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효두부 제조용 Starter의 선발과 이를 이용한 두부의 발효특성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tarter Isolated from Kimchi and Fermentation of Tofu with Isolated Starter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11, 2012년, pp.1626 - 1631  

강경명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이신호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가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김치 및 젓갈류에서 probiotics의 기능을 갖는 유산균을 분리하여 발효두부 제조용 starter로 선별하여 김치양념을 이용한 발효두부 제조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분리한 60균주의 병원성균에 대한 항균활성과 인공위액 및 담즙산에 대한 내성이 우수한 균주 KL-6를 선발하였다. 최종 선발된 KL-6의 배양액의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성장에 따라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고,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에 의해 동정한 결과 P. acidilactici KL-6(100%)로 확인되었다. 김치 양념과 혼합한 두부(Control)와 선발유산균을 starter로 접종(2%, v/v)하여 김치 양념과 혼합한 두부(TL) 그리고 starter를 접종하여 $37^{\circ}C$에서 24시간 동안 전 발효시킨 김치 양념과 혼합한 두부(TPL)의 발효 특성을 비교하였다. pH는 발효 1주 경과 후 모든 처리구에서 감소하였고, 발효 14주에 각 처리구별 pH는 3.96(control), 3.97(TL), 4.03(TPL)이었다. 유산발효두부의 총균수는 발효 2주까지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하였으며,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산균수의 경우 TL 및 TPL구는 발효 1주째, 대조구는 발효 2주째 $10^6$ CFU/g에 도달하였으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각 처리구 공히 감소하여 발효 14주째 $10^3$ CFU/g을 나타내었다. 대장균군수의 경우 대조구는 발효 1주일째까지 관찰되었으나, TL및 TPL구는 발효 1주째부터 관찰되지 않았다. 기호성은 TL구와 TPL구가 맛, 향, 조직감, 종합적 기호도에서 대조구보다 높았으며, TPL구가 가장 우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xty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 were isolated from kimchi and used as a starter for fermented tofu. Among the isolated strains, strain KL-6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various pathogens, antioxidative activity, and viability in artificial gastric juice and artificial bile acid. The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곰팡이에 의한 발효과정을 거치지 않고 우리나라 고유의 발효식품인 김치와 접목하여 두부발효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식물유래 probiotic 기능을 가지는 유산균을 선발하고, 선발된 유산균과 김치양념을 사용하여 두부를 담금·숙성한 유산발효두부 제조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발효두부의 종류는 무엇이 있는가? 발효두부는 중국이나 대만의 두부유, 인도네시아의 taokoan, 필리핀의 tahuri, 태국의 tau hu yee, 일본의 tofuyo 등이 있다(7,8). 이 중 중국과 대만의 두부유(sufu)는 Actinomucor elegans, Mucor heimalis, Mucor silvaticus, Mucor praimi 및 Rhizopus chmenisis 등의 유용 곰팡이를 두부 표면에 생육시켜 술덧과 소금용액을 섞은 침지액에 숙성시킨 것이며, 일본의 tofuyo는 두부를 건조시킨 후 Monascus sp.
생균제의 기능으로 인정된 것은 무엇인가? 식품의 발효는 미생물의 작용으로 식품의 각종 영양분이 소화되기 쉬운 상태로 변화한다. 오늘날 생균제(probiotics)로서의 기능성을 갖는 발효관련 미생물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생균제는 장내군총의 정상화, 유해세균의 정착억제에 따른 부패산물의 생성감소 및 질병예방, 면역 기능의 강화, 콜레스테롤 저하 등의 기능이 인정되고 있다(1-4). 생균제로 갖추어야 할 조건은 장 정착성, 병원성세균의 억제와 발효식품에 부여되는 관능적 특성, 안정성, 박테리오파지 저항성이 있어야 하며, 특히 장내 생존력이 우수해야 상업적으로 이용가치를 가진다(5,6)
김치 및 발효식품의 유산균이 여러 가지 병원성 세균과 부패세균의 생육을 억제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parahaemolyticus 등 모든 균주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유산균은 발효 중 유산 및 초산, 저급 지방산, hydrogen peroxide, diacetyl, bacteriocin, 항생물질 등을 생성하여 여러 가지 병원성 세균과 부패세균의 생육을 억제한다(17). 분리균주는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성장억제능을 나타내어 발효식품 제조 시 starter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Tannock GW. 1997. Probiotic properties of lactic-acid bacteria: plenty of scope for fundamental R&D. Trends Biotechnol 15: 270-274. 

