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배암차즈기 차 제조와 항산화 활성 및 품질특성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Substitute Tea using Salvia plebeia R. Br.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1 no.1, 2015년, pp.41 - 52  

정지숙 (구례야생화연구소) ,  김용주 (구례야생화연구소) ,  안은경 (경기과학기술진흥원 천연물신약연구소) ,  신주영 (경기과학기술진흥원 천연물신약연구소) ,  고근배 (구례군농업기술센터 자원연구개발과) ,  손병길 (구례군농업기술센터 자원연구개발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항염 및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배암차즈기(SPR) 잎을 활용하여 배암차즈기 차(SPRT)를 제조하였다. SPR의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71.8{\pm}4.74GAE\;mg/g$$38.7{\pm}2.95QUE\;mg/g$으로 측정되었다. DPPH에 따른 수소공여능은 $16.9{\mu}g/mL$$RC_{50}$을 나타내었으며, 이때, 양성대조구인 ascorbic acid는 $6.1{\mu}g/mL$$RC_{50}$을 나타내었다. 배암차즈기는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법 위에서 물 추출물의 $IC_{50}$$100{\mu}g/mL$ 이상이었으며, $25{\sim}100{\mu}g/mL$의 범위에서 NO 생성이 LPS 처리구에 비해 약 30% 정도 저해되었다. SPRT는 중잎과 대잎을 사용하여 자체수분을 활용하여 단시간 덖음하여 총 120분 가향한 차가 가장 좋은 평가를 받았다. 향은 맛과 전반적인 기호도에 양의관계로 영향을 주었다. SPRT는 덖음 및 가향 작업에 따른 열처리에도 항산화 수치가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어 항산화능이 유지되었다. 티백량은 1.0 g이 적당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를 바탕으로 배암차즈기가 항산화 등 기능성을 강조한 음료 또는 식품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ubstitute tea was manufactured from the leaves of Salvia plebeia R. Br. (SPR) that have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Total polyphenols and flavonoids in SPR were $71.8{\pm}4.74GAE\;mg/g$ and $38.7{\pm}2.95QUE\;mg/g$, respectively. DPPH radical scaveng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Macrophage의 중요한 기능중의 하나인 phagocytosis 와 관련된 활성측정 방법의 하나로 in vitro 상에서 cell supernatant에 녹아있는 NO의 양을 정량하였다. 염증반응의 지표물질인 NO는 활성질소종(reactive nitrogen species; RNS)의 일종으로 생체내 신호전달, 혈압조절, 혈소판 응집 등 다양한 작용을 하며 L-arginine에서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에 의해 합성된다(Bagdan C 2001, Min KC와 Jhoo JW 2013).
  • SPRT를 쉽게 음용가능한 티백을 제조하기 위하여 티백량을 조사하였다. 관능평가 결과는 Table 5에 나타낸바와 같이, SPRT의 티백량을 0.
  • SPRT를 제조하기 위하여 배암차즈기 원료의 사용부위 (잎의 크기, 줄기 포함) 선별 및 덖음 횟수에 따른 관능평가를 1차적으로 시행한 후 가향시간을 설정하였다. 대조 구로는 자연건조한 배암차즈기 잎을 차로 사용하였다.
  • 1% N-(1- naphtyl) ethylenediamine dihydrochloride reagent를 동량으로 섞은 용액에 농도별 시료를 처리 후 24시간 배양된 배지 상등액 동량(50 µL) 섞고 10분간 상온에 보관한 후 540 nm에서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대조군 대비 NO 생성 억제능을 측정하였다. Sodium nitrite (NaNO2) standard의 농도별 표준곡선을 이용하여 배양액의 NO 농도를 결정하였다.
