006. Effect of Sorghum bicolor L. Moench (sorghum, su-su) water extracts on mouse immune cell activation. J Korean Diet Assoc 12: 82-88. 

  8. Ryu HS, Kim J, Kim HS. 2006. Effect of Sorghum bicolor L. Moench (Sorghum, su-su) water extracts on mouse immune cell activation. Korean J Food & Nutr 19: 176-182. 

  9. Woo KS, Ko JY, Seo MC, Song SB, Oh BG, Lee JS, Kang JR, Nam MH. 2009.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tofu (soybean curd) added sorghum (Sorghum bicolor L. Moench)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746-1752. 

  10. Chang HG, Park YS. 2005. Effects of waxy and normal sorghum flours on sponge cake properties. Food Eng Prog 9: 199-207. 

  11. Chae KY, Hong JS.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different amounts of waxy sorghum flour.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363-369. 

  12. Chung HS, Kim KJ, Youn KS. 2006. Effects of roasting temperature on phycochemical properties of Job's tears (Coix lachryma jobi L. var ma-yeun) powder and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3: 477-482. 

  13. Grimmer HR, Parbhoo V, McGrath RM. 1992. Antimutagenicity of polyphenol-rich fractions from sorghum bicolor grain. J Sci Food Agric 59: 251-256. 

  14. Hahn DH, Rooney LW, Earp CF. 1984. Tannin and phenols of sorghum. Cereal Foods World 29: 776-779. 

  15. Ha TY, Cho IJ, Lee SH. 1998. Screening of HMG-CoA reductase inhibitory activity of ethanol and methanol extract from cereal and regum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224-229. 

  16. Kil HY, Seong ES, Ghimire BK, Chung IM, Kwon SS, Goh EJ, Heo K, Kim MJ, Lim JD, Lee D, Yu CY. 2009.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rude sorghum extract. Food Chem 115: 1234-1239. 

  17. Awika JM, Rooney LW, Waniska RD. 2005. Anthocyanins from black sorghum and their antioxidant properties. Food Chem 90: 293-301. 

  18. Dykes L, Rooney LW. 2006. Sorghum and millet phenols and antioxidants. J Cereal Sci 44: 236-251. 

  19. Lee GD, Yoon SR, Kim JO, Hur SS, Seo KI. 2004. Monitoring on the tea with steaming and drying process of germinated buckwhea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212-217. 

  20. Yoo KM, Kim CE, Kim DI, Huh D, Hwang IK. 2005. Antioxidant activit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angerine peel tea with Citrus unshiu cultivated in Cheju.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354-359. 

  21. Joo SJ, Choi KJ, Kim KS, Park SG, Kim TS, Oh MH, Lee SS, Ko JW. 2002. Characteristics of mixed tea prepared with several herbs cultivated in Korea. Korean J Food Preserv 9: 400-405. 

  22. Park JH, Han JS, Choi HK. 1999. Effect on quality of panfired green tea by 1st pan-firing time. Korean J Medicinal Crop Sci 7: 101-106. 

  23. Hong MJ, Lee GD, Kim HK, Kwon JH. 1998. Change in functional and sensory properties of chicory roots induced by roasting process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413-418. 

  24. Yu JS, Hwang IG, Woo KS, Chang YD, Lee CH, Jeong JH, Jeong HS. 2008.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hrysanthemum indicum L. flower tea according to different pan-firing tim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297-302. 

  25. Yoon SK, Kim WJ. 1989. Effects of roasting conditions on quality and yields of barley tea.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575-582. 

  26. Ha TY, Chun HS, Lee C, Kim YH, Han O. 1999.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teamed rice for Soong-Neung during roast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71-175. 

  27. Lee YT, Seog HM, Kim SS, Kim KT, Hong HD. 1984.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immature barley kernels during roast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336-342. 

  28. Ayatse JO, Eku OU, Ifon ET. 1983. Chemical evaluation of the effect of roasting on the nutritive value of maize (Zea mays, Linn). Food Chem 12: 135-147. 

  29. Kunsch U, Scharer H, Patrian B, Hohn E, Conedera M, Sasella A, Jermini M, Jelmini G. 2001. Effects of roasting on chemical composition and quality of different chestnut (Castanea sativa Mill) varieties. J Sci Food Agric 81: 1106-1112. 

  30. Dewanto V, Wu X, Liu RH. 2002. Processed sweet corn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 4959-4964. 

  31. Duval B, Shetty K. 2001. The stimulation of phenolic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pea (Pisum sativam) elicited by genetically transformed anise root extract. J Food Biochem 25: 361-377. 

  32. Choi Y, Lee SM, Chun J, Lee HB, Lee J. 2006. Influence of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polyphenolic compounds of Shiitake (Lentinus edodes) mushroom. Food Chem 99: 381-387. 

  33. Monti SM, Ritieni A, Geaziani G, Randazzo G, Mannina L, Segre AL, Fogliano V. 1999. LS/MS analysis and antioxidative efficiency of Maillard reaction products from a lactose-lysine model system. J Agric Food Chem 47: 1506-1513. 

  34. Jing H, Kitts DD. 2004. Antioxidant activity of sugar-lysine Maillard reaction products in cell free and cell culture systems. Arch Biochem Biophys 429: 154-163. 

  35. Choi KJ, Kim MW, Hong SK, Kim DH. 1983. Effects of solvents on the yield, brown color intensity, UV absorbance, reducing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white and red ginseng. J Korean Agric Chem Soc 26: 8-18. 

  36. Kiligaya N, Kato H, Fujimaki M. 1968. Studies on antioxidant activity of non-enzymatic browning reaction products. Part I. Reaction of color intensity and reductones with antioxidant activity of browning reaction products. Agric Biol Chem 32: 289-290. 

  37. Suh CS, Chun JK. 1981. Relationship among the roasting conditions, clors and extractable solid content oh roasted barley. Korean J Food Sci Technol 13: 334-33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