  2. Fuller R. 1989. Probiotics in man and animals. J Appl Bacteriol 66: 365-378. 

  3. Fuller R. 1991. Probiotics in human medicine. Gut 32: 439-442. 

  4. Takiguchi R, Mochizuki E, Suzuki Y, Nakajima I, Benno Y. 1997. Lactobacillus acidophilus SBT 2928 on harmful intestinal bacteria. J Int Microbiol 11: 11-17. 

  5. Koo SM, Cho YH, Huh CS, Beak YJ, Park JY. 2001. Improvement of the stability of Lactobacillus casei YIT 9018 by microencapsulation using alginate and chitosan. J Microbiol Biotechnol 11: 376-383. 

  6. Cambell GL, Bedford MR. 1992. Enzyme applications for monogastric feeds: a review. Can J Anim Sci 72: 449-466. 

  7. Smith AK, Cirrcle ST. 1978. Soybean chemistry and technology. Avi Publishing Co., Westport, CT, USA. p 410. 

  8. Reddy NR. 1986. Legume-based fermented foods. CRC press, Inc., Boca Raton, FL, USA. p 69. 

  9. Wang HL, Hesseltine CW. 1970. Sufu and lao-chao. J Agr Food Chem 18: 572-575. 

  10. Kim TY, Kim JM, Yoon IH, Chang CM. 1994.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of soybean cheese making from cow's milk added soybean curd. J Korean Soc Food Nutr 23: 837-844. 

  11. Kim GH, Lee YH. 1981. Changes of chemical components on soaking fermentation in soybean cheese. Korea J Appl Microbiol Biotechnol 9: 153-158. 

  12. Park KH, Kim ZU. 1980. Preparation of cheese like product from soybean. J Korean Agric Chem Soc 23: 115-121. 

  13. Lee SH, Kim YT, Shon MY, Sung CK, Park SK. 2001. Quality properties of fermented tofu prepared with different molds and coagul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617-622. 

  14. Kobayashi Y, Tohyama K, Terashima T. 1974. Tolerance of the multiple antibiotic resistant strain L. casei SPR 3002 to artificial digestive fluids. Jpn J Microbiol 29: 691-697. 

  15. Lee SH, No MJ. 1997. Viability in artificial gastric and bile juice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some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6: 617-622. 

  16.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0. 

  17. Aguirre M, Collins MD. 1993. Lactic acid bacteria and human clinical infection. J Appl Bacteriol 75: 95-107. 

  18. Gilliland SE, Staley TE, Bush LJ. 1984. Importance of bile tolerance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used as a dietary adjunct. J Dairy Sci 67: 3045-3051. 

  19. Paik HD, Jung MY, Jung HY, Kim WS, Kim KT. 2002.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polyfermenticus SCD for oral bacteriotherapy of gastrointestinal disorder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73-78. 

  20. Chung YC, Chang CT, Chao WW, Lin CF, Chou ST. 2002. Antioxidative acitivity and safety of the 50 ethanol extract from red bean fermented by Bacillus subtilis IMR-NK1. J Agric Food Chem 50: 2454-2458. 

  21. Joo JC, Shin JH, Lee SJ, Cho HS, Sung NJ. 2006. Antioxidative activity of hot water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7-14. 

  22. Lin MY, Yen CL. 1999. Reactive oxygen species and lipid peroxidation product-scavenging ability of yogurt organisms. J Dairy Sci 82: 1629-1634. 

  23. Lim JS, Cho EJ. 2005.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ilk-tofu added with medicinal herb powder preserved in kochujang and deonjang (tofujang).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447-458. 

  24. Jung KO. 1994. Effect of taking effect which reaches in kimchi public opinion inside of the hall pathogenic bacteria multiplication. M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