  • 덖은 다음 채반에 널어 재빨리 열기를 식혀 일부 수분을 날려 보내며, 전기오븐(SHFDO 150, Samheung, Sejong, Korea)을 이용하여 80°C에서 30분간 열풍건조하여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가향 작업은 총 4회 진행하였으며, 1회가 끝나면 30분간 채반 위에 널어서 냉각하였다. 가마솥 온도는 170~190°C에서 시작하여 마지막에는 80~120°C가 되도록 순차적으로 20°C씩 낮추면서 반복하였다.
  • 관능검사는 예비조사를 포함하여 총 5회 진행되었다. 관능평가 요원으로는 녹차 등의 전통차를 하루에 1회 이상 마시는 36명을 지원받아 각 평가시마다 성별과 나이에 차등 없이 30명 선발하여 검사에 참여하였다.
  • 대조구는 ascorbic acid(AccuStandard, New Haven, CT, USA), BHT(Supelco, Bellefonte, PA, USA) 및 BHA(SigmaAldrich Co. Ltd., Louis, MO, USA)을 사용하여 100 µ g/mL 농도에서 측정하였다.
  • 덖은 다음 채반에 널어 재빨리 열기를 식혀 일부 수분을 날려 보내며, 전기오븐(SHFDO 150, Samheung, Sejong, Korea)을 이용하여 80°C에서 30분간 열풍건조하여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 배암차즈기는 생엽으로 섭취 시 쓴 맛, 떫은 맛, 비린 맛(풀비린내 맛) 등이 강한 특징을 보이며, 보편적인 차는 덖음 공정 후 구수한 맛, 감칠 맛 등이 강해지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관능검사 시 쓴 맛, 떫은 맛, 비린 맛, 단 맛, 구수한맛, 감칠 맛은 강도 측정(매우 약하다, 1점; 약하다, 2점; 조금약하다, 3점; 보통이다, 4점; 조금강하다, 5점; 강하다, 6점; 매우강하다 7점)을 하였으며, 색, 향, 맛, 전반적인 기호도는 기호도로 측정(매우나쁘다, 1점; 나쁘다, 2점; 조금나쁘다, 3점; 보통이다, 4점; 조금좋다, 5점; 좋다, 6점; 매우좋다, 7점) 하였다.
  • 배암차즈기 덖음차 및 혼합차의 색도는 색도계(Ultrascan VIS, Hunter lab, Reston, VA, USA)를 이용하여 액체 형태로 3회 반복 측정하였다. 측정 전 표준백판으로 보정한후 사용하였으며, L(명도, Lightness), a(적색도, redness), b(황색도, yellowness) 값으로 나타내었다.
  • 배암차즈기 물 추출물의 NO 생성 억제 능력을 조사하기 위해 Gonzalez의 방법(Gonzalez-Castejon M 등 2012)에따라 내독소로 작용하여 NO synthesis mitogen으로 쓰이는 lipopolysaccharide(LPS)를 0.5 µg/mL 농도로 처리하여 1시간 30분 배양한 후 1% sulfanilamide와 후 0.1% N-(1- naphtyl) ethylenediamine dihydrochloride reagent를 동량으로 섞은 용액에 농도별 시료를 처리 후 24시간 배양된 배지 상등액 동량(50 µL) 섞고 10분간 상온에 보관한 후 540 nm에서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대조군 대비 NO 생성 억제능을 측정하였다.
  • , 이하 SPR로 약함)는 전라남도 구례군에 인접한 섬진강 주변에서 길이 10~20 cm의 것을 2013년 11월 중순에 채취하여 지상부를 사용하였다. 배암차즈기 원료의 기능성과 안전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NO 생성 억제 및 세포독성을 조사하였다. 분석용 배암차즈기는 세척 선별 후 물기를 제거하고 생체를 즉시 -80°C deep freezer(MDF-U53V, Sanyo, Tokyo, Japan)에 급속 동결한 후 동결건조기(SFDSM12, Samwon Freezing Engineering Co.
  • 배암차즈기 잎을 자연건조, 덖음 및 가향 공정을 거친 차의 항산화 활성은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Fig. 5에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69.
  • 그 결과, 줄기를 제거한 중잎과 대잎을 가향작업한 것이 높은 점수를 얻었다(미제시). 배암차즈기 차를 제조하기 위하여 덖음 공정 및 덖음 횟수에 따른 품질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자연건조, 덖음 및 가향 작업한 차를 관능평가하였다. 관능평가 결과는 Table 1과 2에, 상관관계는 Table 3에 나타내었다.
  • 배암차즈기 차의 티백(tea bag)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0.5 g, 1.0 g, 1.5 g으로 정확한 무게를 티백제조용 그물망에 넣어 끝을 봉한 다음 끓인 생수(95±2°C, Jeju Samdasu, Jeju, Korea) 100 mL에 넣고 정확히 1분 후 건져내어 유리잔에 50 mL씩 평가요원에게 주어졌다.
  • 이는, 배암차즈기가 생리활성능이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쓴 맛, 떫은 맛, 매운 맛 등의 특성이 강하여 대중화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배암차즈기의생리활성 규명 연구가 일부 진행되어 그 우수성이 알려지고 있기 때문에, 항산화활성 등의 생리활성이 유지되면서 쓴 맛, 떫은 맛, 매운 맛 등을 저감시키는 방법을 모색하고 덖음공정에 따른 항산화활성 변화를 조사하고 쉽게 음용가능한 티백으로 제조하여 품질을 비교하였다.
  • 분석용 배암차즈기는 세척 선별 후 물기를 제거하고 생체를 즉시 -80°C deep freezer(MDF-U53V, Sanyo, Tokyo, Japan)에 급속 동결한 후 동결건조기(SFDSM12, Samwon Freezing Engineering Co., Busan, Korea)를 사용하여 건조하였다.
  • 세포배양 배지는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DMEM)에 10% fetal bovine serum을 첨가하였으며, 37°C의 습윤한 5% CO2의 조건의 세포배양기(J-2000, Jisco, Seoul, Korea)에서 세포를 배양하였다.
  • 시료 20 g과 증류수 400 mL을 혼합하여 heating mentle (WHM12295, Daihan Scientific Co. Ltd, Wonju-si, Korea)를 사용하여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추출조건은 100°C 에서 1시간씩 3회 반복추출하여 filter paper (WhatmanⓇ No.
  • 차를 우리는 용기(P865, Auto tea pot, Domo, China)를 사용하였으며, 각 조건에 따라 제조된 시료 1 g씩을 넣어 끓인 생수(95±2°C, Jeju Samdasu, Jeju, Korea) 100 mL를 붓고 1분간 우린 후에 평가요원에게 50 mL씩 유리잔에 주어졌으며, 하나의 시료를 평가한 후에는 입안을 헹구도록 하였다.
  • 총 폴리페놀 함량은 Folin-Ciocalteu's의 방법(Singleton VL과 Rossi JA 1965)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 추출물을 농도별로 100 µL에 80% EtOH 900 µL를 혼합한 시료 100 µL를 시험관에 취하고 10% aluminum nitrate(Junsei Chemical Co. Ltd., Tokyo, Japan)와 1 M potassium acetate(Junsei Chemical Co. Ltd., Tokyo, Japan)를 각각 0.1 mL를 넣고, 80% EtOH 4.3 mL 를 가하여 혼합하고 실온에서 40분간 정치 반응한 후 4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 추출조건은 100°C 에서 1시간씩 3회 반복추출하여 filter paper (WhatmanⓇ No. 2, Whatman, Maidstone, UK)로 여과한 후 감압농축 (H-1000VW, NVC-2100, Tokyo, Japan)하여 -80°C에서 동결건조(FDU-2100, Eyela, Tokyo, Japan)한 후 수율,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DPPH에 대한 수소공여능, nitric oxide 함량 및 세포독성 측정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 하나의 시료를 평가한 후에는 입안을 헹구도록 하였으며, 측정시간은 오후 3~4시 사이에 실시하였다. 평가항목으로는 색, 향, 맛, 전반적인 기호도에 대하여 관능평가 하였다. 평가에 사용한 시료는 120분간 가향 작업한 배암차즈기 잎차를 사용 하였다.
  • 항염 및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배암차즈기(SPR) 잎을 활용하여 배암차즈기 차(SPRT)를 제조하였다. SPR의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71.

대상 데이터

  • 가마솥 온도는 170~190°C에서 시작하여 마지막에는 80~120°C가 되도록 순차적으로 20°C씩 낮추면서 반복하였다. 가향작업이 끝난 배암차즈기 차는 채망을 이용하여 잘게 부서진 부분은 제거하고 온전한 잎을 모아 실험에 사용하였다.
  • 관능검사는 예비조사를 포함하여 총 5회 진행되었다. 관능평가 요원으로는 녹차 등의 전통차를 하루에 1회 이상 마시는 36명을 지원받아 각 평가시마다 성별과 나이에 차등 없이 30명 선발하여 검사에 참여하였다. 차를 우리는 용기(P865, Auto tea pot, Domo, China)를 사용하였으며, 각 조건에 따라 제조된 시료 1 g씩을 넣어 끓인 생수(95±2°C, Jeju Samdasu, Jeju, Korea) 100 mL를 붓고 1분간 우린 후에 평가요원에게 50 mL씩 유리잔에 주어졌으며, 하나의 시료를 평가한 후에는 입안을 헹구도록 하였다.
  • SPRT를 제조하기 위하여 배암차즈기 원료의 사용부위 (잎의 크기, 줄기 포함) 선별 및 덖음 횟수에 따른 관능평가를 1차적으로 시행한 후 가향시간을 설정하였다. 대조 구로는 자연건조한 배암차즈기 잎을 차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 줄기를 제거한 중잎과 대잎을 가향작업한 것이 높은 점수를 얻었다(미제시).
  • 1에 나타내었다. 배암차즈기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깨끗하게 세척한 후 줄기를 제거한 길이 4~8 cm인 중잎과 대잎을 준비하였다. 덖음 및 가향 작업은 무쇠가마솥을 사용하였다.
  • 본 실험에 사용된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는 한국세포주은행(KCLB, Korean Cell Line Bank, Seoul, Korea)에서 분양 받아 사용하였다. 세포배양 배지는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DMEM)에 10% fetal bovine serum을 첨가하였으며, 37°C의 습윤한 5% CO2의 조건의 세포배양기(J-2000, Jisco, Seoul, Korea)에서 세포를 배양하였다.
  • 본 실험에 사용된 배암차즈기(Salvia plebeia R. Br., 이하 SPR로 약함)는 전라남도 구례군에 인접한 섬진강 주변에서 길이 10~20 cm의 것을 2013년 11월 중순에 채취하여 지상부를 사용하였다. 배암차즈기 원료의 기능성과 안전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NO 생성 억제 및 세포독성을 조사하였다.
  • 평가항목으로는 색, 향, 맛, 전반적인 기호도에 대하여 관능평가 하였다. 평가에 사용한 시료는 120분간 가향 작업한 배암차즈기 잎차를 사용 하였다.

데이터처리

  • 배암차즈기 차의 이화학적 특성은 3회 반복 측정한 후 평균치±표준편차로 나타내었으며, 관능검사 결과는 분산 분석(ANOVA)과 다중범위 검정(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의해 p<0.05 수준에서 유의성 검정을 하였으며, 기호도와 맛의 강도 정도에 대한 상관관계는 이변량 상관계수로 나타내었다.

이론/모형

  • 배암차즈기 물 추출물에 따른 세포 생존율을 3-[4,5-dimethylthiazol-2-yl]-2,5 diphenyl tetrazolium bromide(MTT) assay 방법(Mosmann T 1983)으로 측정하였다. Raw 264.
  • 우린 차의 전자공여능 측정은 Blois의 방법(Blois MS 1958)에 따라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에 대한 수소공여 효과를 측정하여 전자공여능(EDA; electron donating ability)으로 나타내었다. 관능검사에 이용된 동일한 조건으로 차를 열수 추출한 시료 2 mL에 0.
  • 전자공여능 측정은 Blois의 방법(Blois MS 1958)에 따라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Sigma-Aldrich Co. Ltd., Louis, MO, USA)에 대한 수소공여 효과를 측정하여 전자공여능(EDA; electron donating ability)으로 나타내었다. 즉, 각 시료용액 2 mL에 0.
  •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Moreno MI 등(2000)의 방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추출물을 농도별로 100 µL에 80% EtOH 900 µL를 혼합한 시료 100 µL를 시험관에 취하고 10% aluminum nitrate(Junsei Chemical Co.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차의 향, 맛, 성분 등에 영향을 주는 제조공정은? 국내 차에 대한 소비는 녹차가 75%, 차나무 잎을 발효한 발효차가 15~20% 정도 유통 되고 있어 차 수요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Shin KH 등 2011). 차 제조공정 중 roasting 및 firing 공정이 향, 맛, 성분 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된다(Cha YJ 등 2004, Yu JS 등 2008). Roasting은 식품성분을 분해, 합성, 축합 등의 화학반응을 통해 유용성분으로 전환시켜 식품에 고유한 향미와 색깔을 부여하기 위한 수단으로 많이 활용 되고 있다.
배암차즈기의 주요 성분은? 한의학적으로 성미가 고신, 량(凉) 하며, 청혈해옥, 양혈산어, 이수소종 등의 효능이 있어, 감모발열, 인후종통, 폐열해수, 토혈, 뇨혈, 치창출혈, 신염누종, 백탁, 치질, 옹종창독, 습진소양, 질타손상 등을 치료한다고 하였다(Shin MK 등 2001). 주요 성분으로는 flavonoid와 phenol성 물질, saponin, 강심배당체, 불포화 sterol, 정유 등이 있으며, 종자에는 지방유를 함유하고 있다(Lim JA 등 2007). 또한 항염증, 항산화, 간세포 보호효과 등의 효과가 있는 homoplantaginin, nepetin-7-glucoside, luteolin-7glucoside, royleanoinc acid, hispidulin, eupatorin, rosmarinic acid가 보고되었다(Gu L과 Weng XC 2001, Jin XF 등 2008, Qua XJ 등 2009, Nugroho A 등 2012).
배암차즈기란? Br.)는 꿀풀과(Labiatae)의 한해 또는 두해살이풀로 잎의 모양이 곰보 같다고 하여 곰보배추, 뱀비늘처럼 생겼다고 뱀배추 등으로 불린다. 또한, 한방에서는 향기로운 가지가 달린 풀이라 하여 여지초라고 하며, 설견초, 나인초, 수양이, 과송청으로 불리기도 한다(Bae MJ 등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Bae MJ, Ye EJ, Kim SJ, Kim JM, Yee ST, Park EM. 2007. The effects of plebeian herbs (Salvia prebeia R. Br.) on the anticancer (in vitro) and activation of immune cells. Korean J Food Nutr 36(4):377-382 

  2. Bak JP, Son JH, Kim YM, Jung JH, Leem KH, Lee EY, Kim EH. 2011. Suppression effect of the inflammatory response in macrophages by Paeoniae redix rubra extract.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9(5):373-397 

  3. Bagdan C. 2001. Nitric oxide as a secretory product of mammalian cells. FASEB J 6(12):3051-3064 

  4. Bea MJ, Ye EJ. 2010. Antioxidant activity and in vitro for anticancer effects of manufactured fermented mulberry leaf tea. Korean J Food Nutr 39(6):796-804 

  5.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26):1199-1200 

  6. Cha JY, Ahn HY, Eom KE, Park BK, Jun BS, Cho YS. 2009. Antioxidative activity of Aralia elata shoot and leaf extracts. J Life Sci 19(5):652-658 

  7. Cha YJ, Lee JW, Kim JH, Park MH, Lee SY. 2004. Major components of teas manufactured with leaf and flower of Korean native Camellia japonica L.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2(3):183-190 

  8. Cheon GY, Park SH, Ko GB, Son YL, Jeong WC, Ma SJ. 2013. Manufacture and components of tea using Acorus gramineus leaves. J Korean Tea Soc 19(3):54-61 

  9. Choi KH, Nam HH, Choo BK. 2013. Effects of five Korean native Taraxacum on antioxidant activity and nitric oxide production inhibitory activity.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1(3):191-196 

  10. Eichner K. 1980. Antioxidative effect of maillard reaction intermediates. In autoxidation in food and biolofical systems. Simic MG, ed. Plenum Press, New York, NY, USA. pp 367-386 

  11. Gonzalez-Castejon M, Visioli F, Rodriguez-Casado A. 2012. Diverse biological activities of dandelion. Nutr Rev 70(9):534-547 

  12. Gu L, Weng XC. 2001. Antioxidant activity and components of Salvia plebeia R. Br.-a Chinese herb. Food Chem 73(3): 299-305 

  13. Hippeli S, Elstner DF. 1999. Inhibition of biochemical model reactions for inflammatory processes by plant extracts: a review on recent developments. Free Radic Res 31 (Suppl): S81-S87 

  14. Hyun SK, Kim YG, Choi SH. 2011. Manufacturing proces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artially fermented tea several medicinal herbs. J Korean Tea Soc 17(3):54-58 

  15. Hwang KA, Shin SR, Kim KS. 2005. Changes on the flavor components in the leaf teas of Lindera obtusiloba BL. by processing methods. Korean J Food Preserv 12(1):68-74 

  16. Im DY, Lee KI. 2012. Nitric oxide production inhibitory effect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extracts and fractions from Paeoniae radix. Korean J Pharmacogn 43(2):173-178 

  17. Jeong HR, Sung MS, Kim YH, Ham HM, Choi YM, Lee JS. 2012.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Salvia plebeia R. Br. leaf through heme oxygenase-1 induction in LPS-stimulated raw264.7 macrophag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7): 888-894 

  18. Jeong JS, Kim YJ, Choi BR, Go GB, Son BG, Moon SM. 2014. Antioxidant and physicochemical changes in Salvia pleveia R. Br. after hot-air drying, and blanching. Korean J Food Nutr 43(6):893-900 

  19. Jin XF, Lu YH, Wei DZ, Wang ZT. 2008. Chemical fingerprint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Salvia plebeia R. Br.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J Pherm Biomed Anal 48(1):100-104 

  20. Jo SY, Lee UY, Kim EY, Lee SJ, Her JW, Yoon TJ. 2010. A study on the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effect of Salvia plebeia R. extracts. Korean J Pharmacogn 41(1):31-37 

  21. Jun YK, Kim MH, Seong PN, Chang MJ. 2012. A comparison of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green tea and grapefruit seed extract with those of microencapsulated extracts. Korean J Nutr 45(5):443-451 

  22. Kim HJ, Jun BS, Kim SK, Cha JY, Cho YS. 2000. Polyphenolic compound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by extracts from seed, sprout and flower of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Korean J Food Nutr 29(6):1127-1132 

  23. Kim HR, Seog EJ, Lee JH, Rhim JW. 2007.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onion powder as influenced by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Nutr 36(3):342-347 

  24. Kim JN, Kim JM, Lee KS. 2012.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Lactuca indica. Korean J Food Preserv 19(2): 294-300 

  25. Kim JH, Kwak DY, Choi MS, Moon KD. 1999. Comparison of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Korean and Chinese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Korean J Nutr 31(4):912-918 

  26. Kim SH, Jeong YJ. 2012. Extraction solvents of acanthopanax tea and pan-fired times. J Korean Tea Soc 18(2):48-53 

  27. Kim SH, Jeong YJ. 2013. Physiological functional charaterisitics of kalopanax pictus tea by different pre-treatment methods. J Korean Tea Soc 19(3):76-84 

  28. Kim SH, Lee MH, Jeong YJ. 2014. Current trends and development substitute tea and plan in the korean green tea industry. Korean J Food Indust Nutr 19(1):20-25 

  29. Kim YG, Lee JD, Kim HS, Song KJ. 2010. Effect of manufacturing methods on chemical components and quality of green tea with different tea cultivars. J Korean Tea Soc 16(1):77-83 

  30. Kwon OC, Woo KS, Kim TM, Kim DJ, Hong JT, Jeong HS. 2006.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arlic (Allium sativum L.) on the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treat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38(3):331-336 

  31. Lee KY. 2011. Antioxidative activity and content of the phenolic compounds from Salvia plebeia R. Br. M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orea. p 41 

  32. Lee NS, Lee YH. 2013. Changes i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fermented tea with cotton cloth according to fermentation temperature and period. J Korean Tea Soc 19(2):49-62 

  33. Lee SK, Kim GH, Kim HH, Kim ES, Park HM.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tea thermally processed from dried Ixeris dentata root. Korean J Food Preserv 15(4):524-531 

  34. Lim JA, Yun BW, Baek SH. 2007. Antioxidative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methanol extract from Salvia plebeia R. Br.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5(3):183-188 

  35. McCartney-Francis N, Allen JB, Mizel DE, Albina JE, Xie QW, Nathan CF, Wahl SM. 1993. Suppression of arthritis by an inhibitor of nitric oxide synthase. J Exp Med 178(2):749-754 

  36. Min KC, Jhoo JW. 2013.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ory effect of Taraxacum officinale extracts on nitric oxide produc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5(2):206-212 

  37. Moreno MI,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ca. J Ethnophamacol 71 (1-2):109-114 

  38. Mosmann T. 1983.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 Immunol Methods 65(1-2):55-63 

  39. Nugroho A, Kim MH, Choi JW, Baek NI, Park HJ. 2012. In vivo sedative and gastroprotective activities of Salvia plebeia extract and its composition of polyphenols. Arch Pharm Res 35(8):1403-1411 

  40. Park JH, Kim YO, Jung JM, Seo JB. 2006. Effect on quality of pan-fired green tea at different pan-firing conditions. J Bio- Environ Control 15(1):90-95 

  41. Park KR, Lee SG, Nam TG, Kim YJ, Kim YR, Kim DO. 2009. Comparative analysis of catechins and antioxidant capacity in various grades of organic green teas grown in Boseong,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41(1):82-86 

  42. Qua XJ, Xia X, Wang YS, Song MJ, Liu LL, Xie YY, Cheng YN, Liu XJ, Qiu LL, Xiang L, Gao JJ, Zhang XF, Cui SX. 2009. Protective effects of Salvia plebeia compound homoplantaginin on hepatocyte injury. Food Chem Toxicol 47(7):1710-1715 

  43. Shin KH, Cui Z, Im TG, Bang GP. 2011. Effects on quality of fermented tea with different harvesting seasons. J Korean Tea Soc 17(3):36-40 

  44. Shin MK, Kim SK, Lee SK, Yang EY, Lee HO, Baek. 2001. Cytotoxicity and antimicrobial effect of the extract of Salvia plebeia. Korean J Pharmacogn 32(1):55-60 

  45. Singleton VL, Rossi JA. 1965.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ult 16(3):144-158 

  46. Youn KS, Kim JW. 2012. Antioxidant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 inhibitory activities of extracts from Mulberry (Cudrania tricuspidata) fruit subjected to different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Nutr 41(10):1388-1394 

  47. Yu JS, Woo KS, Hwang IG, Chang YD, Jeong JH, Lee CH, Jeong H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rysanthemum indicum L. Flower tea in relation to the number of pan-fir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5):647-65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